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병구-
dc.contributor.author이유림-
dc.creator이유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5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2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575-
dc.description.abstract서론 : 우리나라에서 50세 이상 성인 5명 중 1명이 골다공증, 2명 중 1명이 골감소증으로 보고되고 있다. 골다공증 골절은 상당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가져오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골다공증 치료가 필요하지만, 골다공증 인지율과 치료율은 낮은 상태에 머물러있다. 골다공증 치료제 중 가장 많이 처방되는 bisphosphonate는 복용법이 까다롭고 위장관계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 복약 순응이 어렵다. 높은 복약순응도를 나타내는 군에서 골절위험률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나기 때문에 복약순응도를 높여 골절 발생을 예방하는 것은 골다공증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복용빈도를 줄인 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 환자에서 bisphosphonate 제제의 용법에 따른 복약순응도에 대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방법 : PubMed, Ovid-MEDLINE, EMBASE의 세 가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osteoporosis", "bisphosphonate", "alendronate", "risedronate", "ibandronate", "zoledronate", "compliance", "persistence", "adherence" 등의 검색어로 임상문헌을 검색하였다. 미리 설정한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문헌만을 선택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헌들은 순응도는 medication possession ratio(이하 MPR)의 평균과 순응도 높은 환자(good compliance; MPR>80%)의 비율로 나누고, 지속도는 12개월 경과 시 약물치료 유지 비율과 약물치료 지속 기간으로 나누어 결과를 추출하였다. 순응도 두 가지 지표와 지속도 두 가지 지표 각각에 대하여 주1회(weekly)와 월1회(monthly) 경구투여 용법, 경구투여 용법(주1회 또는 월1회)과 연4회(quarterly) 정맥주사, 연1회(yearly) 정맥주사 용법을 비교한 것으로 구분하여 나타냈다. 최종 선정된 문헌들의 결과를 양적으로 합성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메타분석에 포함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비뚤임 위험(risk of bias)을 평가하였다. 결과 : 순응도는 주1회와 월1회 경구투여 용법에 대한 메타분석을 했을 때, MPR 평균은 주1회 용법이, 순응도 높은 환자의 비율은 월1회 용법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두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했다. 월1회 경구투여와 정맥주사(연4회 또는 연1회) 용법의 순응도를 비교한 결과들은 동일한 방법의 연구설계에 해당하지 않아 메타분석을 시행할 수 없었으나, MPR 평균값은 연4회 정맥주사 용법보다 월1회 경구투여 용법과 연1회 정맥주사 용법이 높았다. 순응도 높은 환자의 비율은 월1회 경구투여 용법보다 연4회 정맥주사 용법이, 연4회 정맥주사 용법보다 연1회 정맥주사 용법이 더 높았다. 지속도는 주1회와 월1회 경구투여 용법을 비교하였을 때, 12개월경과 시 유지 비율은 메타분석 결과 월1회 용법이 지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했다. 약물치료 지속 기간은 연구 설계가 각기 달라 메타분석이 불가능했으나 4개의 문헌 중 두 개의 문헌은 주1회 경구투여 용법이 우세했고 나머지 두 개의 문헌은 월1회 경구투여 용법이 우세하였다. 월1회 경구투여와 정맥주사(연4회 또는 연1회) 용법의 지속도를 비교한 결과, 12개월경과 시 유지 비율은 월1회 경구투여 용법보다 연4회 정맥주사 용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약물치료 지속 기간은 메타분석이 불가능하였는데,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주1회 경구투여 용법, 월1회 경구투여 용법, 연4회 정맥주사 용법, 연1회 정맥주사 용법으로 갈수록 지속기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고찰 : 본 연구에서 선정한 문헌들은 주로 관찰연구였기에 연구 간의 이질성이 커져 통계적으로 유의한 하나의 결론을 도출해내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bisphosphonate의 주1회 또는 월1회 경구투여 용법, 연4회 또는 연1회 정맥주사 용법의 복약 순응도에 대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복약순응도 측정 지표의 정의를 이용하여 개별 연구들의 분석방법과 순응도 비교 결과를 제시하고, 가능한 범위에서 이를 양적으로 합성하여 점 추정치를 제시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Introduction: It is reported that one of five people over 50 years has osteoporosis and one of two people over 50 years has osteopenia. Contrast to the osteoporotic fracture which needs effective treatments for preventing numerous social and economical burden, the recognition rate and cure rate of osteoporosis are relatively low. Bisphosphonates that is most frequently prescribed among osteoporosis medicines is known for its difficulty to take and gastrointestinal side effect, which means it has low medication compliance. It is essential for osteoporosis treatment to prevent fracture incidence by increasing compliance in the sense that the fracture incidence rate appears to be significantly low among the good compliance group. This study proceeded systematic review about patient compliance and persistence with bisphosphonates by dosing in real-world,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there are many doses of reduced dosing frequence for increasing compliance. Method: Some clinical studies are searched