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4 Download: 0

유치원 만 5세 유아 간 사적 대화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Title
유치원 만 5세 유아 간 사적 대화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Other Titles
An Ethnographic Study on Private Conversation among Five-Year-Olds at a Kindergarten
Authors
장현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 학급의 유아 간 사적 대화의 양상과 내용, 의의를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유아 간 사적 대화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형성하고 사회적 존재가 되어가는 유아의 모습이 반영된 대화임을 밝히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바다반 유아들이 또래와 나누는 사적 대화의 양상은 어떠한가? 2. 만 5세 바다반 유아들이 또래와 나누는 사적 대화의 내용은 무엇인가? 3. 만 5세 바다반 유아들이 또래와 나누는 사적 대화의 의의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산들유치원 만 5세 바다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기간은 2014년 3월 18일부터 2014년 7월 23일까지이며, 연구대상자는 바다반의 유아 26명과 교사 1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총 58회의 참여 관찰과 11회의 교사 심층 면담, 교사와 유아의 비형식적 면담, 오디오 녹음, 동영상 촬영, 문서수집 등을 한 후, 현장 기록과 면담 전사본으로 자료화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범주화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다반 유아들은 다양한 맥락 속에서 또래와 사적으로 대화를 나누었다. 등원 시간, 유아들은 좋아하는 또래가 등원하면 다가가 말을 걸었다. 사적 대화가 금지된 계획하기 및 대집단활동 시간에는 교사의 시선을 피해 사적 대화가 이루어졌다. 자유선택활동 시간에는 주로 언어, 과학, 조작, 조형 영역에서 놀이 전후에 또래와 대화를 나누었다. 급ㆍ간식시간에는 대화 주제를 바꾸어가며, 그리고 귀가 시간에는 하원 후 일정에 관해 또래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둘째, 유아들이 또래와 나누는 사적 대화의 내용은 자랑, 일탈, 고충, 뒷공론, 약속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자신들의 실력, 소유물, 가족을 또래에게 자랑했다. 유아들은 학급 규칙과 엄마와의 약속을 일탈했음을 또래에게 말했다. 유아들은 사교육 스트레스와 형제 간 갈등에서 겪는 고충을 또래에게 털어놓았다. 유아들은 또래나 부모가 없는 자리에서 또래의 부적절한 행동이나 부모의 단점을 말했다. 유아들은 또래와 하원 후 일정이나 좋아하는 또래에게 선물을 주기로 약속했다. 셋째, 유아들이 또래와 나누는 사적 대화의 의의는 나를 드러내기와 우리 되기로 분석했다. 유아들이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기 위한 목적으로 행하는 사적 대화에는 스스로 인식한 자신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었고, 자신의 존재를 주장하기 위해 경쟁하듯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또한 유아들은 과시로 얻은 높은 지위를 이용해 또래에게 영향력 있는 인물로 자신의 존재감을 확대하기도 했다. 유아들은 또래와의 사적 대화를 통해 학급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공동체 의식을 형성해 갔다. 유아들은 또래와 공통점을 확인하고, 비밀을 공유하고, 특별한 경험을 나누면서 친밀해졌다. 유아들은 사적 대화를 통해 공통 관심사를 가진 또래와 또래 집단을 형성하고, 구성원들과 결속감을 다졌다. 또래와의 사적 대화에서 느낀 즐거움은 유아 간의 친밀감을 높여 유아들의 유치원 생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들이 학급의 다양한 맥락 속에서 자신, 또래, 부모를 주제로 또래와 사적 대화를 나눔을 알 수 있었다. 또래와의 사적 대화는 유아들이 자신들의 존재를 인식하고, 또래에게 알리는 한편 또래와 사회적 관계를 맺는 방법이었다. 또래와의 사적 대화 속에는 경험, 생각, 의견, 감정 등 유아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담겨 있으므로 유아들의 삶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유아들의 요구와 바람이 유아들의 사적 대화에 반영되어 있으므로, 유아들의 행복한 삶을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또래와의 사적 대화는 유아들의 관계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또래 괴롭힘과 따돌림과 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것이다.;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aspect, content, and significance of private conversation among young children in a class of five-year-olds in an ethnographic methodology and thus show that private conversation among them reflected the ways they formed their own existence and became social being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aspect of private conversation of young children with their peers in the Bada class of five-year-olds? 2. What is the content of private conversation of young children with their peers in the Bada class of five-year-olds? 3. What is the significance of private conversation of young children with their peers in the Bada class of five-year-ol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t the Bada class of five-year-old children of Sandeul kindergarten in Seou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 children of five-year-old and 1 teacher.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18th, 2014 to July 23th, 2014. The data was collected 58 times participating observation, 11 tim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eacher and children, documentation, videotaping and audio recording. The contents of participating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in field notes. Collected data were en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 in the Bada class had private conversation with their peers in diverse contexts. They came up to and spoke to their peers they liked when they arrived at the kindergarten. Their private conversation with their peers happened behind the backs of their teachers during the planning and large group activities when private conversation was prohibited. They had conversation with their peers before and after play in the language, science, manipulation, and art areas during the free play. They changed the conversation topics during the meal and snack time and talked about the schedule after the kindergarten with their peers on their way home. Second, the content of private conversation that young children had with their peers included boasting, deviation, difficulty, gossip, and promise. They boasted their abilities, possessions and families to their peers. They confessed that they deviated from the class rules and their promises with their moms to their peers, and confided in them about the stress from private education and difficulties stemmed from their conflicts with siblings. In the absence of peers or parents, they talked about the improper acts of their peers or the shortcomings of their parents. They also promised to share a schedule with their peers or give a present to them after arriving home from the kindergarten. Finally, the significance of private conversation of young children with their peers includes revealing myself and becoming us. Young children reflected their own aspects they perceived themselves in private conversation, intended to reveal their presence and engaged in conversation as if they were in a competition of insisting on their presence. They also extended their presence to the influential figures to their peers by taking advantage of high status earned from showing off. They formed a sense of community as a member of the class community through their private conversation with their peers. They grew close to their peers, checking their commonalities and sharing their secrets and special experiences with them. They formed a peer group with the peers with the common interest through private conversation and solidified their solidarity with the other members. The pleasure they felt in private conversation with their peers increased the degree of intimacy among the young children and had positive impacts on their life at the kindergarten. The findings indicate that young children had private conversation with their peers on the topics of themselves, peers, and parents in the diverse contexts of the class. Private conversation with peers was a method for young children to recognize their own presence, inform their peers of their presence, and make social connections with their peers. Since their private conversation with their peers contains their own experiences, thoughts, opinions, and emotions, it can help to understand their lives. Their own needs and wishes are also reflected in their private conversation, which can also help to search for ways to support their happy lives. In addition, their private conversation with peers also has positive influences on the reinforcement of relationships and thus can make a contribution to solving such social issues as peer bullying and alien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