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Kyong-Mi D. Kwon-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creat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9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1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94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서사연구의 일환으로‘순정(純情)’의 감정구조를 형상화시킨 순정 서사를 통해 1980년대를 살았던 젊은 여성들의 시대의식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순정 서사를 대중적으로 퍼뜨린 순정 만화 텍스트 중 1980년대 대중적 인기를 끌었던 『별빛 속에』, 『아르미안의 네 딸들』, 『인어공주를 위하여』을 분석하였다. 이 시대는 순정만화 역사상 한국식 순정만화를 탄생시킨 중요한 시대이며 이 시대 젊은이들은 통제와 자율을 동시에 맞본 낀 시대의 낀 세대로 특징지을 수 있다. 텍스트 분석에 앞서 우선 순정 서사 구축에 영향을 끼친 한국의 사회·문화적 외부 요소를 살펴보았다. 순정이 소녀성(少女性)을 대변한다는 기존의 관념은 실상 1950년대 전후 망가진 사회질서와 윤리를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해‘도덕적 결백’을 가진 소녀들을 내세움으로 만들어졌다. 이렇게 소녀의 이미지로 구축된 순정은 B급 문화 만화 검열에 영향을 미쳤고 성애관련 내용은 전면 삭제하면서 순정의 순(純)을 순결과 연결시켰다. 마지막으로 1980년 순정만화는 20대 젊은 여성이 주요 서사를 이끌어가는 젊은 여성의 삶과 고민이 녹아들어간 서사 공간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텍스트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서사 전체를 이끄는 세계관을 파악하였는데 운명, 신, 윤리, 도덕으로 형상화된 거대서사에 의해 운행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한국 사회의 순응적 기제를 담당했다고 여겨지는 절대 권력을 불러온 이유는 이를 역이용하여 순정의 순도(純度)와 강도(强度)를 입증하고 공인(共認)된 사랑으로 만들기 위해서다. 고로 1950년대 사회요구에 의하여 도덕성을 강요당한 소녀와 달리 1980년대 순정 서사 속 여주인공은 운명과 윤리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작동하도록 차용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이어 세부 서사 분석에 들어가‘순(純)’과‘정(情)’의 요소를 분석한 결과 순정을 신비화시키고 있음을 발견했다. 여주인공은 신비화된 순정으로 힘을 얻고 고양된 자아와 향상된 지위를 획득했다. 남녀의 애정관계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감정의 양태로 구성된 정의 공간에서 여주인공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정신적 성숙을 이룬 자로 칭송받는다. 또한 사적으로는 정서적 결함을 가진 남주인공을 치유하는 존재이며 공적으로 모성애, 민족애, 인류애로까지 확장된 사랑의 힘을 가진 영웅적 여인상으로 변모한다.‘순(純)’으로 형상화된 공간에서 순정은 미화된 얼굴과 크고 반짝거리는 눈을 통해 시각적 아름다움(美)이 덧입혀진다. 이로 인해 남녀 간 신체구분은 최소화되고 성애장면을 없앰으로 육체적 힘의 논리를 배제시켰다. 따라서‘평등한 이성애’에 대한 상상을 가능케 하였으며 이러한 바탕아래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희생은 약자로서 강요받은 선택이 아니라 고귀한 인격의 존재임을 증명해주는 기제로 쓰인다. 신비화된 순정은 여주인공에게 복구와 구원의 힘을 선사하고 급기야 그들을 종교적 반열에 오르는 숭고한 존재로 등극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순정 서사가 갖는 한계점은 순정을 이상화시키는 전략으로 인하여 ‘거대 주체에 호명된 자아’를 만들어 여주인공의 주체성을 부정했다는 점이다. 이는 아마도 ‘이념의 과잉’시대에 살았던 젊은이들의 한계점일 것이고 이후 다가올 1990년대를 향해 그들이 남겨 놓은 숙제일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본고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980년대 젊은 여성들에게 순정만화 속 순정 서사는 하나의 실험대와 같았을 것이다. 이곳에서 그들은 기성세대가 제시하지 못한 자기긍정의 여성 이미지를 만들어내고자 희망해왔지만 현실에서 감히 실현화해보지 못했던 것들을 상상해 보는 해방감도 맛보았을 것이다. 비록 주체성의 상실이라는 한계점은 부정할 수 없으나 힘없다 여겨진 순정을 역이용해 새로운 순정(純情)의 신화(神話)를 탄생시켰다는 점은 1980년대 젊은 여성들의 차별화된 시대의식을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as a part of studies in popular culture and narratives is to discover the young women's perception in the 1980s through the Soonjung comics which embodies the feelings of Soonjung (pure love, 純情) coined by the Korean society. Soonjung manhwa (Korean girls' comics) is the most popular among the Soonjung narratives. The 1980s is a time of transition when the people were struggling to accept the conflicting values between conventionality and emancipation. This time marks a significant change in Korean comics history since Korean girls' comics started to develop a new style unique to Korea. This paper analyzes three works: In the Starlight, Four Daughters of Armian, and For the Sake of the Little Mermaid, due to their popularity and authors' reputation. Fir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established Soonjung narrative in girls' comics. The term Soonjung is closely related to young girls because the Korean society needed morally pure girls to restore the broken social order and ethics after the Korean war. The government placed a strict censorship on sexual scenes and eventually Soon(pure, 純) of Soonjung became closely connected to chastity. Contrary to common belief, the main readers of Soonjung comics are not teenagers but young women in their 20s. The comics reflect not the teenagers' immature sentiments but the various aspects of these young women's lives. The paper analyzes the texts mainly in two ways: how the narratives are