by three databases of PubMed, Ovid-MEDLINE, EMBASE by using the key words, “osteoporosis", "bisphosphonate", "alendronate", "risedronate", "ibandronate", "zoledronate", "compliance", "persistence", "adherence". The number of 24 studies are selected that a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previously set inclusions and exclusions. The finally selected studies are classified as the results as compliance and persistence. Compliance is divided into two criteria; mean mediation possession ratio(MPR) and the proportion of good compliance(MPR>80%). Persistence is also divided into two criteria; the proportion of persisting medication after 12 months and the period of persisting medication. Also the results are classified the two dosing comparisons: one of the comparisons is weekly and monthly dosing and the other is oral(weekly and monthly dosing) and intravenous(IV; quarterly and yearly dosing) administration. Meta-analysis is performed from the studies in each criteria and dosing comparison in order to estimate which dosing is superior to the others. Result: When meta-analysing compliance on the comparison of weekly and monthly dosing, the mean MPR was superior in weekly dosing but the proportion of good compliance was superior in monthly dosing. On the other hand, these results a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On the comparison of monthly oral dosing and IV administration, meta-analysis was not available because relevant studies were not on the equal method. Nevertheless, monthly dosing was higher than quarterly and yearly IV dosing on the mean MPR. On the proportion of good compliance, quartely IV dosing is higher than monthly dosing and yearly IV dosing is higher than quarterly IV dosing. On the proportion of persisting medication after 12 months, monthly dosing was higher than weekly dosing, but were not significantly. About the period of persisting medication, weekly dosing is superior in two studies and monthly dosing was superior in the others. when analysing compliance on the comparison of oral and IV administration, monthly dos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quarterly on the proportion of persisting medication after 12 months. On the period of persisting medication, yearly IV dosing was longer in order of quarterly, monthly and weekly. Conclusion and discussion: In this study, the observational studies were mainly selected and the heterogeneity between studies became larger. Thus, this study could not come out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one result. However, this systematic review have a different signification from previous study, because it was conducted about the compliance and persistence by weekly oral dosing, monthly oral dosing, quarterly intravenous dosing and yearly intravenous dosing. Also, it is meaningful for showing the comparison about the analysis method and compliance among each studies using the definition of the medication compliance and persistence, and suggesting the point estimates through the quantitative synthesis on the possible limits as wel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골다공증의 질병특성 1 B. 골다공증의 치료 3 C. Bisphosphonate 제제와 복약순응도 5 D. 복약순응도(Compliance)와 지속도(Persistence)의 정의 9 E. 선행 연구 10 F. 연구 목적 11 Ⅱ. 연구방법 12 A. 문헌검색전략 12 B. 결과분석 및 자료 합성(메타분석) 14 C. 비뚤임 위험(Risk of Bias) 평가 15 Ⅲ. 결과 17 A. 검색 결과의 제시 17 B. 최종 선정된 문헌의 특징 19 C. 메타분석 결과 24 D. 비뚤임 위험(Risk of Bias) 평가 35 Ⅳ. 고찰 36 A. 순응도(Compliance) 36 B. 지속도(Persistence) 37 Ⅴ. 결론 39 참고문헌 41 부록 1 체계적 문헌고찰 검색어 49 부록 2 일1회(daily) 용법과 주1회(weekly) 용법 비교 52 부록 3 비뚤임(Risk of Bias) 평가 결과 56 ABSTRACT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66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골다공증 환자에서 bisphosphonate 제제의 복약순응도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ystematic review of compliance and persistence with bisphosphonates for osteoporosis-
dc.creator.othernameLee, You Rim-
dc.format.pagevi, 63 p.-
dc.contributor.examiner곽혜선-
dc.contributor.examiner이정연-
dc.contributor.examiner이병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약학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