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지연-
dc.contributor.authorEnkhtaivan ENKHCHIMEG-
dc.creatorEnkhtaivan ENKHCHIMEG-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0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014-
dc.description.abstract산업화의 발전과 세계화 확산으로 인해 기업들이 외국어 능력 뿐아니라 외국에서 다양한 경험 있는 글로벌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국가 간 인적 자원의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해외 몽골인, 몽골내 외국인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추세는 향후 지속될 전망이다. 국가발전과 경제 성장의 핵심 요인인 지식의 개발과 활용이 중요시 되는 21세기 현대 사회는 정보화 혁명을 통한 지식기반사회로 이전되면서 국가 간 교류와 협력이 가속화되고, 사회 변동에 따른 시간과 공간의 차이도 긴밀해지고 있다. 또한 지식기반의 글로벌 시대가 열림에 따라 사람들이 갖고 있는 지식, 기술과 경험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국내외 움직임을 파악, 분석 및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유학생들의 귀국 후의 기대와 현실 간의 차이가 그들의 직무, 사회 환경,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기대차이와 재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의 수집은 인터넷설문방법을 사용하였다. 몽골에서 근무하는 유학경험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수거한 설문 응답지 중 10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국생의 직무에 대한 기대와 현실 간의 차이가 직무 만족도 및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귀국생의 사회에 대한 기대와 현실 간의 차이가 사회 만족도 및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귀국생의 개인의 삶에 대한 기대와 현실 간의 차이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 및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인터넷 자료 검색을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 앞서 연구도구의 정확성을 위하여 예비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예비조사의 목적은 본 조사를 진행할 때 필요한 설문지를 만들기 위해였다. 예비조사는 연구자가 직접 올란바타르 (몽골 수도)에서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본 조사는 유학 경험 있는 몽골인 근무자를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방법을 사용하여 설문 응답지를 받은 결과 총 128부를 회수하였고 연구 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10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귀국생의 직무에 대한 기대와 현실 간의 차이가 직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직무에 대한 기대와 현실 간의 차이가 직무 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에 대한 기대와 현실 차이가 낮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으며, 연구 대상자 직장인들은 직장을 선택할 때 어느 정도 마음에 드는 직장 조건을 고려해서 선택했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연구 문제 1은 예비 조사와 다르게 나타난 이유를 대상자들의 귀국 후의 기간이 40%가 2년 이상이기 때문에 이미 적응한 상태에서 귀국 후 직장적응 상태를 뒤돌려서 설문지를 작성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귀국생의 사회에 대한 기대와 현실 간의 차이가 사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귀국생의 사회에 대한 기대와 현실 간의 차이가 사회 적응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김미경(2012)의 제언과 같이 학업을 마치고 돌아온 이들에게 가장 큰 변화가 국내 사회 진출, 또는 유학기간동안에는 체류국의 문화 및 사회적응을 초우선 목표로 하는 것이 성공적인 유학을 위한 필수요수로 보일 수 있고, 오히려 귀국 재적응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연구 결과와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유학생들의 구국적응 어려움이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보다 심각하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Gama & Pedersen, 1977; Sussman, 1986; Xu, 2010). 이에 더하여 미국대학졸업 후 모국으로 돌아온 15명의 아시아인을 살펴본 결과, 역시 사회적 관계를 구축하는데 있어 가장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고 하였다(Bochner et al, 1980). 위 연구자들의 결과를 보면 본 연구와 일치한 결과를 볼 수 있다. 귀국생의 기대와 현실 간의 차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삶의 기대 현실의 차이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삶의 기대와 현실간의 차이가 높아지면 만족도가 낮아진다는 의미를 보여준다. 그러면 삶의 기대와 현실간의 차이가 삶의 적응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박주라(2011)의 연구 참가자들은 귀국 후 문화적 충격의 주요 원인으로 가족 구성원들과의 생각 이상으로 어려움을 느꼈단 결과와 본 연구의 예비 연구 대상자 5명중 4명이 외국에서 여유 있게 생활하다가 귀국해서 가족갈등, 개인 공간 및 심리적 어려움을 느낀다는 예비 연구 결과와 일치했으며, 귀국 후 개인 삶에 적응할 때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한 것을 알게 됐다.;This study attempts empirically to investigate the adjustment and adaption of repatriated Mongolian study abroad returnees in regard to their perceptions of job satisfaction and social integration. This study will focus in-depth with an examination of the deference between the returnees’ expectation and reality they encountered with the job market and re-socialization into Mongolian society. One hundred and three Mongolian returnees who studied abroad between 1995 and 2012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ver a two month period from October 1stand November20th, 2012. This data was analyzed with independent regression using SPSS 20.0 statistical modeling. The data was organized into three broad categories. As stated already, the research’s goal is to find differences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so as to help future returnees integrate more successfully into Mongolian society. These three categories are employment satisfaction, social &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irdly, a broad category termed ‘life satisfaction’ which includes issues of personal choices and freed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turnee’s expectations in employment were mostly me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Most returnees found good employment and the value in studying abroad is a good investment for Mongolian students. 2. The returnee’s social integration didn’t match the success of their employment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ctations sought and reality encountered for the social lives of returnees. 3. Life satisfaction showed the largest divergence between expectations and reality. On return, most repatriated students found re-integrating back into Mongolian culture with its strict familial hierarchy difficul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3 C.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A Expectancy Disconfirmation Theory(Oliver; 1977, 1980) 6 B. 직장 만족도 7 C. 사회 만족도 11 D. 삶의 만족도 12 E. 귀국기대와 적응 간의 관계 14 Ⅲ. 연구방법 17 A. 연구 절차 17 B. 1차 연구 17 1. 1차 연구 대상 17 2. 1차 연구 방법 및 절차 18 3. 1차 연구 도구 개발 19 C. 2차 연구 19 1. 2차 연구 대상 19 2. 2차 연구 방법 및 절차 21 3. 2차 연구 도구 개발 21 Ⅳ. 연구결과 23 A. 1차 연구 결과 23 B. 2차 연구 결과 28 1. 1차 연구 도구 28 V. 결론 및 제언 36 A.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36 B. 연구의 의의 및 제한 38 참고문헌 42 부록1. 2차 연구 설문지 49 부록2. 1차 연구 인터뷰 질문 55 Abstract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92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기대와 현실간의 차이가 귀국자들의 직무, 사회,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몽골 직장인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The Impact of Differences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in Adjustment and Adaption of Mongolian Returnees’ Perceptions on Job Satisfaction & Social Integration-
dc.format.pagex, 51 p.-
dc.contributor.examiner전지현-
dc.contributor.examiner김효선-
dc.contributor.examiner백지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