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인성-
dc.contributor.author남숙희-
dc.creator남숙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6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1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625-
dc.description.abstract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Abraham H. Maslow)는 욕구란 무언가 결핍되어 불안전한 상태로, 이를 충족하고자 함은 인간 행위의 동기이자 삶의 목적이라 고 말한다. 하지만 오늘날 현실세계는 인간을 사회의 중심으로부터 밀어내 소외시켰으며, 결국 이로 인한 결핍과 불충족을 대리 해소하기에 최적화된 뉴미디어로 현대인의 욕구 충족의 공간이 전이되는 현상이 일어났고 이에 대한 의존도는 날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미디어는 사진, 텍스트 등과 같은 전통 매체에 인터넷, 스마트 기기가 결합되어 시공간의 해방 및 높은 상호작용성을 가지는 신개념 매체로, 현대인들은 이를 통해 상시 타인과 접촉하고(소속 및 애정 욕구) 무제한적 정보 검색 및 공유를 하며(인지/존중의 욕구) 모바일로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다(안전 욕구). 이와 같이 뉴미디어가 현대인의 억압된 욕구의 물꼬를 틔어줄 훌륭한 콘텐츠인 것은 분명하지만 디지털화된 정서와 경험으로는 본질적인 욕구에 대한 만족을 얻을 수 없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거두인 마르쿠제(Hervert Marcuse)는 대중문화를 왜곡된 방식으로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장치라고 비판하였는데, 뉴미디어 시대 역시 관계와 정보 측면의 다양성과 기회로 인해 풍요로워 보이지만 이는 충족 대상의 피상형(皮相形)으로 실제 현대인들은 더욱 심화된 고립감과 외로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이미 이러한 환경에 적응한 현대인의 삶은 실재가 아닌 가상의 대상물을 통해 일시적 및 간접적 욕구 해소 행위가 고착화된 상태로, 즉 인간의 감각 및 인지가 뉴미디어에 따른 사회, 환경적 조건에 적합한 형태로 왜곡 또는 변형되었음을 말한다. 이는 인간과 미디어 간의 주종관계가 역전된 것으로 삶의 주체성 박탈, 유대감과 윤리적 책임감 상실, 비대면 관계의 확대, 지성의 도구화와 같은 또 다른 소외를 재생산하게 한다. 정리하자면, 욕구 만족을 위한 인간의 동기가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즉 미디어 행위로 이어졌지만, 인간 상호간의 직접적인 관계로부터만 얻을 수 있는 정서적 요소들조차 디지털로 변환된 뉴미디어를 통해서는 본질이 결여된 만족감 밖에 얻을 수 없다. 또한 뉴미디어는 인간으로 하여금 과장 및 축소된 미디어 감각기관을 형성시켜 인간다운 삶을 도태시키고 소외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 이에 본인은 기술의 진보가 인간 소외를 초래한다는 칼 맑스와 마르쿠제의 주장을 중심 이론으로써 전개하고, 뉴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인간 욕구의 피상적 충족으로 인해 인간성이 왜곡 및 상실되고 있는 현시대의 형상을 비주얼 팩션이라는 방법론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다. 팩션이 가진 사실과 허구 간 경계의 희미함은 현실과 현실의 대체물인 뉴미디어 간의 모호한 경계를 넘어 반대로 현실이 위협당하고 있는 현 세태와의 유사성을 보이며, 이를 통해 감상자로 하여금 현실에 대한 재인식 및 숙고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sychologist Abraham H. Maslow says that “needs” is unstable state being short of something and that trying to satisfy this is not only a motive of human behavior but also a purpose of life. Nowadays, however, the real world pushed human beings away from the center of society and alienated them. At last, new media optimized for proxy-satisfying lack and dissatisfaction due to this situation replaced the space of filling the needs of modern people, and its dependence is getting higher every day. New media is a new-concept medium that Internet and smart devices are combined into traditional media such pictures and texts and thereby have liberation from time and space and high interactions. Through this, contemporary people all the time contact others (beloving needs), search and share unlimited information (cognitive/esteem needs), and get mobile customized medical services (safety needs). Like this, although new media is definitely a good content that mitigates the suppressed needs of modern people, they cannot get satisfaction on for their essential needs through from digitalized emotion and experience. Hervert Marcuse, leader of Frankfurt school, spoke ill of popular culture as a mechanism that satisfies the needs of mankind by a distorted method, and likewise, while the new media era looks rich due to the variety and opportunity from the standpoint of relationship and information, modern people actually come to feel more deepened isolation and loneliness because this is just a superficial form of need-satisfying object. Moreover, the life of contemporary people who are already accustomed to this environment is in a state that behavior of solving needs temporarily and indirectly is fixed through the subjects of a virtual image, not actually existing on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human sense and recognition have already been distorted or changed to a form adaptive to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ccording to new media. This is in a state that the relation of master and slave between human beings and media was already reversed, reproducing another alienation such as deprivation of the independence of life, loss of mutual bonds and ethical responsibility, and instrumentalization of intelligence. In summary, while the motivation of human beings for need satisfaction was connected to human behavior that people use its supporting service, media, but human beings can only get the feeling of satisfaction in which the essence lacks through new media because it makes even emotional factors that can be obtained only through direct relationships among human beings changed digitally. In addition, new media makes human beings get an enlarged or reduced emotional sensorium, thereby weeding out human life and preventing them from escaping the bondage of alienation. The author hereby would like to utilize the argument of Karl Marx and Marcuse – the theory that technological advance brings about human alienation – as the main theory, and, by using the design methodology of “visual faction”, express the situation of the present times when humanity is distorted or lost due to the superficial satisfaction of human needs based on new media. The vagueness in the boundary between the fact and fiction of “faction” shows a similarity to the present times that go beyond the obscur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new media as an alternative of reality but even where reality is being threatened by new media.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appreciators get induced to re-recognize and reconsider the re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뉴미디어에 의한 피상적 욕구 충족 8 1. 매슬로의 욕구체계론 8 2. 뉴미디어에 의한 인간 욕구 충족의 피상형 12 B. 뉴미디어 사회의 인간소외 22 1. 소외의 이론적 고찰 22 2. 뉴미디어 사회의 인간소외 25 3. 소외에 관련된 현대미술작품 29 Ⅲ. 디자인 방법론적 배경 34 A. 팩션의 개념 34 B. 비주얼 팩션에 관한 정의 및 역사 35 C. 비주얼 팩션 방법론의 사례 38 Ⅳ. 작품 제작 및 분석 43 A. 작품 제작 의도 및 표현방법 43 1. 작품 주제의 선정과 의의 43 2. 작품의 형식과 의의 44 B. 선행연구 46 1. [피곤한 일상] 46 2. [L(w)ink] 50 C. 작품제작 53 1. [C-Liner] 53 2. [Roopretelcham] 59 3. [Social ground] 65 4. [과대박수] 74 Ⅴ. 결론 82 참고문헌 84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778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뉴미디어의 피상적 욕구 충족에 따른 인간소외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비주얼 팩션(Faction)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xpression about Human Alienation due to Superficial Desire Satisfaction through New media : With a focus on Visual Faction-
dc.creator.othernameNam, Sook Hee-
dc.format.pageix, 89 p.-
dc.contributor.examiner김수정-
dc.contributor.examiner박수진-
dc.contributor.examiner김경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