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7 Download: 0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자결성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Title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자결성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the Stages of Behavior Changes of the Relation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Exercise Adherence
Authors
손승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그룹운동참여자가 지각한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지속의 관계에 대한 자결성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그 매개효과가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에 소재한 E대학교의 사회체육교육센터와 서울과 인천에 소재한 생활체육시설에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은 한 명의 지도자와 함께 그룹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 이상의 운동참여자를 표집하였다. 설문지는 배경변인 4문항, 학습 분위기 설문지 15문항, 스포츠 참여 동기 설문지 34문항, 한국형 운동지속 설문지 17문항을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및 구성하였다. 총 538부의 설문지를 배부했으나, 신뢰도를 낮추는 응답 자료를 제외하여 513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자율성지지와 운동지속의 관계에 대한 자결성동기는 정적인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자결성동기의 하위변인인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는 정적인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무동기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각된 자율성지지와 운동지속의 관계를 내적동기 혹은 외적동기가 매개할 때,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라 매개효과가 다르게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비단계와 행동단계는 내적동기의 매개효과를 조절하고, 행동단계와 유지단계는 외적동기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그룹운동 환경에서 지도자의 자율성지지는 자결성동기를 매개하여 운동지속을 강화하는 예측요인으로서 지도자들에게 권장할만한 지도스타일임을 알 수 있으며, 지도자의 자율성지지 환경을 조성함에 있어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라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를 구별하여 자극한다면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이는 운동실천중재전략의 설계와 처치에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A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ediation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exercise adherence. To obtain it,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and teenagers who have participated in group exercise programs with a instructor at social physical education center of E university which is located in Seoul and sport facilities which are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Total 513 exercise participants completed revised questionnaires. Obtained data from them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ffect of autonomy support on exercise adherence was positive partially mediated b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specially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Secondly, when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are mediated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exercise adherence, it showed that moderated mediation effect varies with different effect based on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chang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utonomy support in group exercise programs should be used by instructors. And when instructors make autonomy support environment, it should be stimulated to differentiated motivation based on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changes. So it should be important information for planning and practicing exercise inter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