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종훈-
dc.contributor.author현진희-
dc.creator현진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0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000-
dc.description.abstractIT Market Research Institute, Juniper Research’s recent report, “Smart Wearable Devices – Fitness, Healthcare, Entertainment & Enterprise” points out that a wearable device is just a thing ‘nice to have’ but does not show the appealing power at the level of a thing they ‘must have.’ The wearables market is considered a new growth engine in the saturated smart phone market, but consumers’ curiosity does not lead to purchases. Accordingly, manufacturers of products have recently released the products focused on the health care functions on which the life log is grafted with a medium of exercise for which all people today recognize the need and take interest. At an earlier phase, they developed and released the products focusing on the functions providing motivation of exercise by amusement, but there was a limitation of mobility. Later, they evolved into a form of wearable devices, by attaching to the user’s body, so that the user can check his or her personal data in doing exercise, at anytime and anywhere. The customized personal exercise data emphasized by wearable devices mostly are inclined to the functions of collecting and monitoring the situations around the user, geographical positional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simple counters of the user behaviors, which do not consider user’s essential situations. The figures or scores and game elements that could be obtained from the devices may stimulate the user’s motive for exercise psychologically to some extent, but they best know the facts themselves without looking at the data in figures, and they may know the facts without necessarily using the product. Most of the wearable health care devices are fitness type products, which are in the form of a watch type or a band type the user put on his or her wrist. Thus, the range from which the user’s exercise log can be extracted is limited to the wrist, so there are insufficient data on various body regions. In order to show an exercise log customized for the user, a more accurate and various individual exercise data should be extracted. Thus, this study focused on proposing functions so that the products could have only the appealing power they must have through extracting more exercise data on various body parts while users are doing exercises and providing them with necessary information only. Prior to the progress of this stud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t inquired into the definition of a wearable device; conducted a case study by each form; and understood the definition, necessity and types of exercise. As a result of a user survey, it was found that most people had the biggest doubt on whether they were doing the exercises properly or not. As a result of an observational survey by selecting a typical product that could correct the users’ postures during exercise for the derived requirement, it was found that they, rather, came to adopt a wrong exercise posture in which they could not but do exercise looking at the monitor screen, and in order to make the users’ exercise more effective, helping them take a correct posture of exercise, based on various exercise data on various body parts was summarized as a requirement for the users. As measures to improve regarding the requirement, this study set up a form of a patch type in wearable devices; defined major functions more in detail based on this; and proposed a scenario of use for expected effects. A prototype was produced in the form of the proposed wearable device to conduct a test with the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user observational survey, and the experts in exercise, with who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confirmed that this study was valid since the exercise instructors found that the form was helpful for exercise. Wearable health care devices should not just a window to show information to customers. They should lead users in a more correct direction and improve the current conditions further in order to make the reason why they have to use wearable devices cleare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wearable health care devices, and further, it will be applied in wide and various ways, based on the exercise data obtained with the patch from various body parts of the users.;IT 시장조사 기관인 Juniper Research사의 최근 보고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건강과 오락, 그리고 기업’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멋진 소지품(nice to have)'에 그치고 있으며 ’반드시 가져야 하는(must have)' 수준의 소구력을 소비자들에게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포화된 스마트폰 시장에서 신 성장 동력으로 꼽히고 있는 웨어러블 시장이지만 소비자들은 단순하게 호기심을 보일 뿐, 구매로 이어지고 있지는 않고 있다.