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윤희-
dc.contributor.author최시인-
dc.creator최시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2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2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24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following thesis is to propose contemporary Jeju house type which reflects Jeju Island’s regionalism and traditional elements. By definition, the word ‘Regionalism’ is meant to include wide range of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lifestyle based on the region’s social & cultural background, climate, and even building materials commonly used by indigenous people. Recently, the issues about sustainability, green building, and regionalism are actively discussed. Yet, the discussion and issues are mainly researched in technical aspects. Especially, it is rare to find the study engaging traditional elements in aspect of regionalism. Not all buildings are required to hav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Though, “House” is kind of building which contains lifestyle of local resident so that it is better to preserve some part of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e. Therefore, the final goal is set to design the basic house type and housing complex that contains the regionalism of tradition housing. The proposed site is Jeju Island, which seems to have distinct social and environmental regionalism- due to a geographical location apart from main land of Korea. The research method is divided into theoretical background analysis and architectural design. Literature research was used to analyz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dditionally analyzed samples of housing complex which seemed to be closely connected with ‘Regionalism’. Theoretical background discusses about Jeju traditional housing, giving general description of its special spaces. Each spaces are classified into environmental and social-related spaces. In this step, social-cultural regionalism includes periodical transition process of space arrangement, and natural-environmental regionalism handles local (architectural) materials. Then, it leads to the analysis of plan proportion and site section based on the existing house studies. Finally, the recent state and problems of today’s local housing in Jeju are explained through the statements referenced in ‘Jeju area study report’. Supplement issue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toward current problems are partially reflected in the following design. The design process starts with arranging theoretical research into specified ‘rules’ considering ultimate goal of architectural design. Brief content of this ‘rule’ is as follows : First, based on the basic module of traditional housing of Jeju island. Second, reconstruct the module into modern way to accommodate today’s lifestyle. In this process,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o include important regional points-both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which was analyzed in theoretical background study. Finally, diversify simple module into 5 different ways to accommodate different sizes (or lifestage) of families. Main concept of design process was ‘Considering Jeju’s traditional family member formation: Nuclear family’, ‘Connectivity between centered Sang-bang space and other sub-spaces’, and ‘Usage of local materials: basalt and Chinese evergreen oak’. Suggested 5 different types of houses has basalt wall and low-pitched roof as common feature in order to show unity as ‘housing complex’. Under these common characteristics, plan, section, site plan drawings, and 3D model images of designed houses were made up with extra explanation. Each type of houses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smallest three-bay house for minimum number of people, 2 different types of four-bay house for 3-4 person households, one of the detached house has three-bay main block with extra annex building that can be used for summerhouse or pavilion, and the other one is four-bay house with three-bay house which can accommodate two families. Suggested house types and its combinations are expected to be the starting point of realizing architectural application reflecting the elements of Jeju regionalism. So that the spatial organization of basic module of the house and combination of housing complex are both simple and therefore, the design proposal has great potential for change in any time. The research in this thesis can be good resources and foundation -that continue to maintain tradition of Jeju- which will be built over from now on.;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의 지역성을 담는 현대 주택의 기본 타입을 제안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지역성’이란 해당 지역의 사회, 문화적 배경에서 비롯된 생활 양식과 기후 등 자연 환경적인 조건들 뿐 아니라 토착민들이 과거부터 흔히 사용해 온 건축 재료들을 포함한 의미로써 사용하였다. 