built based on common beliefs and it analyzes the two elements Soon(pure, 純) and Jung(human attachment, 情). The narrative space of Soonjung was controlled by the grand narratives such as destiny, God, ethics, and morals. They are the absolute powers used to sustain and justify the purity and strength of Soonjung. It should be noticed here that the female characters actively take advantage of the grand narratives for their own sake. This is critically different from the passive girls of the 1950s who were forced to be morally innocent by the society. The narrative element analysis reveals that the Soonjung narrative strategy is to mystify and idealize Soonjung. The main female characters empowered by the mystified Soonjung can acquire heightened self-esteem and advanced social status. The space of attachment symbolizing Jung shows a wide spectrum of human affections, not restricting the love between men and women. This space of intimacy praises the women for their ability to establish exclusive relationships that make them emotionally and mentally more matured than men. On the individual level, they become healers who save the male characters from suffering emotional distraught. On a public scale, they develop into heroines by expanding Jung from maternal love to patriotism then to love for all mankind. In the space of Soon, all Soonjung's characters, regardless of gender, are beautified with twinkling eyes and pretty faces to the extent where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 gender of the characters. This extreme beatification minimizes erotic connotations. The absence of sexual scenes benefits the female readers by equalizing the love between men and women in a male dominant society. It rids of women's subconscious fear for sex and resistance to the gender inequality. In this equal relationship, sacrifice does not mean a forced choice that the weak makes but an evidence to prove the sacrificer's sublime character and her sacred image. Despite the enhanced portrayal of women, the Soonjung narrative in 1980s has its limitations because it denies subjectivity by ignoring personal desires. It instead constructs an interpellated self through grand narratives. This leads to the fact that the youth from the 1980s, the age of excess in ideologies, could not overcome these social restraints; therefore, they left this as homework for the next generation in the 1990s. This paper concludes that Soonjung narrative was an imagined space where the young women of the 1980s could experiment what they had hoped for but not dare to actualize in their real lives. It surely gives them freedom of fantasizing where they could weigh the conflicting values to create an ideal image of women that the society demands. At the same time, the women can internalize the idealized image. The myth of Soonjung, a practice of self-portraiture by women in the 1980s, was a stepping stone for the development of women image in the 1990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머리말 1 A. 연구의 의의와 목적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3 C. 선행연구 고찰 8 D. 이론적 배경 11 E. 순정의 용어정의 15 II. 1980년대 후반 젊은이 문화 18 A. ‘낀’ 시대 18 B. ‘낀’ 세대 21 1. 감성(感性)과 자아(自我) 21 2. 통제와 가치관의 괴리 24 Ⅲ. 순정 서사의 문화사적 의미 29 A. 순정 서사에 미친 문화·사회적 배경 29 1. ‘순정’을 둘러싼 사회통념 30 2. B급 문화 검열제도 34 3. 젠더화된 만화 시장 37 B. 순정 서사 분석 41 1. 순정의 세계관과 윤리관 46 가. 운명론 속 의지발현 46 나. 도덕적 우월함 54 다. 공인(共認)된 사랑의 합일(合一) 57 2. 순정 서사 요소 분석 63 가. ‘정(情)’의 이상화 63 (1) 친밀의 공간 63 (2) 정의 신비화 70 나. ‘순(純)’의 형상화 76 (1) 아름다운 마음과 얼굴 76 (2) 비성애적 순수 82 (3) 승격화된 희생 85 IV. 결론 및 논의 92 참고문헌 98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5382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순정(純情)의 신화(神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순정만화를 통해본 1980년대 순정 서사 분석 - <별빛 속에>, <아르미안의 네 딸들>, <인어공주를위하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Soonjung narrative in the Korean Girls' comics in 1980s : focusing on 『In The Starlight』, 『Four Daughters of Armian』, and 『For the Sake of the Little Mermaid』-
dc.creator.othernameKim, Eun Joung-
dc.format.pagevi, 107 p.-
dc.contributor.examiner김영훈-
dc.contributor.examiner노상호-
dc.contributor.examinerKyong-Mi D. Kwo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