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영주-
dc.contributor.author신의경-
dc.creator신의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8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2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88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teacher’s autonomy support, learners’academic autonomy, academic competence, autonomous motivation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in learning environment with English digital textbook. The model posits that perceived teacher’s autonomy support positively influences learners’academic autonomy and academic competence. In turn, these academic autonomy and academic competence positively influence learners’ autonomous motivation which in turn positively influences learners’perceived learning outcomes. The research questions consist of three parts as following: 1. Does social factor(teacher’s perceived autonomy support) have a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mediators (academic autonomy)? 2. Does social factor(teacher’s perceived autonomy support) have a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mediators (academic competence)? 3. Does psychological mediators (academic autonomy, academic competence) have a direct effect on motivational factor(autonomous motivation)? 4. Does motivational factor(autonomous motivation) have a direc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with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English digital textbook classrooms from one middle school. Among collected data, cases having either unreliable responses or missing responses were removed and a total of 128 cases were used in the study. For statistical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proposed model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found to support the proposed model which included social factor, psychological mediators, motivational factor,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was fitting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was empirically proved its validity even in collectivistic culture. As a second part of the findings, the direct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First, social factor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mediators which were academic autonomy and academic competence. Second, psychological mediators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motivational factor. Third, autonomous motivation had positively influence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for successful learning in middle school with English digital textbooks.;디지털 기기의 보급이 보편화된 환경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가 교육현장에 진입함에 따라 플립러닝, 블렌디드러닝, 스마트교육 등 교육 전반에 다양한 변화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PISA의 국가학력수준 평가결과(2011)에 따르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 속하는 한국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은 OECD 국가 중에서 1~2위로 매우 높은 반면, 학습흥미, 자신감과 및 내재동기와 관련해서는 평균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수동적이고 타율적인 학습태도는 학습에서의 내재동기를 감소시키고 학습만족도 및 학습참여를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학업성취를 저해하고 학습무력감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어(Ryan & Deci, 2000) 이를 해결할 교육방식의 변화가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교육과학기술부는 현재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를 2018년부터 전면적으로 도입하고자 관련 콘텐츠 설계 및 개발에 대한 연구를 다각도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과정에서의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 즉 디지털교과서가 학생들의 내재동기를 유발하고 자기주도적 학습에 영향을 미쳐 실제로 질 높은 학습성과를 이끄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널리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설계 및 개발(안종욱, 문영주, 김명정, 2013), 상호작용성(윤수경, 김명지, 최준호, 2014) 및 학습격차(서용희, 오경희, 2014) 등에 초점을 맞춰 디지털교과서 효과성의 영향 요인으로 지목된 사회적, 심리적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는 학생의 학습경험을 평가하기 위해 지각된 학습성과를 최종변인으로 선정하고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을 이론적 틀로 삼아 학생들의 지각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심리적 요인 및 동기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자기결정성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구조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자율적 동기와 지각된 학습성과를 촉진하는 교수설계와 수업운영에 대한 기초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상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지각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학생들의 자율성욕구 충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2.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지각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학생들의 유능성 욕구 충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3.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학생들의 자율성과 유능성 욕구 충족은 자율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4.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자율적 동기는 지각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128부의 응답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은 상정된 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절차는 설정된 측정모형을 분석하여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한 후 구조모형의 적합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학생들의 자율성 욕구 충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학생들의 유능성 욕구 충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 충족은 자율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자율적 동기는 지각된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생들의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 동기 및 학습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학생들의 동기가 타고난 불변의 특질이 아닌 환경에 영향을 받는 가변적인 특징(van den Boom 외, 2004)을 지님을 입증하였다. 둘째, 자기결정성이론 연구들 대부분이 체육 수업이라는 특정 과목(Standage 외, 2006; 김보연 외, 2015)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본 연구에서는 범위를 넓혀 영어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도 기본심리욕구가 자율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학습에 대한 자율적 동기 증진을 통해 학생들의 지각된 학습성과가 높아짐을 밝혀냄으로써 학습성과를 촉진하기 위한 기초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용어의 정리 6 Ⅱ. 이론적 배경 10 A. 디지털교과서 10 1. 디지털교과서 개념 10 2. 디지털교과서 기능 11 3. 중학교 영어 디지털교과서 특징 12 B. 자기결정성이론 13 1. 자기결정성이론 13 2. 자기결정성이론의 미니이론 14 C. 지각된 학습성과 관련 영향변인 21 1. 자율적 동기(autonomous motivation) 21 2. 자율성 욕구 22 3. 유능성 욕구 23 4. 지각된 자율성지지 24 D. 관련선행연구 26 1.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자율성, 유능성 욕구 충족간의 관계 27 2.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 충족과 자율적 동기간의 관계 31 3. 자율적 동기와 학습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34 Ⅲ. 연구방법 39 A.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39 B. 측정도구 40 C. 분석방법 43 Ⅳ. 연구결과 45 A. 측정변수 간의 기술통계치 및 상호상관행렬 45 B. 측정모형의 검증 47 C. 구조모형의 검증 49 Ⅴ. 결론 52 A. 결론 및 시사점 52 B. 직접효과 검증 53 C. 시사점 57 E. 후속연구 제언 59 참고문헌 61 부록1. 설문지 71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63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중학교 영어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 자율성동기 및 학습성과간의 구조적 관계규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Factor, Psychological Mediators and Motivational Factor for Enhancing Learners’Perceived Learning Outcomes in Middle School with English Digital Textbooks-
dc.creator.othernameShin, Eui Kyoung-
dc.format.pagevii, 74 p.-
dc.contributor.examiner임규연-
dc.contributor.examiner이정민-
dc.contributor.examiner주영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