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종훈-
dc.contributor.author김진영-
dc.creator김진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1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167-
dc.description.abstract스마트기기의 보급이 확산되고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찾아볼 수 있는 모바일 환경을 갖게 되면서 부동산 거래 방식도 변화되고 있으며, 특히 부동산 거래 중 주택임대차 거래는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한 젊은 층 사이에서 모바일앱을 통한 직거래가 확산되고 있다. 최근 주택임대차 형태는 1인 가구의 증가, 전세 값 상승, 전세의 월세화로인한 전월세 시장의 수급불일치가 지속됨에 따라 저소득서민의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개 수수료 절약과 신속한 거래체결이 가능한 직거래 방식이 시·공간적 제약 없는 모바일앱을 통해 확산되고 있으며, 확산에 따른 문제점 또한 늘고 있다. 중개인을 거치지 않는 부동산 직거래는 사고 발생의 책임이 거래 당사자에게 있음에 따라 임대차 거래의 경우 상대적 약자인 임차인에게는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택거래의 임차인을 대상으로, 직거래를 위해 모바일앱을 이용하는 배경과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주목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부동산 직거래 과정을 위한 모바일앱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우선 문헌조사를 통해 부동산 거래유형과 주택임대차 형태에 따른 거래절차를 정리하고, 관련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한 부동산 직거래의 특징과 문제점 고찰에 이어 부동산 직거래 모바일앱의 확산배경과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부동산 직거래 모바일앱 이용으로 발생되는 거래사고의 해결 방안으로 부동산 거래절차와 필요한 확인사항을 정확히 인지하도록 하여 신중한 판단을 도모하는 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을 바탕으로 기존 유사 앱의 사례 조사를 통해 제공되고 있는 주요 서비스와 장, 단점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기존 앱에서는 전체 부동산 거래절차 중 일부인 정보수집단계에만 집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연구의 기회요소로 참고하였다. 이후 문헌조사와 사례조사의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주택임대차 거래경험에 따른 요구사항 도출을 위해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주택임차인으로 부동산 모바일앱 이용 경험이 있는 20~40대의 직장인 중 직거래로 계약이 이어진 경우와 이어지지 않은 경우의 그룹으로 구성하였으며, 인터뷰 결과는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분석방법을 통해‘부동산 거래절차 별 필요정보 확인’, ‘신뢰할 수 있는 거래과정’, ‘매물 검색의 시간과 체력 절약’, ‘매물 정보의 정확한 파악’, ‘매물 간 비교 평가’의 요구사항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요구사항과 함께 문헌조사 및 사례조사 분석 내용을 종합하여 신뢰와 효율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부동산 직거래 개인비서’라는 서비스 컨셉을 설정하였다. 그 컨셉을 바탕으로 ‘현재 거래상태 알림’, ‘매물 맞춤검색’, ‘직관적 매물파악’, ‘매물 비교’, ‘계약 관리’의 5가지 주요기능을 도출하였다. 주요기능을 토대로 모바일앱의 정보구조와 UI화면을 설계하고 기능을 구체화 하였다. 이후 심층인터뷰 참여자 중 일부에게 UI화면의 프로토타입을 이용하여, 앱에 대한 효율성, 사용성, 유용성에 대한 만족도를 5점 척도에 따라 평가하고 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듣는 과정으로 프로토타입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결과물인 부동산 직거래를 위한 모바일앱의 주요기능에 대한 효율성은 평균 4.36점, UI 사용성은 평균 4.46점, 직거래 시의 유용성은 평균 4.2점으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 결과로 나타났으며, 주택임대차 직거래를 위한 효율적이고 안전한 과정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평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토타입을 보완하고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바일앱은 사용자 경험의 분석 과정을 통해 설계되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으며, 제안한 모바일앱의 서비스와 기능들을 통해 주택임대차 직거래 시 사용자는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거래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모바일앱의 제안은 주택임대차 직거래뿐만 아니라 모든 부동산 거래 유형과 중개거래 시에도 유용한 지침의 수단으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As smart devices are more distributed, people can search information anywhere in real time by using the mobile internet, and such a mobile environment changes the present ways of real estate transaction, especially expanding direct housing lease transaction through mobile apps among young generations familiar to using smart phones. When it comes to the recent housing lease transaction types, low-income residents have more financial burden as the phenomenon of supply-demand unbalance is still going on with more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d deposit money and more leases turning into monthly rents. As a result, direct transactions for less agent charge and faster contract conclusion are expanded through mobile apps without space and time limitations, while causing side effects as well. When a direct real-estate transaction without a real estate agent leads to a legal conflict, the responsibility is given to the two parties involved in the direct transaction, but for direct housing lease transactions, lessees may suffer from a great financial damage as the relative vulnerabl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new mobile app for an efficient and safe process of direct real-estate transac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background that lessees use mobile apps for direct transactions and the relevant problems. To being with, this study arranged all the transaction procedures for each real-estate transaction type and housing lease type through literature review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direct real-estate transactions through the related previous researches, and investigated the background and actual states of direct real-estate transaction apps spread.