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43 Download: 0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용언에 따른 '이/가', '을/를'대치 오류 양상

Title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용언에 따른 '이/가', '을/를'대치 오류 양상
Other Titles
A Study on Patterns of the replacement error "i/ga" and "eul/leul" according to predicates cause for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uthors
유지연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주격 조사 ‘이/가’와 목적격 조사 ‘을/를’의 대치 오류의 원인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 오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학습자들이 생산한 자료를 통해 조사 오류의 원인을 분석한 연구들은 있지만 그 원인을 검증한 실험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모국어 전이로 인한 서술어의 이해 부족이 중국인 학습자들의 조사 오류의 원인이 된다는 선행연구들의 분석을 바탕으로 실험을 통해 용언 유형이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 대치 오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첫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주격 조사 ‘이/가’와 목적격 조사 ‘을/를’의 대치 오류가 용언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가, 둘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주격 조사 ‘이/가’와 목적격 조사 ‘을/를’의 대치 오류가 숙달도에 의해 극복되는가이다. Ⅱ장에서는 대조분석적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격 실현 방법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문장의 서술어와 필수 논항과의 관계를 격조사로 나타내는 한국어에서 조사의 선택과 서술어와 관계의 중요성을 밝혔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장성분과 기본 문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어의 기본 문형을 바탕으로 여섯 가지 용언 유형을 선정하고 대응하는 중국어 용언과 비교하여 모국어와 목표어 용언의 품사 일치여부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분류한 용언 유형을 바탕으로 연구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 도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용언 유형에 따라 주격 조사 ‘이/가’와 목적격 조사 ‘을/를’의 대치 오류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빈칸 채우기 과제이다. 각 용언 유형에 따라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의 사용 양상을 살펴볼 수 있도록 빈칸을 구성하여 총 30개의 문항을 제작하였다. 실험은 한국인 모어화자 20명과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대학 및 대학 부속 한국어 교육 기관에 재학 중인 중국인 초급 학습자 20명, 중급 학습자 20명, 고급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중국인 학습자의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의 대치 오류 양상은 용언 부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모국어와 목표어의 용언 유형의 일치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모국어와 목표어의 용언 품사가 일치하는 경우보다 불일치하는 경우에 오류가 더 많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모국어의 부정적인 전이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조사 오류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 대치 오류는 숙달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각 용언 유형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모국어와 목표어의 품사가 일치하는 유형에서는 숙달도 변인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불일치하는 불완전자동사와 심리 형용사에서는 숙달도에 따라 흥미로운 차이를 보였다. 불완전자동사에서는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조사 오류가 감소하였고, 심리 형용사의 경우 고급 학습자들에게서 더 많은 오류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숙달도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들의 조사 사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지만 용언 유형마다 숙달도에 따른 오류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모국어의 부정적인 전이가 목표어에 대한 이해를 방해하고 그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의 조사 대치 오류가 나타난다는 주장과 학습자의 숙달도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조사의 오류가 극복되지 않는다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빈칸 채우기 과제를 통해 학습자들의 조사 사용 양상을 관찰하고자 했으나 실제적이고 자연스러운 생산 자료를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evious some studies of replacement error analysis of Chinese Korean learner in using the particles "i/ga" and "eul/leul". Until now, there is no case study searching for the fundamental cause based on related materials driven by learne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explaining that lack of understanding about predicates cause the replacement error. In particular, the aim is to examine and describe whether a type of predicate is directly related to the particles replacement error of nominative particle and objective particle. For thi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some review of previous study are suggested for my research question. First, various types of predicate makes different kinds of particle’s replacement error of nominative and objective particles. Second, the error can be overcome when learner’s proficiency is upgraded. In the second chapter, after comparing a way of case realization in Korean and Chinese, this paper introduce an importance of a relation between particles and predicate in Korean. In Korean, the two factors are situated in inevitable argument structure in any sentence. And then, by analyzing Korean’s and Chinese’s sentence factors, this paper suggest typical six predicates in Korean and then consider correlations with Chinese whether they are concord or not. Next chapter 3, this research developed some tools which will be used for further study. This tool is basic form of filling the blank to look into one thing that many types of predicates make diversified form of the particles replacement error of nominative particle and objective particle. In this tool, each predicates has their own blanks, total 30 selections, which give exact information about objective particles and subjective particl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is research, 20 people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60 people of Chinese Korean learners (20 people of beginning level, 20 people of intermediate level, 20 people of advanced level)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Chapter 4, I describe results of this research. In the research results,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replacement error depending on the forms of nominative particle and objective particle. According to the results, conformity of two languages’ predicate patter makes difference. If two languages have low grade of conformity, the frequency of error is higher. This result let us know that negative mother tongue spillover cause Chinese learners’ replacement error. Another result says, however, there is no positive outcome about their correlation between replacement error and the proficiency. At the same time different level of gap between the proficiency and error is shown depending on the predicates. In the case of having high level of conformity in the part of speech between two languages, factor changing is few or not, but in the opposite case of an incomplete intransitive verb and psychology adjective’s affection for proficiency is showing very different result. In the part of incomplete intransitive, error is diminishing as learner’s proficiency is advanced. On the other hand, in the part of psychology adjective, two factors are going same direction. Therefore, we can find, in the proficiency factor, predicate type is important element. Finally, in chapter 5, I describe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study and the limit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find advanced prove that mother tongue’s negative transition is interrupting learner’s understanding of learning language. And this is positively proved based on the previous study that replacement error is barely rectified itself even learner’s ability and proficiency is become higher than before. This study is just using previous study of cause of replacement error and examines the error form of subjective particle and objective particle. Plus, some study hereafter has to handle learner’s oral speaking and written language to fix this paper’s limitation and add more type of predicate based on Korean’s basic sentence struc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