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대금과 관현악을 위한 협주적 환상곡 <풀>’의 독주대금 선율 분석연구

Title
‘대금과 관현악을 위한 협주적 환상곡 <풀>’의 독주대금 선율 분석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he Solo Daegeum melody of ‘Concerted Fantasy for Daegeum and Orchestra’
Authors
박소민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play/understand Korean creative music played on the basis of traditional music by analyzing the solo daegum play of ‘Concerted Fantasy for Daeguem’ by Lee Gonyong. For analysis, the solo Daegun melody of ‘Concerted Fantasy for daegum and Orchestra Music’was divided into four parts of prelude, part A, B and C. and analyzed. And again, these four parts were divided into sections and by-section composition, time, fastness and beat were found out and then theme melody, its alteration, major rhythm and its alteration were found out by section. Also, factors of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were looked into and musical features of each factor were found out. Results thereof are arranged as follow; First, the structure of its prelude has sections of a, b, c, d(connecting tie hole) with a total of 67 measure from measure 1 ~ 67. Its composition is bᵇm with 12/8 beat, Andante(note)=60 and is induced into zajinmori beat by changing fastness from 3-beat goodgeori beat to accel. al Allegro. Also, each section has theme melody pattern move down to minor 2nd and major 2nd and lead melody with repeated rhythm so that conformity can be given to the flow of the music. Also, the major rhythm leading the melody of the solo daegum uses 3-beat and –beat rhythm, empathizing hemiola rhythm and frequent use and alteration of this rhythm pattern creates an intense air. It uses composition of bᵇm and scales of traditional music(Hwangjong, Taeju, Joongryeo, Imjong, Muyeuk) and scales of Pyeongjohoesang(Imjong, Namryeo, Hwoangjong, Taeju, Joongryeo) along with a western factor of accidental marks to show chromatic proceeding. In addition, factors of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are properly mixed. Second, the structure of part A is divided into section a and b with a total of 66 measures from measure 68 to 133. Its composition is bᵇm with 12/8 beat and Allegro (note)=112, expressing the melody of the solo daegum on top of zajinmori beat. Also, 4 rhythms in eighth note’s 3-prolonged sound is connected with a tie and presented as the theme melody of part A. This melody’s connection of ties, as music goes on, gets reduced from 4((note)(note)(note)(note)) to 2((note)(note)) and 1 with 3 prolong sound(note) appearing as a major rhythm. And, repeatedly appearing 3-prolonged sound(note) leads melody and changes into quarter note(♩) and eighth note(♪) to emphasize rhythm. Western mode is also shown as a melody. This can be regarded as semi-tone shown in the major and minor of 7-scale western music moved to unfold melody. Third, structure of part B is composed of a, b, c with a total of 79 measures from measure 134 ~ 212. Its composition is bᵇm with beat fastness 12/8 and Adagio (note)=48 and Andante (note)=60 goodgeori beat moves slowly to fast with four-four time, (note)=60. 