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숙자-
dc.contributor.author이건아-
dc.creator이건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9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1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91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의 건강행위모형을 통해, 지역사회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행위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한 보건소에서 대사증후군 관리사업에 등록된 성인 대사증후군 대상자 267명으로, 2014년 5월부터 2014년 9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Fisher & Fisher(1992)의 정보-동기-행동기술(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모형을 수정하고 스트레스 요인을 추가하여 총 5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사증후군 건강행위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본 연구의 최종 모형의 적합도 지수 중 χ2통계량은 35.797(df=19, p=.011), Normed χ2 통계량은 1.884, GFI=.970, AGFI=.929, RMSEA=.058, NFI=.833, CFI=.906으로 나타났다. 적합도 지수 중 χ2 를 제외하고, NFI는 권장수준에 근접하였으며, 나머지 적합도 지수는 모두 권장수준을 만족하였다. 2.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동기의 예측요인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정보가 많을수록,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동기(γ=.264, p<.001)가 높았으며,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동기(γ=-.214, p=.001)는 낮았다.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동기를 설명하는 건강행위 정보와 스트레스의 설명력은 13.9%였다. 3.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행동기술의 예측요인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동기가 높을수록,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건강행위 행동기술(β=.582, p<.001)은 높았다.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행동기술을 설명하는 건강행위 동기의 설명력은 35.6%였다. 4.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실천의 예측요인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동기가 높을수록, 건강행위실천(β=.222, p=.005)은 높았으며,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행동기술이 높을수록, 건강행위실천(β=.378, p<.001)은 높았다.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실천을 설명하는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동기와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행동기술의 설명력은 29.8%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은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에 대한 동기, 행동기술을 통하여 건강행위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건강행위에 대한 동기, 행동기술을 강화하는 것은 직접적으로 건강행위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의 관계를 고려하여 효과적인 대사증후군 건강행위 중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하여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행위실천 증진에 기여하고 궁극적으로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합병증 예방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althy behavior model of information deficits, motivational obstacles, and behavioral skills limitations (Fisher & Fisher, 1992) with stress situations in individuals with metabolic syndrome,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these constructs on healthy behavior using a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approach. Study participants were 267 community dwelling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who were attending public health centers located in Seoul.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in the areas of information (knowledge), motivation (personal attitud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behavioral-skills (self-efficacy) for the metabolic syndrome healthy behavior, levels of stress, and practice of metabolic syndrome related healthy behavior, from May 2014 to September 2014. The relationships among the healthy behavior model constructs with metabolic syndrome and the fit of the model were estimat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based on the goodness of fit indices including χ², Normed χ2, GFI, AGFI, NFI, CFI, and RMS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tabolic syndrome healthy behavior model with stress demonstrated a good fit with the data (Normed χ2 =1.88, GFI= .970, AGFI=.929, RMSEA=.058, CFI=.906), except for χ2=35.797 (df=19, p=.011), and NFI= .833. 2. Higher motivation in the metabolic syndrome healthy behavior was influenced by more information about metabolic syndrome related healthy behavior (γ=.264, p <.001) and less stress (γ=-.214, p =.001). These predictors explained 13.9% of the variance in motiva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healthy behavior. 3. Higher behavioral-skills in the metabolic syndrome healthy behavior was influenced by higher motivation for metabolic syndrome related healthy behavior (β= .582, p<.001), and the predictor explained 35.6% of the variance in behavioral-skills of the metabolic syndrome healthy behavior. 4. Higher practice of the metabolic syndrome healthy behavior was influenced by higher motivation (β=.222, p=.005) and higher behavioral-skills for metabolic syndrome related healthy behavior (β=.378, p<.001). These predictors accounted for 29.8% of the variance in practice of metabolic syndrome related healthy behavior.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pathways through which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affect the metabolic syndrome healthy behavior. Findings suggest that providing information about metabolic syndrome related healthy behavior and stress management can enhance positive motivation and behavioral-skills of healthy behavior for metabolic syndrome and directly improve healthy behavior practice. Effective interventions targeting various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healthy behavior model are needed for preventing complications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6 C. 용어정의 7 Ⅱ. 문헌고찰 12 A. 대사증후군 건강행위 12 B.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와 정보-동기-행동기술 모형 15 C.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와 스트레스 24 Ⅲ. 연구모형 27 A. 개념적 기틀 27 B. 가설적 모형 30 C. 연구가설 33 Ⅳ. 연구방법 34 A. 연구설계 34 B. 연구대상 34 C. 연구도구 36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45 E. 연구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46 F. 자료분석방법 47 G. 연구의 제한점 49 Ⅴ. 연구결과 50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0 B. 대상자의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와 영향요인 52 C. 가설적 모형의 검정 58 Ⅵ. 논의 73 A. 지역사회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와 영향요인 73 B. 지역사회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행위 구조모형 83 C. 간호학적 의의 87 Ⅵ. 결론 및 제언 90 A. 결론 90 B. 제언 94 참고문헌 95 부록 118 Abstract 1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90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지역사회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행위 구조모형-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the healthy behavior model with metabolic syndrome : An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and stress analysis-
dc.creator.othernameLee, Guna-
dc.format.pagevii, 164 p.-
dc.contributor.examiner양순옥-
dc.contributor.examiner심경원-
dc.contributor.examiner지연경-
dc.contributor.examiner함옥경-
dc.contributor.examiner양숙자-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