최근 건축계에서는 지속 가능성, 친환경, 지역성 등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로 그 가능성이 기술적 측면에서 대두되는 편이며, 특히 지역성 중에서도 전통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은 매우 드문 편이다. 모든 건축물에 전통적 요소가 나타나야 할 필요성은 없으나 인간의 삶에 밀접한 주택과 같은 공간의 경우, 해당 지역의 생활상이 담겨 있는 경우가 많기에 이를 배제하고 새로운 것만을 추구하기엔 아쉽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전통 주택의 지역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현대식 생활에도 불편함이 없는 현대 주택을 제안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삼아 설계를 진행하였다. 대상지는 국내에서 비교적 지역성이 뚜렷하다고 생각되는 제주도로 정했으며, 이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에 의해 기후가 습윤하며 바람이 많고, 사회 및 문화적으로도 두드러지는 특징을 가졌기 때문이다. 연구의 방법은 크게 이론적 배경 분석과 이를 도입한 주택 설계의 단계로 나뉜다. 이론적 배경 분석에서는 문헌 연구를 주요 방법으로 채택하여 국, 내외의 주택 및 주택 단지 사례들 중 지역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들 위주로 분석하였다. 이어서 제주 전통 주택의 특징적인 공간 요소들을 개괄적으로 설명한 뒤, 각 공간들을 자연환경 및 사회문화적 지역성과 관련된 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회, 문화적 지역성에는 시대별 공간 배치의 변천 과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게 되며, 자연 환경적 지역성에서는 지역 재료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실제 전통주택의 사례를 토대로 평면 및 배치 단면을 통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어진 현대 주택의 근황 및 문제점에 관한 내용은 제주 지역 연구에 의한 문헌 결과물을 통해 파악하였으며, 이에 대한 보완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해 정리하여 이를 설계안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설계의 진행 과정은 앞선 이론적 배경을 종합하여 설계의 최종 목적을 고려한 전략을 구축한 뒤, 컨셉을 잡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이는 전반적으로 전통 주택의 모듈을 기반으로 하며, 재료와 전통성을 고려하여 현대식으로 재구성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디자인 과정에서의 컨셉은 ‘제주 전통 가족 구성원 개념 : 핵가족’과 ‘상방 공간을 중심으로 한 나머지 공간과의 연계성’, 그리고 ‘지역 재료의 사용’으로, 이 세 가지의 균형을 맞춰 설계하였다. 단지 계획 과정에서는 하강형 진입 방식을 우선시하며 제주 전통 민가의 다가성을 고려하여 배치하였다. 기본 단위 세대는 다섯 가지 다른 규모의 주택 타입을 제안하였다. 또한 집합 주택으로써의 조화를 위해 각 유닛들이 가져야 할 통일감을 주는 요소들로 재료와 낮은 경사 지붕을 꼽았다. 이를 통해 설계한 최종안에 대한 평면도, 단면도, 배치도, 그리고 3D 모델링 및 사진을 설명과 함께 작성하였다. 앞서 분석한 제주 전통 주택의 지역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제안한 다섯 가지 주택 유형은 각각 다음과 같다, 최소 거주 인원을 위한 3칸형 주택, 3-4인 가족을 위한 4칸형 주택 2가지, 3칸 기본형 주택(안거리)에 별장형 공간(밖거리)이 존재하는 주택, 그리고 두 세대가 동시에 거주 가능한 4칸 별동형 주택 등이다. 제안된 주택 유형들과 그 조합은 제주도의 지역성을 담는 그릇으로써 그 가능성을 구현해 내는 방법의 시작점이기에 그 구성이 간결하며 변화 가능성의 여지가 있는 기본 타입이다. 향후 지어질 제주의 지역성을 담는 주택들을 설계함에 있어서 본 논문이 좋은 밑거름이 되기를 희망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Ⅱ. 이론적 배경 4 1.지역성과 기후, 그리고 주택 4 1.1. 지역성과 주택 4 1.2. 기후와 주택 5 1.3. 국내외 단독주택 및 주택단지 사례 분석 6 1.3.1. 국내 사례 8 1.3.2. 해외 사례 13 2. 제주의 전통 민가 26 2.1. 제주 민가 공간의 특성 26 2.2. 제주 전통 민가의 기본 구조 28 2.2.1. 구조 부재 28 2.2.2. 가구 형식 30 2.3. 제주 가옥의 지역성 : 사회, 문화적 환경 31 2.3.1. 제주의 사회, 문화적 특성 31 2.3.2. 사회, 문화적 특성과 관련된 공간 요소 33 2.3.3. 공간 구성의 변화 과정 35 2.4. 제주 가옥의 지역성 : 자연 환경, 기후 37 2.4.1. 제주의 자연 환경과 기후 37 2.4.2. 전통 재료의 사용 38 2.4.3. 기후와 관련된 배치. 공간 요소 38 2.4.4. 기후와 관련된 부가적 요소 42 2.5. 제주 전통 민가의 사례 및 분석 44 2.5.1. 평면 사례 44 2.5.2. 주택 배치 사례 48 2.6. 제주 가옥의 지역성 : 종합 51 3. 제주의 현대 주택 52 3.1. 제주의 근대 주택 현황 52 3.2. 제주 주택 환경의 문제점 53 3.3. 주환경 개선 방안 54 Ⅲ. 건축 설계 56 1. 설계 목적 및 콘셉트 56 1.1. 설계 목적 56 1.2. 디자인 전략 57 2. 디자인 과정 58 2.1. 단위 평면 계획 58 2.1.1. 단위 평면 개념 58 2.1.2. 단위 주택 평면 63 2.2. 주택 배치 계획 65 2.2.1. 주택 배치 개념 65 2.2.2. 주택 배치 평면 66 3. 기본 계획 도면 및 3D 모델링 67 3.1. 전체 배치 67 3.2. 단독형 모듈 70 3.2.1. 타입 1 - 3칸형 주택 70 3.2.2. 타입 2 - 4칸형 주택 (1) 73 3.2.3. 타입 3 - 4칸형 주택 (3) 77 3.3. 분리형 모듈 80 3.3.1. 타입 4 - 3칸형 + 3칸형 주택 80 3.3.2. 타입 5 - 4칸형 + 3칸형 주택 84 4. 모델 촬영 사진 88 Ⅳ. 결론 92 참고문헌 94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2400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제주 표선면 성읍리 단독주택단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전통주택의 지역성을 반영한 현대주택모델의 기본 타입 제안-
dc.title.translatedJeju Pyoseon-myeon Sugneub-li Hosing complex : Jeju House Type Proposal reflecting Regionalism and Traditional Elements-
dc.creator.othernameChoi, Sie In-
dc.format.pagex, 99 p.-
dc.contributor.examiner윤재신-
dc.contributor.examiner강미선-
dc.contributor.examiner이윤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