3-prolonged sound(note)’s rhythm gets altered due to use of dotted notes(♪(note)(note)) and presented as theme melody of part B. That is, repetition of these dotted notes leads a lyrical melody, giving the music conformity. Also, its theme melody being altered into various patterns of sound with 16th note(♬) and 8th note(♪) shows rhythmical fast passage. And part B made of bᵇm’s five scales(bᵇ, eᵇ, aᵇ, dᵇ, gᵇ) shows zangarak ornamental sound of traditional music. In this manner, the music’s section A where Korean-type brilliant melody and section B mixed with western musical factors and scales comparatively reveal features of Korean and western music. In other word, through section A showing the brilliant melody of Korean music using bᵇm’s five scales(bᵇ, eᵇ, aᵇ, dᵇ, gᵇ) section B showing rhythmical play using accidental marks, a factor of western music for intense melody and regular rhythm and articulation, Korean music is grafted into western music in the musical piece. Fourth, structure of part C is made of a(tie hole), b, c and d with a total of 99 measures from measure 213 ~311. Its composition is bᵇm with three-four time, moving fast from Andante ♩=76 to ♩=108, to 12/8 time with Moderato (note)=52, Allegretto (note)=72 accel. al Allegro and Allegro (note)=128 at a gradually faster speed, inducing the music to its climax. 3/4 time rhythm and melody repeat their beat and fastness into 12/8-time goodgeori rhythm. Subsequently, it connects to zajinmori rhythm through accel. al Allegro. Part C whose theme melody moves major 2nd upward and repeats itself gives the flow of the music conformity. And its melody with a long sound of quarter note gradually segmented into 8th note(♪) and 16th note(note) leads the melody so the major rhythm of part B gets repeated fast, playing a bridge role. In this manner, the flow of the music gets induced at gradually faster speed until the melody of the solo daegeum reaches zajin mori at Allegro (note)=128. Due to these, the intense semi-tone melody, where goodgeori and zajinmori beats which are factors of traditional music and accidental marks, which are a factor of western music are intermixed, highlights fast rhythm and melody, bringing the flow of the music to an end. The analytic research on this musical piece is intended to help play and interpret creative music being played on the basis of traditional music by understanding Korean creative music that changes as time passes by.; 본 논문의 목적은 이건용 작곡‘대금을 위한 협주적 환상곡 <풀>’의 독주대금 선율을 분석연구를 통하여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행해지는 한국 창작음악의 연주와 해석을 돕고자 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대금과 관현악을 위한 협주적 환상곡 <풀>’의 독주대금 선율을 서주부분, A부분, B부분, C부분으로 4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시 이 4개 부분은 단락으로 구분지어 구성 범위를 나누었고, 각 단락별로 조성, 박자, 빠르기, 장단을 파악한 뒤 주제선율과 주제선율의 변형, 주요리듬과 주요리듬의 변화를 부분별로 파악했다. 