View : 988 Download: 0

진도씻김굿 무구의 표현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Title
진도씻김굿 무구의 표현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Ch'indo-Sitkim-Gut Play Containing Expressive Symbol
Authors
윤소원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희
Abstract
굿은 무당이 신에게 제물을 바치고 가무악희로 인간의 소망을 기원하는 무속의 종교적 의례이다. 무속의 종교적 의례 중 망자의 영혼을 위해 치러지는 사령제는 억울한 죽음을 맞이한 망자의 살을 푸는 과정을 통해 한 맺힌 망자의 영혼을 달래 저승으로 보냄으로써 산자의 안녕함을 비는 의식이다. 호남 진도지방에는 전쟁의 역사와 고립된 섬이라는 환경 속에서 죽음과 관련된 의식이 많이 생겨났다. 이러한 진도지방에서 무속의 사령제로 행해지고 있는 진도씻김굿은 진도사람들의 풍류적 정서를 바탕으로 죽음 의례를 하나의 축제로 승화시킨 의식이라 할 수 있다. 진도씻김굿은 억울한 죽음을 맞이한 망자의 영혼에 맺힌 한을 풀고 부정을 씻겨 무사히 저승으로 보내는데 목적을 두고 행해지는 굿이다. 굿의 연행은 산 사람들을 위한 굿을 시작으로 망자의 저승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여러 굿거리들의 연결로 진행된다. 진도씻김굿의 무녀는 대표적인 세습무로 순수한 사제자로서의 역할을 위해 무구라는 시각적 장치를 사용하며, 특히 망자의 영혼을 위해 행해지는 의식에서 그 사용이 두드러진다. 이때 무구는 굿의 절차에 따라 역할과 의미를 달리하며, 무녀의 행위와 결합돼 각 굿거리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핵심적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무구는 망자의 맺힌 한을 풀고 부정을 씻기는 의식을 수행하는 무녀와 망자 그리고 굿에 모인 사람들 간의 상호 소통을 가능케 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발현되는 다양한 의미는 망자의 영혼을 달래고 씻겨 극락으로 보내 결국에는 산자의 안녕함을 빈다는 진도씻김굿의 궁극적인 목적 실현으로까지 이끈다. 결국 무구는 망자와 산자를 소통하게 하는 매개체가 되어 굿의 목적으로 이끄는 진도씻김굿 연행의 중심이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진도씻김굿의 굿거리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갖는 무구에 초점을 두고 무녀의 무구 사용, 그리고 그것이 굿에 모인 사람들과 관계했을 때 나타나는 상징 의미를 파악한 뒤에 그 상징적 특성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령제의 유래와 진도씻김굿의 개념, 성격 및 구조, 상징성의 정의와 굿에서 무구의 역할과 상징의미, 진도씻김굿의 제의절차와 풀이과정 무구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 중 망자와 산자 간의 매개가 시작되는 의식에서 무녀의 무구활용을 통해 표현되는 의미를 파악한 뒤, 그에 따른 표현적 상징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용품의 의례적 전용, 무구 자체가 갖는 특성을 통해 획득되는 신성, 주술성, 그리고 이러한 무구활용에 의한 굿 연행의 제의적 장치를 통해 제의적 특성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고풀이, 손대잡이, 넋올리기 대목에서 무구 사용을 통해 발현되는 해원, 해방, 해소, 화해의 모티브를 통해 풀이적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손대잡이, 넋올리기, 길닦음 대목에서 굿판에 모인 모든 사람들이 무구를 통해 망자와의 교감을 하거나 망자에 대한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출하고, 개인적 감정이 집단적 감정으로 승화되는 경험을 하게 되는 것에 치유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넷째, ‘넋’이라는 무구의 존재를 통해 나타나는 극적인 내용 전개, 무구 사용을 통한 무녀의 연극적 표현행위, 지전의 형태미 등에서 예술적 특성이 나타났다. 위와 같이 진도씻김굿의 무구를 통해 표현되는 상징성은 의례의 여러 부분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상징성은 산자와 망자 그리고 산자와 산자 간의 깨어진 조화를 회복시켜주어 진도씻김굿의 목적으로 이끌고, 굿을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보이도록 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망자의 한을 풀고 부정을 씻겨 산자의 안녕함을 빌기 위해 행해지는 죽음 의례가 하나의 예술로 승화되기까지에는 무구의 존재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진도씻김굿 무구와 그 속에 내재된 상징성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의 예술 활동에서 한국적 정서가 담긴 주제의 개발과 주제 표현 방법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기능을 하고, 나아가 무속의례에 담긴 민족정신과 속성을 예술매체로 끌어내기 위한 표현기제로써 그 근거를 마련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기대해 본다.;Gut, shaman offers sacrifice to god, is religious ceremony of shamanism about hoping human's desire through the songs and dance. SaRyungJae(사령제), one of the religious ceremony, comforts the deceased victimized soul. Jindo in Honam, is formed ceremony in connection with death because Jindo has many histories of war and isolation surroundings. Ch'indo-Sitkim-Gut(진도씻김굿), being enacted SaRyungJae of shamanism in Jindo, based on art feeling, sublimate from death ceremony to their's own festival. Purpose of Ch'indo-Sitkim-Gut, comforting the deceased victimized soul, is sending spirits to afterlife safely, likes release the spirits without any anxiety. Gut starts off with alive people and ends with dead people. Female shaman of Ch'indo-Sitkim-Gut, typical heredity, uses visual tools, Mugu(“Shamanic Materials” in Korean). Especially, using tools stand out action for the deceased. In this part, Mugu has different means depends on process of Gut. Also Mugu connects female shaman and audience as ceremony language. Removing bad luck of the deceased can travel afterlife comfortably and wish peace for alive people at that same time. That is mainly goal of Ch'indo-Sitkim-Gut. The focus of this thesis is Mugu's various means in Ch'indo-Sitkim-Gut. Particularly I find symbolization of connection with Mugu, female shaman ,and people who watch the play, Gut. For these reason, the main subject is process and origin of Ch'indo-Sitkim-Gut, characters and structure, definition of symbolization, role of Mugu. In this process, It is summarized 4 parts. First, I get some character of ceremonies through usage of daily-goods, sacred in the Mugu, and meaning of utilizing Mugu in Gut. Second, I find explanation character of Using Mugu in the Gopooli(고풀이), Sondaejabe(손대잡이), Nukoligi(넋올리기) through motivation of liberation, reconciliation, solution. Third, they can commune with the deceased in Gut which is composed of Gopooli, Sondaejab, Nukoligi or see healing part in action. Finally, Nuk(넋), the soul or existence of Mugu, is portrayed artistry as character of play, theatrical, and Jijeon(지전), likes rolling paper money. As above, symbolization of Ch'indo-Sitkim-Gut is verified many ceremony part. this symbolization can recover between alive people and the deceased or the deceased from broken harmony is main role of a work of art. Therefore, comforting the deceased victimized soul is important sublimating from dead ceremony to art. Research of symbolization inherent meaning and Mugu of Ch'indo-Sitkim-Gut is anticipated development of korean emotion and diversification of expression means, and educing art medium from underlying the racial spirit of shamanism ceremon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