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숙자-
dc.contributor.author김정은-
dc.creator김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6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1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660-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환자, 고위험군 및 건강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수많은 건강 정보들이 인터넷이나 인쇄물을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효과적인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대상자가 이해하기 쉽고 적합한 교육 자료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육 인쇄물이 얼마나 읽기 쉽고 적합하게 제작되어 제공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 교육 인쇄물의 이독성(易讀性, Readability)과 적합성(適合性, Suitability)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대상자들의 이해 수준에 적합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11월 25일부터 2014년 12월 20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속한 25곳의 보건소 대사증후군 교육 인쇄물을 수집하여 최종 15개 보건소의 15부 교육 인쇄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독성을 측정 도구로는 낱말 어휘정보처리연구소(http://www.natmal.com)가 조정한 9등급 ‘난이도 분류’를 이용하였고 적합성 도구로는 1993년 Doak, Doak과 Root에 의해 개발된 Suitability Assessment of Materials(SAM)을 성낙진 등(2004)이 번역 수정한 SAM 한국어판을 이용하였다. 이독성 평가는 등급당 1점씩 가중치를 두어 각 자료의 등급 평균을 산출하였고 적합성 평가는 2인의 평가자가 독립적으로 각 교육 인쇄물을 평가한 뒤 평가자 간 점수의 차이가 큰 항목에 있어서는 2인이 함께 재검토후 점수를 결정하였다. 이독성과 적합성 평가 결과는 SPSS WIN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사증후군 교육 인쇄물의 표지 제목은 ‘대사증후군’ 이 8개(53.3%)로 가장 많았고 ‘서울시와 오락하자’ 라는 제목을 이용한 경우는 4개(26.7%)였다. 유형별로는 3단 접지 리플릿이 7개(46.7%), 4단 접지 리플릿이 5개(33.3%)였고 소책자, 책자, 낱장 구성 유인물 형태가 각각 1개씩(6.7%)이었다. 구성 페이지 수는 6쪽이 8개(53.3%)로 가장 많았고 8쪽이 5개(33.3%)였다. 인쇄물의 크기는 21x10cm이 5개(33.3%)로 가장 많았고 21x9.5cm이 2개(13.3%), 23x11cm이 2개(13.3%)였고 그 외 크기들은 각각 1개씩(6.7%) 이었다. 2. 대사증후군 교육 인쇄물 이독성 평가에서 사용된 총 어휘의 수는 4,477개였다. 등급별로 어휘사용량을 살펴보면 1등급이 전체에서 23.7%, 2등급이 24.2%, 3등급이 19.1%, 4등급이 12.5%, 5등급이 10.9%, 6등급이 3.8%, 7등급이 3.4%, 8등급이 2.1%, 9등급이 0.4%를 차지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수준까지를 의미하는 1등급부터 4등급까지의 어휘사용량은 3,553개(79.4%)였다. 어휘의 중복을 허용했을 때 교육 인쇄물의 전체 이독성 등급 평균은 3.0등급, 어휘의 중복을 비허용하여 분석했을 때에는 2.9등급이었다. 3. 대사증후군 교육 인쇄물의 적합성 총점 결과는 부적합 1개(6.7%), 적합 12개(80.0%), 우수 2개(13.3%)이었다. 부정적 평가가 많았던 항목으로는 요약 및 복습(부적합 14개, 93.3%), 배경 기술(부적합 13개, 86.7%), 상호작용(부적합 6개, 40.0%)이었다. 반면에 긍정적 평가가 많았던 항목으로는 소제목들(우수 12개, 80.0%), 제목과 설명(우수 11개, 73.3%), 정보의 범위(우수 10개, 66.7%), 소제목을 이용한 학습 촉진(우수 10개, 66.7%)이었다. 전체 15개 교육 인쇄물의 적합성 점수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평균 점수는 57.9점으로 ‘적합’에 해당되었다. 본 연구의 대사증후군 교육 인쇄물은 적정한 이독성 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어휘의 난이도’ 측면으로만 측정된 이독성 수준이라는 제한점을 감안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 외의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이독성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대사증후군 교육 인쇄물의 적합성은 평균 점수 57.9점으로 전체적으로 ‘적합’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인쇄물 형태의 지면적 제한으로 인하여 ‘요약 및 복습’과 ‘배경 기술’ 항목에서 부적합 평가가 많았다. 추후 교육 인쇄물 제작 시 대상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요약 및 복습’과 ‘배경 기술’ 측면의 보완이 필요하다.;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adability and suitability of printed educational material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15 printed educational materials related from metabolic syndrome from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The data were evaluated using following assessment tools : The 9 Graded Korean Vocabulary Classification for assessment of the readability level, The Korean version of SAM(Suitability Assessment of Materials) for assessment of the suitability. Results: Overall average of the readability was 3.0th grade level. The percentage of 1st to 4th grade words was 79.4%. The printed educational material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were written as below elementary school 4th grade reading level. It means that the materials are written above recommended reading levels. In suitability assessment, 2(13.3%)of 15 materials were scored as superior, 12(80.0%) scored adequate and 1(6.7%) scored inadequate. The total average score of suitability was 57.9 out of 100 which means adequate. However, there are limitation in some items such as "summary and review" and "context is given first" due to limited writing pages. Conclusions: Readability and suitability of printed educational materials for metabolic syndrome were evaluated as adequate level. However, various tools should be used and developed to evaluate more accurate readability. Also, in order to increase readers' understanding, health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written well-suited to target group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대사증후군과 교육 인쇄물 7 B. 이독성 9 C. 적합성 14 Ⅲ. 연구방법 18 A. 연구설계 18 B. 연구대상 18 C. 연구도구 19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23 E. 자료분석방법 23 F. 연구의 제한점 24 Ⅳ. 연구결과 25 A. 대사증후군 교육 인쇄물의 특성 25 B. 대사증후군 교육 인쇄물의 이독성 평가 27 C. 대사증후군 교육 인쇄물의 적합성 평가 31 D. 대사증후군 교육 인쇄물의 이독성과 적합성 35 V. 논의 37 Ⅵ. 결론 및 제언 46 A. 결론 46 B. 제언 48 C. 연구의 의의 49 참고문헌 50 부 록 62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99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대사증후군 교육 인쇄물의 이독성과 적합성 평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the Readability and Suitability of Printed Educational Materials on Metabolic Syndrome-
dc.creator.othernameKim, Jung Eun-
dc.format.pageviii, 68 p.-
dc.contributor.examiner지연경-
dc.contributor.examiner백희정-
dc.contributor.examiner양숙자-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