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보희-
dc.contributor.author조은비-
dc.creator조은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4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4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2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496-
dc.description.abstract사랑의 사전적 정의를 검색해보면 ‘어떤 사물이나 대상을 아끼고 소중히 여기거나 즐기는 마음’, 혹은 ‘남을 이해하고 돕는 마음’, ‘마지막엔 열렬히 좋아하는 대상’으로 쓰여 있다. 사전에서 설명하는 사랑에는 ‘대상’ 혹은 ‘상대’가 필요하며 단독적인 존재만 지칭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사전의 설명과는 다르게 사랑에 반드시 대상이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자기의 가치를 높이고 싶은 욕망’이자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을 뜻하는 자기애(自己愛)는 대상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 애정이 집중된 사랑의 형태이다. 이렇듯 자기애라는 감정이 있음에도 사랑에 대상이 강조되는 이유는 사람이 의도하지 않는 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평생을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관계에서 대상과 원만한 상황을 유지하기 위해선 자신에게 집중된 사랑과 관심을 적절히 통제해야 한다. 그렇기에 본성에 가까운 자기애보다 대상애(對象愛)가 중요시 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사람이 가진 본래의 자기애는 사라지지 않고 내면에 남아 표출되길 원하고 있다. 사람들은 이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자기애를 현실적으로 변형시켜 외부로 나타내곤 한다. 본인은 예술이라는 영역에서 자기애의 분출구를 찾았고, 그로 인해 심리적 만족을 얻고 있다.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의 자기애 이론을 통해 예술이 창작자의 자기애를 표현하는 방법이자 내면의 결핍을 채우는 수단임을 설명하고 있다. 우선 자기애 개념을 최초로 제시한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 - 1939)의 이론을 살펴보았으나 그는 자기애가 대상애를 위해 배제되어야 하는 부정적인 심리로만 여기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본인은 하인즈 코헛(Heinz Kohut 1913 – 1981)의 자기애 이론을 소개하며 연구의 이해를 더하고자 한다. 코헛은 대상애와 자기애의 가치를 평등하게 보았고 대상과 자기애의 관계, 자기애의 적절한 축소와 변형, 변형된 자기애가 구축하는 내면, 자기애의 발전과 성숙한 자립이라는 자기애의 궁극적인 목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무엇보다 코헛은 자기애와 예술이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M의 사례로 분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예술 안에서 자기애는 본래의 성격으로 표현되는 것이 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예술에서 자기애는 예술가의 재능으로 창조한 결과물로 표현되었기 때문에 사회가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다. 즉 예술은 사회가 용인하는 창조적 형태의 자기애인 것이다. 또한 코헛에 의하면 예술가는 자신의 재능으로 창조된 작업과 긴밀한 심리적 연결고리를 갖는다. 그로 인해 작가는 자신의 창조적 결과물을 분신처럼 여기게 되고 그런 작업을 통해 자기애를 충족할 수 있는 것이다. 건강하게 충족된 자기애는 사람을 더욱 성숙한 존재로 만들고 그의 주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마찬가지로 내적 성장을 이룬 예술가의 창조적 활동은 타인의 자기애 발전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M의 사례로 알 수 있었다. 본인은 자전적인 이야기를 작업에 표현하며 결핍된 자기애를 충족하고 있음을 이론적 연구를 통해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자기 고백과도 같은 작품으로 자기애를 실현한 작가 천경자(千鏡子 1924 - )와 루이즈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1911 - 2010)를 살펴보며 본인의 작업에 이해를 더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오랜 시간 본인은 한 가지 주제의 표현에 집중해왔다. 이론과 표현의 연구는 그 동안의 작업 세계를 되돌아보고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이 연구를 통해 ‘나’의 사소한 행위도 타인의 내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리고, 자기애를 충족하려는 개인의 노력에 응원을 보내고자 한다.;The dictionary definition of a love is ‘a feeling of affection towards or enjoying something or objects‘, ‘a feeling of understanding and helping others’ and finally ‘passionately liking object’. The love that explained in dictionary needs ‘object’ or ‘the other’, and does not refer to a sole being. But in contrast with the explanation of dictionary, the love doesn’t necessarily need to have objects. A narcissistic love which means ‘a desire to increase its own value’ and ‘a mind to love oneself’ is a form of love that centered on oneself not on the objects. As such, thought there is a feeling of a narcissistic love, the reason why the objects are emphasized in the love is because people live in the relationship all their lives unintentionally. In relationship to maintain a pleasant situation with objects, the love and affection centered on oneself should be controlled adequately. So, the objective love may be considered important than the narcissistic love which is near human nature. But the original narcissistic love that human being has does not disappear, does remain inside and want to be expressed. To fulfill this desire, people change the narcissistic love realistically and express outwards. I also find an outlet of the narcissistic love in one area of art and get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is study describes that the art is a method of representing a narcissistic love of creators, and at the same time a means to fill the lack of inner side through a narcissistic love theories of psychoanalysis. First I examined the theory of Sigmund Freud (1856 - 1939) which first proposed a concept of a narcissistic love, but it showed the limit that he considered the narcissistic love only as a negative sentiment that should be excluded for objective love. Therefore I introduce the narcissistic love theory of Heinz Kohut (1913 – 1981), and deepen understanding about the study. Kohut considered that the values of objective love and narcissistic love are equal, and described the ultimate goals of the narcissistic love which are the relationship of object and narcissistic love, the appropriate reduc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narcissistic love, the inner side that the transformed narcissistic love constructs and the development and mature self-reliance of the narcissistic love. What's more, Kohut analyzes that the narcissistic love and art have a close relationship through the case of M. Through it, the narcissistic love in art can be expressed as an original character. In art, the narcissistic love is accepted without social reluctance because this is expressed as a result created by the talent of the artists. Namely the art is a creative form of narcissistic love that a society accepts. In addition, according to Kohut, artists have a close psychological link with works created by their own talents. Therefore the artists consider artists’ own creative outputs as the alter ego. 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meet the narcissistic love. The properly fulfilled narcissistic love makes man more mature one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its surroundings. Likewise, a case of M implies that the creative activity of the artist who achieved an internal growth helps the others’ narcissistic love developments.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I realize that I have fulfilled the deficient narcissistic love by expressing autobiographical stories in works. While I examine the artist Chun, kyung-ja (1924 -) and Louise Bourgeois (1911 – 2010) who realized the narcissistic love through works such as self-confession, I deepen understanding about my own works and seek the futur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a long time I have focused the expression of one theme. The study of theory and expression makes opportunities to look back on the world of works so far and arrange overall. By this study, I notice that ‘my’ trivial action also affect others’ inner sides, and send out compliments to individual efforts to fulfill the narcissistic lo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A. 자기애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해석 4 B. 결핍을 채워주는 행위 11 C. 예술로 표현된 자기애 18 1. 자기애 충족을 위한 시도 19 2. 미술 작품에서 나타난 예 20 Ⅲ. 표현 방법 연구 33 A. 내면의 상징화 33 B. 상징으로서의 색 37 Ⅳ. 작품분석 41 Ⅴ. 결론 61 참고문헌 63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278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자기애 충족을 위한 시각적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Visual Representation for the Narcissistic Love Fulfillment-
dc.creator.othernameCho, Eun Bee-
dc.format.pagev, 67 p.-
dc.contributor.examiner오숙환-
dc.contributor.examiner서은애-
dc.contributor.examiner이기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