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8 Download: 0

Effects of Wiki-Mediated Collaborative Writing on Korean EFL Learner’s Writing

Title
Effects of Wiki-Mediated Collaborative Writing on Korean EFL Learner’s Writing
Other Titles
위키 기반 협동 쓰기가 한국 대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오혜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wiki-mediated collaborative writing on Korean EFL learner’s individual writing ability. The effectiveness of wiki-mediated collaborative writing was examined against wiki-mediated individual writing for writing development of novice L2 writers. Of secondary interest was to elucidate if collaborative texts written by a team of learners are in fact better in quality compared to texts written by an individual learner. The study also attempted to reveal the collaborative writing process that EFL writers engage in while working with peers in a wiki environment. To provide more perspective into the potential benefits of wiki-mediated collaborative writing for EFL writers,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wiki-mediated collaborative writing were examined. The participants were 106 Korean university students taking a requisite College English course. Three identical intact classes were recruited and were assigned to three different conditions to perform three writing assignments as part of course requirement during one semester: wiki-mediated pair writing, wiki-mediated group writing and wiki-mediated individual writing. Writing tests designed to measure the participants’ academic writing ability was administered prior to and following the treatment. A post-treatmen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wiki-mediated pair and group writing participants to elicit learner percep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ki-mediated pair writing was indicated to be superior to wiki-mediated group or individual writing for improving the individual writing ability of EFL writers. Thus, the study provided evidence, although limited in the sense that group writing was not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writing, of the pedagogical benefits of wiki-mediated collaborative writing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L2 writing. Second, when the quality of collaboratively written academic texts were compared against those written individually in a wiki environment, groups produced persuasive essays superior to those written by pairs or individual writer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modes of wiki-mediated writing for summary and expository essay writing in terms of overall quality. However, with regards to accuracy, pairs consistently produced more accurate texts compared to individual writers in all writing tasks employed by the study. In conclusion, when inexperienced EFL writers collaborate with peers, even those with similar levels of writing ability, writing performance yielded by the team effort exceeds their individual writing competence, although for limited types of writing genres (persuasive essay) and limited dimensions of writing (accuracy). Third, when EFL writers revise wiki documents, they tend to focus on form rather than meaning. This was a prevailing trend discerned from an analysis of language related wiki revisions according to Kessler, Bikowski and Boggs (2012), unaffected by group formation (pair vs. group) and task type (persuasive essay vs. summary vs. expository essay). Fourth, when EFL writers were assigned to pairs or groups to co-author academic texts on a wiki, they approached the collaborative task in a parallel fashion, based on Lowry, Curtis and Lowry (2004).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co-authored either by segmenting the full text into portions and each individual tasking responsibility for completing one portion of the final document, or by each participant taking on functionally discrete roles such as writer and editor. When the collaborative writing strategies of pairs and groups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final texts produced in collaboration, it was clearly indicated that less successful teams of novice EFL writers work in a linear fashion, where individual participants fail to engage with the evolving document. Fifth, data elicited from questionnaire revealed that participants of this study, despite being first-time users of a wiki application, reported favorable perceptions of wiki technology and had positive reflections of using a wiki to perform collaborative writing. Overall, the participants viewed wiki-mediated collaborative writing to be helpful for language learning, writing development and learner affect relating to L2 writing and learning. Wiki-mediated pair writing and group writing participants did not vary to a great degree in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There are several pedagogical implications grounded on the above findings. When assigning wiki-mediated collaborative writing tasks, teachers should preferably guide learners to collaborate in a way that offers