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GAO SHAN-
dc.creatorGAO SHAN-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7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2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733-
dc.description.abstract한국과 중국 두 나라는 모두 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정책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두 나라 정책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일차적으로 두 나라가 문·이과 통합교육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상대 국가의 경험과 세부 논의 사항들을 서로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두 나라의 유사한 교육정책의 전개과정을 비교하는 것은 교육정책의 추진 과정에서 사회문화적 배경의 차이가 교육정책 추진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정책의 추진 과정을 추진 배경과 전개과정, 그리고 추진 과정에서 제기된 주요 쟁점들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두 나라 모두 해당 정책이 아직 학교 현장에 적용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책 적용의 효과나 결과에 대한 비교는 실시하지 못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정책의 추진 배경을 보면, 한국과 중국 모두 문·이과 분과에 따라 야기된 불균형적인 지식 습득의 양상이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통합형 인재 양성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장애 요인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정책의 일차적인 과제는 문과와 이과로 분과되어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 체제를 개선하는 데 있지만, 이와 함께 이러한 분과 운영을 야기한 대학입시제도와 특히 수능과 가오카오 등 국가시험 제도 개선이 함께 논의되며 추진되고 있다. 대입을 위한 국가시험이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상황은 두 나라에서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 과제들은 이수 과정의 구분 문제, 교과별 필수 이수 단위와 선택 이수 단위의 문제, 통합 시기의 문제, 통합교과 운영의 문제 등 두 나라에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수과정 구분과 관련해서는 두 나라 모두 ‘다양성보다 공통성을 더 강조하는 방안’, ‘과정 세분화 방안’과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방안’ 등 세 가지 방안을 검토하였으며, 두 나라가 모두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문·이과 통합의 모형으로 추구하고 있다. 필수이수단위와 선택 이수 단위의 균형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도 두 나라에서 공통되게 나타났다. 다만 한국은 그동안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였으므로 공통기초의 강화를 위해 공통 이수 단위를 더 늘리는 방향의 변화를 추진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그동안 공통필수가 많았기 때문에 다양성의 존중을 위해 선택 이수 단위를 늘리는 방향의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한편 한국에서는 교과별 필수이수단위 수의 적정 수준 문제와 교과 영역 사이의 이수 단위의 균형 문제가 큰 문제로 부각된 것에 비하여 중국에서는 국가와 지방 및 학교 사이의 이수 단위 결정 권한의 균형 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논의되고 있다. 통합 교과목의 개발과 관련하여 한국에서는 ‘통합사회’와 ‘통합과학’ 과목을 새롭게 개발할 예정이지만 중국에서는 정치, 역사, 지리, 물리, 생물, 화학 등의 분과 과목 체제를 유지하기로 하였다. 통합 교육의 시기에 대해서는 두 나라 모두 고등학교 초반까지로 생각하고 있으며, 동시에 이러한 통합 교육과정을 수능이나 가오카오와 연계해야 한다는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셋째, 대학입시제도와 관련된 쟁점과 대안들에 있어서는 한국과 중국이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중국은 문·이과 통합의 취지를 살리면서도 학생들의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반향형 시험방안’, ‘학업수준시험’ 등의 방안을 논의하는 등 대학입시제도 개선에 더욱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향형 시험은 사회, 과학 과목에 대해 문과 학생들은 이과 과목만 시험을 보거나 문·이과 과목 양쪽을 선택하여 응시하는 방안이다. 학업수준시험은 모든 기본 과목에 대한 수준을 평가하는 것으로 이를 가오카오 응시 자격과 연계할 것인지의 문제는 주요 쟁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을 종합해 볼 때, 한국과 중국은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서는 유사한 관점을 보여주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추진해야 할 개선 과제들의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관점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경우 교육과정을 먼저 개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입시제도의 변화까지 추진하는 방식이다. 많은 재원이 투입되는 어려운 방법일 수도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중국은 교육과정보다는 대학입시제도인 가오카오의 개편이나 고등학교 과정에 대한 학생 학업수준시험의 개편을 통해 문·이과 통합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이는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손쉬운 방법일 수 있지만 학교 현장까지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기에는 다소 부족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된다. 또한 두 나라의 정책추진 과정에서 보면 시행 대상 지역의 범위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한국은 전국 단위의 전면적인 시행을 준비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일부 지역에서 선별적으로 시작하고 있다. 이는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많은 인구를 보유한 중국의 상황에서 필연적인 결과로 생각될 수도 있지만, 점진적인 시행을 통해 시행착오를 개선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많다. 문·이과 통합교육을 추구하고 있는 한국과 중국이 서로 상대 국가의 정책추진 과정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면서 정보를 교류한다면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Both South Korea and China are promoting an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in order to cultivate integrated talents. This study aims to, by comparing the policies for the integrat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hat are being promoted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fi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provide experience and help for the two countries in promoting an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and hopefully explore what difference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has brought to the promotion of educational policies by comparing the similar development process of educational polic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is study, a comparison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policies in South Korea and China for convergence educat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as well as main social issues at the time of introduction of such promotional policies. As neither country has implemented the policy in its schools, the effect of policy use and conclusion cannot be comparatively studi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background of policies for promoting an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separat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has led to imbalanced acquisition of knowledge in both South Korea and China, thereby resulting in the inability to cultivate integrated talents required by modern society. To solve this problem, college entrance systems causing separat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especially CSAT and GAOKAO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China), are all being improved, a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casts a huge impact on the actual operation of education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Secondly, in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issues concerning the constitution of curriculum acquisition process, time allocation for compulsory and elective courses of each subject, time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operation of integrated courses have all caused similar discussion in both countries. As for the