또한, 이 곡에서 나타난 전통음악적 요소와 서양음악적 요소를 살펴보고 각 요소들의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주부분의 구조는 a, b, c, d(연결구)의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마디~제67마디까지 총 67마디로 이루어져있다. 조성은 bᵇm이며 12/8박자 Andante♩=60으로 3분박의 굿거리장단에서 accel. al Allegro.를 통하여 빠르기의 변화를 도모해 자진모리장단으로 유도했다. 또한, 각 단락마다 주제선율 음형을 단2도와 장2도로 하행 이도 시키고, 동일한 리듬으로 반복하여 선율을 이끎으로써 곡의 흐름에 통일감을 부여했다. 또한, 독주대금의 선율을 이끄는 주요리듬은 3분박 리듬과 2분박의 리듬을 사용하여 헤미올라의 리듬을 강조했고, 이 리듬꼴을 빈번하게 사용하고 변형함으로써 긴장된 분위기를 연출했다. bᵇm의 조성과 전통음악인 영산회상 음계(황종, 태주, 중려, 임종, 무역)와 평조회상 음계(임종, 남려, 황종, 태주, 중려)를 사용하였으며 서양음악의 요소인 임시표의 사용으로 반음계적 진행을 보여준다. 또한 전통음악의 요소와 서양음악의 요소가 적절히 혼용되어 나타난다. 둘째, A부분의 구조는 a, b 단락으로 나뉘며 제68마디~제133마디까지 총 66마디로 이루어져있다. 조성은 bᵇm이며 12/8 박자 Allegro (음표)=112의 빠르기로 자진모리장단 위에 독주대금의 선율이 나타났다. 또한, 8분음표 3연음(음표)의 리듬 4개가 타이(tie)로 연결되어 A부분의 주제선율로 제시된다. 이러한 선율은 곡의 흐름이 진행될수록 타이(tie)의 연결이 4개((음표)(음표)(음표)(음표))에서 2개((음표)(음표)), 1개로 축소되었으며, 3연음(음표)이 주요리듬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3연음(음표)의 주요리듬은 반복적으로 나타나 선율을 이끌며 4분음표(♩)와 8분음표(♪)로 변형되어 장단이 강조된다. 또한, 서양음악적인 선법이 선율로 나타난다. 즉, 이것은 서양음악의 장조와 단조의 7음계 스케일에서 나타나는 반음이 이동되어 전개된 선율로 볼 수 있다. 셋째, B부분의 구조는 a, b, c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34마디~제212마디까지 총 79마디로 이루어져있다. 조성은 bᵇm이며 12/8 박자 빠르기는 Adagio (음표)=48, Andante (음표)=60의 굿거리장단에서 4/4 박자 (음표)=60 으로 곡의 흐름이 느림에서 빠름으로 진행된다. 3연음(음표)의 리듬이 점음표(♪(음표)(음표))의 사용으로 인해 변형되어 B부분의 주제선율로 제시된다. 즉, 이 점음표를 반복하여 서정적인 선율을 이끎으로써 곡의 흐름에 통일감을 부여한다. 또한, 주제선율은 16분음표(♬)와 8분음표(♪)의 다양한 리듬의 형태로 변형되어 빠른 패시지를 나타내 리드미컬한 진행이 나타난다. 그리고 B부분은 bᵇm의 5음 음계(bᵇ, eᵇ, aᵇ, dᵇ, gᵇ)로 전통음악의 잔가락 시김새를 나타낸다. 이렇듯 한국적이고 화려한 선율을 표현한 a단락과 서양음악적 요소와 음계를 가미한 b단락으로 인해 곡의 흐름에서 한국과 서양음악적 특징이 대조적으로 드러난다. 다시 말해, bᵇm의 5음 음계(bᵇ, eᵇ, aᵇ, dᵇ, gᵇ)를 활용하여 한국 전통음악의 화려한 선율을 보여준 a단락과 서양음악의 요소인 임시표를 사용하여 반음계의 긴장된 선율진행과 동시에 규칙적인 리듬과 아티큘레이션을 사용하여 리드미컬한 진행을 보여준 b단락을 통해, 곡 안에서 한국과 서양음악의 접목적 표현을 발견할 수 있다. 넷째, C부분의 구조는 a(연결구), b, c, d 의 단락으로 제213마디~제311마디까지 총 99마디로 이루어져있다. 조성은 bᵇm이며 3/4박자 Andante ♩=76 에서 ♩=108로 더욱 빠르게 진행되어 12/8 박자로 변해 Moderato (음표)=52, Allegretto (음표)=72 accel. al Allegro, Allegro (음표)=128 로 점차 빠르게 진행하여 곡의 흐름을 클라이맥스로 유도했다. 3/4 박자의 리듬과 선율진행은 박자와 빠르기의 변화를 거듭하여 12/8 박자의 굿거리장단으로 발전된다. 이어서, accel. al Allegro를 통하여 자진모리장단으로 연결된다. C부분은 A부분의 주제선율이 장2도 상행하여 재현되어 나타나 곡의 흐름에 통일감을 부여한다. 그리고 4분음표(♩)의 긴 음가를 가진 선율은 8분음표(♪)와 16분음표(음표)의 리듬으로 점차 분할되어 선율을 이끎으로써 B부분의 주요리듬이 빠르게 재현되어 몰아가는 가교적(bridge)역할로 나타난다. 이렇듯 곡의 흐름을 점점 더 빠르게 유도하여 Allegro (음표)=128의 자진모리장단까지 독주대금의 선율을 이끌어낸다. 이로 인해 전통음악의 요소인 굿거리와 자진모리장단에 서양음악의 요소인 임시표를 사용한 반음계의 긴장된 선율이 빠른 리듬과 장단을 부각시키며 곡의 흐름을 종지부로 이끌어준다. 본 작품의 분석연구를 통해 시대적 흐름 안에 변화하는 한국 창작음악의 변화를 이해하여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행해지는 창작음악의 연주와 해석에 대한 연구를 돕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