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9 Download: 0

유아교사 양성대학에서의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 개발

Title
유아교사 양성대학에서의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 개발
Other Titles
A development of childhood music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in the College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uthors
남옥선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적합한 지식을 갖추어 실제 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음악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음악교수내용지식에 기반 한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 양성대학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교수자의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1-1. 유아음악교육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1-2. 유아음악교육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 양성대학에서의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안)의 개발과정은 어떠한가? 2-1.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안)의 구성은 어떠한가? 2-2.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안)의 시행 및 평가 결과는 어떠한가? 2-3.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안)의 수정・보완 내용은 무엇인가? 3. 개발된 유아교사 양성대학에서의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은 어떠한가? 유아교사 양성대학에서의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 개발을 위한 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개발하기 위하여 음악교수내용지식과 교사교육에 대한 선행연구와 문헌을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수업을 구성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 270명과 교수자 17명을 대상으로 하여 유아교사 양성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아음악교육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문헌과 인식 및 요구조사에 기초하여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의 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 운영방법 등을 선정하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수업 시안을 구성하였다. 셋째, 구성된 수업(안)은 경기도 A시의 3년제 유아교사 양성대학 유아교육과 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하여 주 1회 3시간씩 15주 동안 시행 되었다.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평가하고 실제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지막 수업 후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업 과정에서 저널쓰기를 통해 수업 과정과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태도의 변화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또한 사전・사후에 음악교수내용지식 측정 도구와 음악교수효능감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해 본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전문성을 갖춘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서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학습이 필요한데,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이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태도를 학습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의 목표, 교육 내용, 교수방법, 평가, 운영 등이 적절하다고 평가하였으며 추후 계속적으로 수업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통해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변하였고 음악교육에서 필요한 지식을 갖추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와 더불어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이 밝혀짐으로 써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의 필요성이 입증 되었다. 이러한 평가 결과를 근거로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유아교사 양성대학에서의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에 대해 살펴보면, 수업의 목적은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적합한 지식, 기술, 태도를 갖추어 실제 교육 현장에서 바람직한 음악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 양성’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는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음악교수내용지식을 기른다. 음악교육현장에서 음악교수내용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음악 및 음악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는다. 유아음악교사로서 교사의 역할을 인식하고 전문성을 함양 한다.’이다.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의 교육 내용은 교육과정지식, 유아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지식, 교수-학습방법지식, 교수환경지식 등이다. 그 다음으로 수업의 교수단계는 이해, 변환 및 지도, 평가 및 반성, 재이해 등 4단계이며, 교수학습방법으로 강의, 토의, 협동학습, 워크샵, 반성적 저널쓰기, 교육계획안 작성하기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수업(안)의 평가방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평가도구와 음악교수효능감 도구로 수업 전체의 효과를 검증하고 4차에 걸친 저널쓰기와 수업 평가 질문지를 통해 수업 전체에 대한 평가와 예비유아교사들의 변화과정을 이해하였다. 음악교수내용지식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의 교육 형태는 예비유아교사들과 교수자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수업 운영의 현실적 여건을 고려하여 총 15주 동안 3시간씩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총 수업시간은 45시간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예비유아교사가 함양해야 하는 유아음악교육과 관련된 지식을 음악교수내용지식이라고 보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을 개발한 것은 앞으로 유아음악교육과 관련된 지식에 대한 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유아교사 양성대학의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유아음악교육 이론과 실제 활동을 통합한 수업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음악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내용과 방법, 평가 등을 조직한 교수요목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design a childhood music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o create and present beneficial music classes in the field by acquiring practical and appropriate knowledge for childhood music education. To this end, a number of research inquiries have been examined. 1. What perceptions and demands do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professors have regarding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urses offered by the College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1-1. What perceptions and demands do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regarding the early childhood music course? 1-2. What perceptions and demands do professors have regarding the early childhood music course? 2. How is a lesson plan for the early childhood music course in the College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developed on the basi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2-1. How is the lesson plan organized for the early childhood music course that is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2-2. How is the lesson plan implemented for the early childhood music course that is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and how is the implementation evaluated? 2-3. What are the revised and modified contents of the lesson plan for the early childhood music course that is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3.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early childhood music course that has been developed in the College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according to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The following presents the processes and results of developing and designing a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urse in the Colleg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hat is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First, I conducted a comprehensiv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relevant references on training teacher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In addition, I surveyed 270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7 educators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ir perceptions and demands regarding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urses offered in colleges. Second, I clarified a lesson goal,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rubrics for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urse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According to these specifications, I organized a lesson plan and received overall feedback from pertinent professionals. Third, the lesson plan was implemented for 3 hours once a week for 15 weeks by 60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tak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 at a 3-year college of education in Gyeonggi-do. I conducted a survey with open-ended questionnaires after the last class so as to draw a general evaluation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urse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With this, I was able to examine the practicality of the course in an actual classroom. Furthermore, I investigated the changes among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via in-class journal writing as well as by using the Measurement Scal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and of Music Teaching 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15-week period. According to my analysis of the survey data,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urse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was useful for preliminary childhood teachers to gain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which ar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y need to become a professional and skilled educator. The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that it was applicable and appropriate to offer the lesson goal,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rubrics for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urse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thus, they acknowledged that this course should be continued. Furthermore, they mentioned that their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had changed and that they obtained pertinent knowledge of music education due to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urse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In addition, the course proved to be worthwhile in improving Music Teaching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for the pre-service teachers. Armed with these evaluation results, I made some revisions and developed a final model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urse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The goal of the newly develop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urse is to “train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able to exercise desirable music education in the field by acquiring applicable knowledge of, skill in, and attitudes towar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o this end, herein lie four objectives: lear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relevant to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umulating abilities to appl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in practice; hav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music and music education; realizing teachers’ roles and displaying professionalism as an early childhood music teacher. The education contents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urse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consist of knowledge of education processes,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contents of a course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environments. Next, four different phases occur while teaching a class: comprehension, transformation and instruction, evaluation and reflection, and new comprehension.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utilized while teaching a class, including lecture, discussion, cooperative learning, workshop,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making lesson plans. To evaluate the lesson pla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and the Measurement Scale of Music Teaching Efficacy for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used. Consequently, the efficacy of the entire lesson could be demonstrated. Also, a thorough evaluation of the class was conducted, and the changes the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were examin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class evaluation questionnaires and four journal entries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urse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ran 3 hours per week for 15 weeks-45 hours in total-and current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demands and requests as well as the challenges in the actual classroom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a prompt and effective research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se results, I have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is research regard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as a prerequisite knowledge that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acquire. Therefore, it will contribute a course curriculum, developed and designed according to this research, upon which to bas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studies. Second, this research has suggested an integrated lesson model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to the pre-service teachers in colleg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rd, this research provided basic education contents,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to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o become qualified music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