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은경-
dc.contributor.author이혜림-
dc.creator이혜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6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2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61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군인을 대상으로 치면 착색제를 이용하여 구강 보건 교육을 실시하였을 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2014년 5월 26일부터 6월 27일까지 공군 제 15특수임무비행단에서 복무하고 있는 장병 8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구강 보건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A군과 치면 착색제를 사용하지 않고 구강 보건 교육을 시행한 B군, 치면 착색제를 사용하여 구강 보건 교육을 시행한 C군 각 30명씩 90명을 선정하였다. 이중 교육을 1회이상 불참한 피험자를 제외하고 총 83명을 대상으로 주 1회씩 총 4회 구강 보건 교육을 실시 하였고, 치주낭 깊이, 치태 지수, 치은 지수, 탐침 시 출혈을 1회차 구강 보건 교육 실시 1주일 전, 4회차 구강 보건 교육 실시 1주일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구강 보건 교육 전 군 간 임상 지수의 동질성 검증과 구강 보건 교육 후 군간 임상 지수는 일원 분산 분석으로, 구강 보건 교육 전과 후의 임상 지수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 보건 교육 전 군 간 동질성 검증 결과는 치주낭 깊이, 치은 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치태 지수와 탐침 시 출혈에서는 각 군 간 교육 전 측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증 결과 B군이 C군 보다 낮게 나타났다 (p<0.05). 2. 구강 보건 교육 후 세 군 간 임상 지수를 비교한 결과 치주낭 깊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치태 지수와 치은 지수는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 차가 있었으며 B군과 C군에서 A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p<0.05). 치주낭 깊이와 탐침 시 출혈은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 차가 없었다. 3. 구강 보건 교육 전 후의 임상 지수 비교 결과, 치면 착색제를 사용하여 구강 보건 교육을 시행한 C군에서는 모든 임상 지수 (치주낭 깊이, 치태 지수, 치은 지수, 탐침 시 출혈)에서 교육 전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됨을 보였다 (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군인을 대상으로 치면 착색제를 이용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구강 보건 교육 방법이 장병들의 구강 위생 개선에 효과를 보였으며, 군 장병들의 구강 위생 개선을 위해서는 이런 점을 활용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구강 보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진행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conducted on air force personnel according to the use of disclosing solution.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ose serving in the 15th Special Missions Wing. They were divided into Group A in which oral health education was not conducted, Group B in which oral health education was conducted without using disclosing solution, and Group C in which oral health education was conducted using disclosing solution. Each group consisted of 30 individuals. Among them, the subject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at least once were excluded, and the remaining 83 subjects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four times and one time each week. The probing depth, plaque index, gingival index, and bleeding on probing were measured one week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first oral health education and one week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fourth oral health educatio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homogeneity of the clinical indices before the oral health edu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eeding on probing among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clinical indices among the three groups after the oral health education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laque and gingival indices among the three groups. Groups B and C showed lower values than Group A (p<0.05). The comparison of the clinical indices before and after the oral health edu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clinical indices (The probing depth, plaque index, gingival index, and bleeding on probing) after the education in Group C where the oral health education was conducted using disclosing solution (p<0.05). Th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ral health education that maximized visual effects and motivated the subjects using disclosing solution helped improve oral hygiene. In addition, these effects may have been more pronounced in a special group consisting of soldiers. Therefore, the oral health education of military personnel may requir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ffective and systematic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can motivate them to prevent mouth diseases themselves, including the use of visual materials such as disclosing solution and the training of how to use oral hygiene items and brush one’s teeth in ways of suiting individual nee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5 A. 연구 대상 5 B. 연구 방법 6 C. 연구 재료 8 D. 통계 분석 9 Ⅲ. 연구 결과 10 A. 구강 보건 교육 전 군 간 동질성 검증 10 B. 구강 보건 교육 후 군 간 임상 지수 비교 11 C. 구강 보건 교육 전 후의 임상 지수 비교 13 Ⅳ. 고찰 18 Ⅴ. 결론 22 References 24 ABSTRACT 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02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17.6-
dc.title치면 착색제 사용 유무에 따른 공군장병의 구강 보건 교육 효과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the Oral Health Education Effect of Air Force Personnel according to the Use of Disclosing Solution-
dc.creator.othernameLee, Hye Rim-
dc.format.pagev, 28 p.-
dc.contributor.examiner박은진-
dc.contributor.examiner김예미-
dc.contributor.examiner방은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치위생학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치위생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