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4 Download: 0

Increased ovarian volume is associated with hyperandrogenemia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Title
Increased ovarian volume is associated with hyperandrogenemia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uthors
홍소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연아
Abstract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is a heterogeneous disorder characterized by chronic anovulation, hyperandrogenenism, and polycystic ovary morphology (PCOM). Although the role of hyperandrogenism in preantral follicle development remains unclear, recent studies report that androgen stimulates folliculogenesis, especially in small follicles and provides increased ovarian stromal volume. We performed this stud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hyperandrogenism and polycystic ovary morphology. We recruited 433 women with PCOS diagnosed by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isease (NICHD) criteria and 420 control women. In the early follicular phase, all subjects underwent venous blood sampling for glucose, insulin, testosterone, LH, FSH, and 75g 2-h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fter an overnight fast. Polycystic ovary morphology was diagnosed by 7MHz ultrasonography. In women with PCOS, PCOM was identified in 304 women (70.2%). Women with PCOS had significantly higher fasting insulin, 2-h post load glucose, 2-h post load insulin, ovarian volume and ovarian follicle number and lower metabolic clearance rate (MCR) compared with age-, BMI-matched controls (all Ps<0.01). PCOS women with PCOM had significantly higher total testosterone levels compared to PCOS women without PCOM (P<0.01). Total testosterone level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ovarian volume (r=0.225, P<0.01),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association of ovarian volume with testosterone levels (β=0.163, P<0.05) in women with PCOS. Our results show that in Korean women with PCOS, high ovarian volume might be associated with hyperandrogenemia. ;다낭성 난소 증후군은 만성적인 무배란, 고안드로겐증, 그리고 다낭성 난소를 특징으로 하는 질병이다. 비록 고안드로겐증이 난포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불분명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안드로겐이 작은 크기의 여포 발달을 자극하여 난소의 기질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안드로겐증이 다낭성 난소와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isease (NICHD) 의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433명의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와 42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난포기 초기에 8시간 이상 금식한 후 혈액검사로 혈당, 인슐린, 테스토스테론, 황체 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그리고 75g 포도당 부하 검사 후 혈당과 인슐린을 측정하였다. 다낭성 난소는 질 또는 직장 초음파로 측정하였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 중 다낭성 난소는 304명 (70.2%)의 환자에서 발견되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복 혈당과 인슐린, 테스토스테론, 75g 포도당 부하 혈당과 인슐린, 난소 부피와 난포 개수, 그리고 대사 청소율을 보였다 (P<0.01).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 중 다낭성 난소가 있는 군에서 다낭성 난소가 없는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보였다. 테스토스테론은 난소 부피와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고 (r=0.225, P<0.01) 로지스틱 회기분석을 통해서도 테스토스테론과 난소부피와는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β=0.136, P<0.01). 본 연구를 통해 한국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 중에서 난소 부피가 클수록 고안드로겐혈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