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이기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조사들은 현대인들이라면 누구나 필요성을 인지하고 관심을 가지고 있는 운동을 매개로 라이프 로그(Life log)를 접목한 헬스케어 기능을 중점으로 한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제품 초기에는 오락성을 부여해 운동의 동기부여를 중점으로 개발 출시하였지만 큰 사이즈로 인하여 휴대성에 제약이 있었다. 하지만 반도체 기술 발전으로 제품 사이즈는 점차 작아져 공간적 자율성을 얻을 수 있었고, 작아진 사이즈의 장점을 살려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 개인별 운동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몸에 부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로 진화하였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강조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 라이프 로그는 주로 사용자 주위의 상황, 지리적인 위치정보, 사용자 행동에 대한 단순 카운터 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를 모니터링 해주는 기능에 치우쳐 있을 뿐 사용자에게 운동 목적에 맞춰 더 잘 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해주지는 않는다. 기기에서 얻을 수 있는 수치나 점수 그리고 게임 요소는 어느 정도 사용자의 운동 동기 심리를 자극할 수 있지만 굳이 숫자 데이터로 보지 않아도 스스로가 가장 잘 아는 사실이기도 하며 이는 꼭 제품을 이용하지 않아도 알 수가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획득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그대로 알려주는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올바른 방향으로 행동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진화해야 한다. 현재 출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은 주로 특화된 기능에 따라 필요한 신체 부위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특히 운동을 목적으로 한 피트니스형(Fitness Type)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품들의 형태는 주로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할 수 있게 밴드, 시계 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운동 로그를 추출할 수 있는 범위가 손목으로 범위가 제한되어 다양한 신체 범위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한 단점이 있다. 사용자의 맞춤별 운동 로그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개인 운동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체부위로부터 운동 데이터를 보다 많이 추출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한 차원 높은 제품 소구력을 가질 수 있도록 기능을 제안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문헌조사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정의와 형태별 사례조사, 운동의 정의, 필요성, 유형 등을 파악하였으며, 사용자 조사를 통해 ‘내가 지금 운동을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인가’ 에 대한 의문이 가장 큰 것으로 요구사항을 확인하였다. 도출된 요구사항에 맞춰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교정해주는 제품을 대표로 선정하여 관찰 조사를 진행한 결과, 화면 모니터만 바라보면서 운동을 할 수 밖에 없어 오히려 잘못된 운동 자세를 취하게 되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신체 부위로부터 추출된 다양한 운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올바른 운동 자세에 대한 가이드가 꼭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운동 데이터를 얻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 조사 결과에서는 패치형 타입이 적절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 데이터를 제공하여 운동을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사용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제안 사용 시나리오에 맞춰 사용자 관찰 조사를 진행하였던 동일 사용자에게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던 운동 전문가에게서는 실질적으로 운동에 도움이 되었는지 자문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제품은 단순하게 고객에게 정보를 보여주는 알림창이 되어서는 안 된다. 사용자를 더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주고 현재 상황을 보다 개선해주어야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목적이 뚜렷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이용 만족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며, 나아가서는 패치 제품에 의해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부위에서 획득한 운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폭넓고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Ⅱ. 이론적 배경 5 A.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이해 5 1.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정의 5 2.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형 5 3.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례 7 B. 운동의 이해 10 1. 운동의 정의 및 필요성 10 2. 운동의 유형 11 3. 바른 운동 자세의 중요성 12 4. 운동 자세 교정 제품 사례 13 5. 사례 제품 체험 테스트 16 Ⅲ. 사용자 조사 26 A. 운동 이용 현황 26 B. 피트니스 클럽 운동 이용자 조사 27 1. 조사 대상자 27 2. 조사 수행 및 수집항목 28 3. 인터뷰 내용 분석 29 C. 헬스 트레이너 전문가 인터뷰 34 1. 조사 대상자 34 2. 조사 수행 및 수집 항목 34 3. 전문가 인터뷰 내용 분석 37 D. 서비스 기능 도출 38 E. 퍼소나를 통한 사용자 모델링 39 1. 퍼소나 1 (Primary Persona) 39 2. 퍼소나 2 (Secondary Persona) 40 Ⅳ. 프로토타입 제안 43 A. 프로토타입 컨셉 목표 43 B. 프로토타입 모델링 44 1. 제품형태 44 2.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 방식 47 3. 사용자 피드백 방안 50 4. 자세 감지를 위한 센서 장치 선택 52 C. 프로토타입 적용 시나리오 제안 55 Ⅴ. 사용성 평가 56 A. 사용성 평가 설계 및 수행 56 1. 사용성 평가 실험 설계 56 2. 1차 평가 수행 56 3. 2차 평가 수행 62 B. 사용성 평가 결과 및 분석 69 Ⅵ. 결론 및 제언 70 참 고 문 헌 72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719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패치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운동자세 교정 사용자 시나리오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User Scenario for Correction of Exercise Posture using Patch-type Wearable Device-
dc.creator.othernameHyeon, Jin Hee-
dc.format.pagevii, 76 p.-
dc.contributor.examiner전성진-
dc.contributor.examiner문형철-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