constitution of curriculum acquisition process, South Korea and China have both proposed “course plans emphasizing commonality over diversity”, “course subdivision plans” and “targeted course plans”, and both selected “targeted course plans” to promote the convergence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As for time allocation for compulsory and elective courses, both countries strive for the balance between compulsory and elective courses. However, as South Korea has been implementing elective-centered courses during this period, in order to strengthen common basic knowledge, South Korea chooses to increase the hours of common compulsory courses in this reform; in contrast, due to excessive common compulsory courses during this period, in order to respect diversity, China chooses to increase the hours of elective courses in this reform. In addition, a focused debate has been triggered on the development of compulsory units of each subject and balance among various subjects in South Korea, while China’s argument has resolved around national curriculum, local curriculum and school curriculum. As for the development of common subjects, South Korea plans to develop 2 new subjects, namely “Common Social Studies” and “Common Science”, while China continues to maintain its disciplinary system of politics, history, geography, physics, chemistry and biology. For as the time of convergence education, both countries believe that it is more suitable to implement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irst half of senior high school education, and have both proposed to include convergence curriculum into the scope of examination. Thirdly, with regard to issues and countermeasures related to college entrance system, South Korea and China have showed some differences. China is more active in improving its college entrance system; in order to achieve convergence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and reduce the burden on students, China has tried “reverse-type examination program”, “academic proficiency test” and many other programs. Reverse-type examination refers to a program where liberal arts students undergo test of natural sciences, while science students undergo test of liberal arts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academic proficiency test is a way to evaluate all basic subjects, and by correlating to the qualification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t ensures students’ acquisition of basic knowledge.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these characteristics, South Korea and China hold similar views on the necessarily and direction of an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but they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ecific promotion and improvement sequence. South Korea firstly focuses on the comprehensive reform of educational curriculum as the basis, and then adjusts college entrance system so a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Although a lot of capital needs to be invested and the process may prove not so simple, it is sort of a practice to fundamentally solve problems. China, on the contrary, for curriculum reform, first of all adjusts GAOKAO in its college entrance system and improves academic proficiency test to achieve the goal of convergence. This is a relatively simple way where the effect may be yielded in a short time, but it may prove not enough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s’ field education. Besides,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in the objects and extent of policy promo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South Korea plans to implement comprehensive promotion nationwide, while China selects some regions as pioneer for pilot. China has relatively a vast territory with a large population, making comprehensive promotion difficult, so it is inevitable to start from partial regions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hand, such practice of experimenting in some regions and promoting in a wider scope after the effect is determined is also considered as worth affirming by many people. This paper aims to minimize deviations in actual implementation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policies for convergence educat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in the promotion proces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방법 4 Ⅱ. 한국의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정책의 도입 배경과 전개과정 7 A. 배경 7 B. 한국 일반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시험방식의 변화 8 1. 제1차 교육과정 (1954-1962년) 8 2. 제2차 교육과정 (1963-1973년) 12 3. 제3차 교육과정 (1974-1980년) 15 4. 제4차 교육과정 (1981-1987년) 19 5. 제5차 교육과정 (1988-1991년) 23 6. 제6차 교육과정 (1992-1996년) 28 7. 제7차 교육과정 (1997-2006년) 32 8. 2007 개정 교육과정 (2007년-2009년) 36 9. 2009 개정 교육과정 (2009년-) 40 10. 종합 논의 45 C.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추진 현황 50 D.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52 1. 고등학교 이수 과정 구분 방안에 관련된 쟁점 52 2. 교육과정 편성에 관한 쟁점 56 3. 수능에 관한 쟁점 62 Ⅲ. 중국의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정책의 도입 배경과 전개과정 65 A. 배경 65 B. 중국 일반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시험방식의 변화 67 1. 제1단계: 건국 시기의 교육과정 개혁 (1949년-1952년) 68 2. 제2단계: 개조 시기의 교육과정 개혁 (1953년-1957년) 70 3. 제3단계: 전면 건설 시기의 교육과정 개혁 (1958년-1965년) 74 4. 제4단계: 문화대혁명시기의 교육과정 (1966년-1976년) 76 5. 제5단계: 발란반정 시기의 교육과정 개혁 (1977년-1980년) 77 6. 제6단계: 회복과 발전 시기의 교육과정 개혁 (1981년-1985년) 79 7. 제7단계: 지속, 심화시기의 교육과정 개혁 (1986년-2000년) 83 8. 제8단계: 신세계의 교육과정 개혁 (2001년-현재) 92 9. 종합 논의 100 C.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추진 현황 106 D.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108 1. 고등학교 이수 과정 구분 방안에 관련된 쟁점 108 2. 교육과정 편성에 관한 쟁점 112 3. 시험에 관한 쟁점 115 Ⅳ. 한국과 중국의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논의 비교 118 A.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의 배경과 추진과정 비교 118 1. 배경 118 2. 추진과정 120 3. 핵심과제와 기대하는 결과 123 B.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의 주요쟁점 비교 126 1. 고등학교 이수 과정 구분에 관한 논의 126 2. 교육과정 편성에 관한 논의 128 C. 국가시험 측면 139 D. 후속과제 141 Ⅴ. 요약과 결론 143 A. 요약 143 B. 논의와 제언 147 참고문헌 152 ABSTRACT 1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86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한국과 중국의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정책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ative study on the policy of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dc.format.pageix, 160 p.-
dc.contributor.examiner한유경-
dc.contributor.examiner서경혜-
dc.contributor.examiner황규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