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5 Download: 0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에’와 ‘에서’ 의미 기능 습득 연구

Title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에’와 ‘에서’ 의미 기능 습득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Acquisition of Semantic Functions of ‘e’ and ‘eseo’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uthors
정시원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cquire the meaning of postposition 'e' and 'eseo'. Since adverbial postposition 'e' and 'eseo' has a variety of semantic functions,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on them in studies the Korean language. However, in Korean education, there are very rare studies on the acquisition order of the postposition 'e' and 'eseo' in detail. Therefore, this paper will analyze more detailed phases of acquisition of them. Chapter Ⅰ stated the purpose of the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 and set up subjects for inquiry. The issue i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e of semantic functions in 'e' and "eseo' between intermediate and advance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Chapter Ⅱ surveyed theoretical backgrounds of 'e' and 'eseo' dividing semantic characteristics into 'basic' and 'extended' meaning, analyzed their Japanese equivalent ‘に’and ‘で’, and analyzed how semantic functions of 'e' and 'eseo' applied in Korean education. Also, this chapter considered the relationship of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contextual variation. Chapter Ⅲ developed a 'grammatical judgement test' and a 'fill-in-the-blank exercise' to understand the learners' acquisition of semantic functions of 'e' and 'eseo' after dividing learners into two groups, ‘intermediate’ and ‘advanced,’ by a proficiency test. The tests were taken by 20 intermediate and 20 advanced learners among Japanese Korean-languagestudents in 3 colleges and Korean language institutes attached to colleges. Chapter Ⅳ presented an analysis of three results of the test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basic and extended semantic functions of 'e' and 'eseo' acquired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rom those acquired by the native speakers of Korean. Second, in the acquisition of 'e' and 'eseo', the phase of use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ere similar to that of the native speakers of Korean in basic meanings but different in extended meanings. Third,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generally acquired basic semantic functions first, and then acquired extended semantic functions. However, advance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cquired more semantic functions than intermediate learners and the degree of acquisition was higher, which suggests that the phase of acquisition of semantic functions of 'e' and 'eseo' varies depending on the proficiency. Intermediate Japa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cquired [lacation] in ‘eseo' and [time], [destination], [place], [unit] in 'e', while advanced learners acquired [place] in 'e' and 'eseo', [time], [destination], [a point of departure], [background], [unit], [target], [situation]. Lastly, Chapter Ⅴ describ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observing the phase of use for Japa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who could have been overlooked due to linguistic typological similarity, focusing on semantic functions of 'e' and 'eseo' and in examining the reason. Along with this, this study also has significance in suggesting a new perspective in Korean education by indicating that the explanation of semantic functions of 'e' and 'eseo' in Korean Educationisnarrowlyfocusedonbasicsemanticfunctionsonly. However, since there were only 40 subjects, it is insufficient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Thus, further studies with more accurate apprehension of acquisition order, and discussions on how to reflect it in textbooks are expected to be carried out.;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에’와 ‘에서’의 의미 기능에 대한 사용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부사격 조사는 조사들 가운데 오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영역이다. 특히, 조사 ‘에’와 ‘에서’는 서로 같은 의미 기능을 공유하기도 하고, 언어 맥락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기도 하여 그 습득 양상이 다양하다. 국어학계에서는 ‘에’와 ‘에서’의 다양한 의미 기능을 밝히기 위해 ‘에’와 ‘에서’의 기본 의미 기능을 추적하였으며, 서로 공기하는 동사는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 연구해 왔으나 한국어 교육학계에서는 ‘에’와 ‘에서’가 지니는 다양한 의미 기능의 습득 순서를 통합적으로 살핀 연구가 많지 않다. 두 조사에 대한 의미 기능을 확대하여 다양한 의미 기능을 살피었다하더라도 ‘에’에 대하여 제한적으로 나타났고, ‘에’와 ‘에서’ 두 부사격 조사를 동시에 살피는 경우는 그 학습자 대상이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학습자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에’와 ‘에서’는 의미 기능을 공유하는 부분이 많고, 통사적으로도 같은 구문 구조에서 교체되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습득 역시 통합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언어 유형학적 유사성 때문에, 다소 간과되었을 수 있는 일본어를 사용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에’와 ‘에서’가 가지는 의미 기능 습득 양상도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밝히고 조사 ‘에’와 ‘에서’의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선행된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일본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와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에’와 ‘에서’의 의미 기능 사용이 한국어 모어화자의 의미 기능 사용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가이다. Ⅱ장에서는 ‘에’와 ‘에서’의 의미적 특성을 기반으로 ‘기본 의미’와 ‘확장 의미’로 나누고, ‘에’와 ‘에서’로 대응되는 일본어 ‘に’와 ‘で’을 비교 분석한 후, 한국어 교재에서 ‘에’와 ‘에서’의 의미 기능이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2언어 습득과 언어 맥락적 변이에 대한 관계를 모색하였다. Ⅲ장에서는 ‘에’와 ‘에서’의 의미 기능에 대한 습득을 파악하기 위해 숙달도 검사를 통해 집단을 중·고급으로 분류하고 실험도구인 ‘문법성 판단 테스트’와 ‘빈칸 채우기’를 개발하였다. 검사는 총 3개의 대학 및 대학 부속 기관에서 재학 중인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급 20명, 고급 20명이었다. Ⅳ장에서는 ‘에’와 ‘에서’의 의미 기능 습득을 위한 ‘문법성 판단 테스트’와 ‘빈칸 채우기’를 분석하여 세 가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어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는 기본 의미 기능 및 확장 의미 기능에서 한국인 모어화자와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한국어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는 ‘에’와 ‘에서’의 습득 부분에서 기본 의미 기능의 경우, 한국인 모어화자와 비슷한 사용 양상을 보였지만 확장 의미 기능의 경우는 다른 사용 양상을 보였다. 셋째, 일본인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모두 전체적으로 기본 의미 기능을 먼저 습득한 후 확장 의미 기능을 습득했다. 그러나 고급 학습자가 중급 학습자보다 좀 더 많은 의미 기능을 습득하였고, 습득 정도도 더 높게 나타났다. 즉, 숙달도에 따라 ‘에’와 ‘에서’의 의미 기능 습득 순서는 비슷하였지만 습득 양상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급 학습자의 경우, 습득한 ‘에’와 ‘에서’의 의미 기능은 ‘에서’의 [장소], ‘에’의 [시간], [도착점], [장소], [단위]였고, 고급 학습자는 ‘에’와 ‘에서’의 [장소], ‘에’의 [시간], [도착점], [출발점], [배경], [단위], [대상], [상황]이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유형학적 유사성으로 인해 자칫 간과될 수도 있는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에’와 ‘에서’의 의미 기능에 초점을 맞춰 학습자의 사용 양상을 관찰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서 ‘에’와 ‘에서’의 의미 기능이 기본 의미 기능에 편중되어 있었으나 이를 확대하여 문법 형태가 가지는 의미 기능 습득의 영역을 확대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피험자 수가 총 40명이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여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정확한 습득 순서를 파악하고 한국어 교재에 어떤 방식으로 제시하면 좋을지에 대한 논의가 후속 연구에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