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9 Download: 0

초등 통합학급에서 실행한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또래지원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등 통합학급에서 실행한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또래지원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on Students’ Self- Control, Peer Support, and Class Participation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s
Authors
노혜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on the students’ self-control, peer support, and class participation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86 students in 4 inclusive classes, in which sixth grade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integrated. Among them, two classes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were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which was delivered by their classroom teachers, but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unity security education or the book reading program. The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is consisted of six elements of self-regulation area: (1) understanding of self-regulation, (2) academic performance regulation, (3) emotion and affect monitoring, (4) social norm confirmation, (5) social relationship regulation, (6) consideration for others. The program interventions were delivered through 16 sessions during a semester, one session per week, 40 minutes instruction per session. To prov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f the program on self-regulation enhancement, two dependent samples t-test was used for the self-control and the ANCOVA for peer supports. To prove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n the class participation, the paired group t-test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f self-control were observ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mong the three sub elements of self-control, two showed no program effect. But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mixed element of self-control and impulsiv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higher scores in self-control and all three sub elements of self-control.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peer support than the control group. Specific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1) support for problem solving, (2) support for participation in classroom activities, (3) community spirit.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participation scor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sum,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carefully designed and implemented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can create positive effects on self-control, peer support, and class participation of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enhancement of self-regul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self-control, peer support, and classroom participation when it is achieved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settings.;사춘기에 접어드는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 학생들은 급격한 신체 정서적 변화, 정체성 혼란, 사회적 관계 안에서의 갈등, 학업적 도전과 같은 다양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혼란과 갈등 속에서 학생들은 학업적인 성취를 이루어가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내면화된 가치를 수립하고, 성인의 통제에서 벗어나 독립성과 자율성을 개발하며 또래관계 속에서 사회적으로 성숙한 관계를 맺는 연습을 하게 된다. 이런 과정 속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 행동을 잘 조절하여 수업에 성실히 참여하는 태도를 확립하고 또래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성공적인 전이의 과정을 거치는 것은 초등학교 고학년 모든 학생들에게 중요한 과업이 된다. 특히 안정된 또래관계 유지는 역으로 학생들의 자기조절을 촉진하는 상호작용적인 영향력을 가지기에 더욱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증진과 그에 따른 서로 간의 지원문화 형성은 긍정적인 학급공동체 문화를 촉진하고 학생들의 긍정적인 수업참여를 이끈다. 따라서 학급차원에서 모든 학생들이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고 또래관계 안에서 서로 지원하고 학업태도를 증진할 수 있도록 돕는 실천적 자기조절 증진 중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학생이 통합된 초등 고학년 통합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종합적인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통합학급에서 실행한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또래지원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6학년 통합학급 중 지적장애학생이 통합된 4개 통합학급 학생 86명이다. 이 중 2개 학급은 실험집단에, 나머지 2개 학급은 통제집단에 배치되었다. 실험집단의 통합학급 학생들은 한 학기 동안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에 학급담임교사가 실행하는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 총 16회기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의 통합학급 학생들은 한 학기 동안 통일안보교육, 독서활동과 부족한 교과보충학습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은 자기조절이해, 학업수행관련조절, 정서모니터링, 사회적 규범준수, 대인관계조절, 타인배려의 6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중재회기 40분 동안, 학생들은 자기조절이 필요한 학교 상황에 대해 전체와 모둠활동으로 충분히 토론하고 자기조절전략을 생각해 본 후 자신에게 맞는 자기조절행동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어지는 한 주간 동안 학생들은 실제생활에서 자기조절목표를 실행하고 다음 회기에 자기수행을 점검하였다.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자기통제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Kendall & Wilcox(1979)의 ‘자기통제평정척도’를 김문신, 김광웅(2003)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중재 참여 여부에 따른 두 집단 간 사전-사후 자기통제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 실행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또래지원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홍정아와 박승희(2014)가 개발한 ‘초등 통합학급 또래지원척도’를 사용하였고 두 집단 간 사전-사후 또래지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 실행이 실험집단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참여도 관련 선행문헌을 검토하여 제작한 수업참여도 측정지를 이용하였고, 중재 참여 전과 후의 수업참여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 대응(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통제력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자기통제력의 3가지 하위영역 중 자기통제 및 충동성 복합요인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와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자기통제력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실험집단 장애학생들의 자기통제력 총점과 3가지 하위영역 점수는 통제집단 장애학생들에 비해 모두 일관되게 높아졌다. 그러므로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장애학생의 자기통제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또래지원 총점과 하위요인 중 문제해결지원, 교실활동 참여지원, 공동체 의식 요인의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므로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또래지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수업참여도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그러므로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실험집단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통합학급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일부와 또래지원 및 수업참여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통합학급 내 모든 학생이 자기 스스로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자기조절모습을 종합적으로 돌아보고 실제 자기행동을 조절해가는 방법을 실생활 속에서 실행해 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실행연구이다. 중학교 현장에서 조사된 자기조절이 필요한 상황을 활용한 본 연구는 초등 고학년 학생들이 곧 진학하게 될 중학교에서 좀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보편적인 전환지원 프로그램으로서 활용가능하며, 장애학생이 포함된 통합상황에서 모든 학생들 간의 자연스러운 또래지원의 빈도를 증진하였다는 점에서 장애학생의 통합을 증진하는 프로그램으로서도 활용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본 연구는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이 외부의 통제 없이 스스로 자기행동을 돌아보고 변화시키는 자기주도성을 증진하였다는 점과 학생의 실제 자기조절행동 변화를 이끌었다는 점에서 모든 학생을 위한 실천중심 보편적 차원의 중재로서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한 학기라는 짧은 중재실행기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학급이나 학교풍토의 차이, 자기보고형식의 자기통제평정척도의 사용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학교 전체 차원에서 장기간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학생들의 실제 자기통제와 조절행동을 관찰 측정하여 그 성과를 심층 검토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