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it necessary to help lessees exactly recognize the real-estate transaction procedures and checklist and make careful judgements as a solution to possible legal transaction conflicts caused by using direct real-estate transaction mobile apps. Based on this finding, this study analyzed main services provided from the existing similar apps and their pros and cons through case investig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existing apps focus on the stage of collecting information only, a part of the entire real-estate transaction procedures, which was referred to as an opportunity factor for this study. The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investigation, this study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to extract requirements based on lessees’ actual experience of housing lease transaction.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workers in their 20s to 40s who had experience of using real-estate mobile apps as housing lessees, and divided them into two different groups, one having led to the contract conclusion through direct transaction and the other having failed.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Affinity Diagram, and this study could extract such requirements as ‘Confirming information needed for each real-estate procedure’, ‘Reliable transaction process’, ‘Saving time and physical energy spent on searching houses for rent’, ‘Understanding of exact information about houses for rent’, and ‘Comparative evaluation on houses for rent’. Then, this study set up such goals as trust and efficiency and established a service concept titled ‘Direct real-estate transaction personal secretary’ by putting together all the analyzed contents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investigation in addition to the requirements extracted. Based on the concept, this study drew 5 main functions, ‘Informing the present state of transaction’, ‘Searching customized houses for rent’, ‘Comprehending houses for rent intuitively’, ‘Comparing houses for rent’ and ‘Managing contracts of houses for rent’. Based on the main functions, this study designed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this mobile app and the UI screen, and concretized the main functions. Then, this study evaluated the prototype by making some of the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the prototype of UI screen and evaluat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fficiency, usability and usefulness of this app on the scale of 5 points, and listening to their opinions about this service. As a result, they showed mostly positive evaluation results, particularly 4.36 in the efficiency and 4.46 in the usability of the main functions of this direct real-estate transaction app, and 4.2 in the usefulness on average. At the same time, they were found to have a high expectation that this app would provide them with chances to experience an efficient and safe process of direct housing lease transaction. Lastly, by reflecting their evaluation opinions, this study supplemented the prototype and suggested improvements. It is significant that the mobile app proposed by this study was designed through a process of analyzing user experiences, and it is expected that users will experience a more efficient and safer process of direct housing lease transaction through the services and functions of this new mobile app. Moreover, it is also anticipated that such a mobile app will be used as a useful means of guidelines not only for direct housing lease transactions but all kinds of real-estate transaction types and brokerage transac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내용 3 II. 이론적 배경 5 A. 부동산 거래에 대한 이해 5 1. 부동산 거래 유형 5 2. 우리나라 주택임대차 형태 6 3. 부동산 거래 절차 8 4. 부동산 거래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9 B. 부동산 직거래의 정의 및 특징 11 1. 부동산 직거래의 정의 11 2. 부동산 직거래의 특장점 11 3. 부동산 직거래의 문제점 13 C. 부동산 직거래 모바일앱의 현황 15 1. 부동산 직거래 모바일앱 확산 배경 15 2. 부동산 직거래 모바일앱 관련 언론기사 16 3. 부동산 직거래 모바일앱 이용 현황 17 III. 부동산 직거래 모바일앱 사례 조사 19 A. 사례 조사 앱 선정 배경 19 B. 사례 조사 앱 분석 21 C. 분석 결과 28 IV. 사용자 조사 30 A. 조사 목적 및 설계 30 1. 조사 목적 및 방법 30 2. 조사 참여자 모집 및 수행 31 3. 조사 수집 항목 32 B. 사용자 조사 결과 33 C. 결과 분석 및 요구사항 도출 40 1.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을 통한 분석 과정 40 2. 분석 결과 42 3. 퍼소나를 통한 사용자 모델링 43 4. 요구사항 및 기능 도출 46 V. 모바일앱 설계 48 A. 서비스 목표 및 컨셉 48 B. 정보구조 설계(Information Architecture) 49 1. 메뉴 구조 49 2. 주요기능 정의 50 3. Use Flow 51 4. 사용자 저니맵 52 C. 와이어프레임(Wireframe) 및 화면 정의 53 D. 주요 사용 시나리오 67 VI. 프로토타입 평가 71 A. 평가 설계 및 수행 71 B. 결과 분석 72 C. 결과 반영 개선안 75 VII. 결론 및 제언 79 참고문헌 81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295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부동산 직거래를 위한 모바일앱 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주택 임차인 사용자경험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Design of a Mobile App for Direct Real-estate Transactions : Focused on Housing Lease User Experience-
dc.creator.othernameKim, Jin Young-
dc.format.pageviii, 86 p.-
dc.contributor.examiner최유미-
dc.contributor.examiner신태호-
dc.contributor.examiner정수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