greater opportunities for writing development, instead of having learners autonomously figure out how to work together to co-construct a text using a wiki. Similarly, wiki-mediated collaborative writing tasks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learners are required to attend to both form and meaning in the revision stage of the writing. With regards to the ideal group size in collaborative writing, assigning students into pairs appears to be more advantageous than small groups of three or four learners. Finall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highlighted several avenues to be explored by future research. Given the limited availability of research on the pedagogical benefits of wiki-mediated collaborative writing, more empirical evidence needs to be collected by longitudinal studies with larger and diverse learner populations. In addition, future research should further delve into optimal task design for wiki-mediated collaborative writing so that learners clearly benefit from these projects where they co-construct a single text with peers. A related topic to be addressed by future investigation is how to structure the task so that learners interact with peers and engage with the co-owned text in a pedagogically beneficial way, as it was indicated that the nature of the collaboration process has an impact on the product.;본 연구는 협력학습의 한 형태인 위키 기반의 협동 쓰기 활동이 한국 EFL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 신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였다. 위키 환경에서 개별적으로 작문을 연습한 학습자 집단과 동료들과 협력하여 작문을 연습한 학습자 집단간에 영어 쓰기 능력의 향상 유무 및 그 정도를 비교하여 위키 기반 협동 쓰기의 효과를 탐색했다. 이와 함께, 실제 다수의 학습자들이 공동으로 완성한 쓰기 결과물과 학습자 1명이 완성한 쓰기 결과물이 질적으로 차이가 나는지 조사하였다. 더불어 위키 기반 온라인 협동 작문의 실제 과정을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협동 쓰기 과업에의 참여 형태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위키 기반 협동 쓰기 활동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보다 밀도 있게 연구하고 체계적으로 현실화하기 위해서, 사후 설문지를 통해 위키 기반 협동 쓰기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대학교 1학년 세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06명의 대학생들로써 이들을 실험 집단 2개와 통제 집단 1개로 나누어 15주간의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 집단 1과 2는 각각 2명(짝 활동)과 3~4명으로 구성된 소그룹으로 동료와 협력하여 논설문(argumentative essay), 요약글(summary) 그리고 설명문 (expository essay) 3가지 유형의 글을 위키 환경에서 작성하였다. 반면 통제 집단은 실험 집단과 동일한 쓰기 과업을 수행하되, 동료와의 상호작용 없이 학습자 개별적으로 글쓰기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연구문제 별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키 기반 짝 활동으로 한 개의 글을 완성한 학습자는 소그룹으로 협동 쓰기를 수행하거나 혹은 개별적로 작문을 완성한 학습자와 사후 쓰기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비록 소그룹 단위의 위키 기반 협동 쓰기와 위키 기반 개별 작문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성공적인 외국어 쓰기 교수 학습을 위한 방안으로써 위키 기반 협동 쓰기의 유용성이 제한적으로나마 확인되었다. 둘째, 위키 기반 협동 쓰기와 개별 쓰기 활동의 결과물을 비교한 결과, 소그룹으로 학습자들이 협력해서 작성한 논설문이 짝 활동 혹은 개별적으로 작성한 논설문보다 질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드러났다. 요약글과 설명문의 경우에는 실험 및 통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글의 정확도와 관련해서는 2명의 학습자가 짝을 이뤄 공동으로 쓴 작문이 개별적으로 작성한 것보다 과업의 종류에 관계없이 우수하였다. 즉, 영어 쓰기 경험이나 실력이 부족한 동료와의 협력을 통해서도 학습자 개인의 능력을 뛰어넘는 글을 작성할 수 있다는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물론 본 연구의 경우, 이와 같은 협동 또는 협력적 쓰기의 긍정적인 효과가 논설문과 글의 정확도에서만 제한적으로 드러났다. 셋째, 학습자들이 위키 기반 온라인 환경에서 작문을 수정 시, 글의 내용 보다는 문법이나 철자 교정 등 형식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양상은 협력적 쓰기에 참여하는 팀의 인원(짝활동 vs. 소그룹)이나 쓰기 과업 종류(논설문/요약글/설명문)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 대상자들의 협동 쓰기 전략을 분석한 결과, EFL 학습자들은 협동쓰기 과업을 완수하기 위해서 하나의 글을 부분으로 나눠서 구성원들이 각자 맡은 부분만 완성하는 방식 혹은 구성원들이 기능적으로 각기 다른 역할 (writer, editor)을 담당하는 방식으로 협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협업 방식과 협업 산출물의 완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협동 글쓰기 과정에 학습자들이 순차적으로 기여하는 방식으로 협동쓰기를 전개한 팀들의 작문 결과물이 질적으로 우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후 설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 대상자들은 위키를 처음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위키라는 기술 그리고 위키 기반 협동 쓰기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EFL 학습자들은 위키 기반 협동 쓰기 활동이 외국어 학습 및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뿐 아니라, 영어 쓰기 및 외국어 학습 전반과 관련된 정의적인 측면에서도 어느 정도 효과적이라고 인식했다. 팀 구성 인원의 차이(짝활동 vs. 소그룹)는 위키 기반 협동 쓰기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이나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영어 쓰기 교수학습을 위한 위키 기반 협동 쓰기의 활용과 관련해서 교육 현장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위키 기반 협동 쓰기 과업을 통해 학습자 개인의 외국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교수자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교육적 잠재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협업 방식 및 상호작용을 유도해야 하며 협동 쓰기 과업을 효과적으로 설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3~4명의 소집단보다는 짝활동으로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인 협업에 있어서 유리하고 분명한 교육적 이점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향후 연구 과제를 살펴보면, 우선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위키 기반 협동 쓰기의 교육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이와 함께 위키 기반 협동 쓰기 학습 모형에 대한 후속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