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갑상선암 관련 메시지 프레임이 수용자의 정보 처리와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갑상선암 관련 메시지 프레임이 수용자의 정보 처리와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ffect of Framing 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making : Focusing on the Thyroid Cancer Experience, need for cognition, prior Knowledge
Authors
박유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욱
Abstract
This study purpose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frame type on thyroid cancer in Media. Whether the public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hronic severe disease has been influenced by the Frame provided by the media or certain factors of public. In this study, the frame effect was analyzed, especially targeting the thyroid cancer related press frame effects as a subject of study for severe chronic diseases such as cancer. This effort can provide a method of an empirical strategic communi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the news media influence on public health action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national daily newspaper related thyroid cancer from 2014 January to December represented that frame type of medical information frame political-social frame and economic human interest frame and social-costs frame and conflict frame. We intended to analyze effect of news frame from medical information frame and conflict frame which provided the dire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issues, perspective, tone, information source. At the same time, the message framing effect study on public is also conducted. the experiment research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 Prospect Theory". Despite of a variety of topics and targets, the previous research couldn't show consistent result.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 of framing related with thyroid cancer 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making focused on experience, prior knowledge, need for cognition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argeting 369 numbers of people over 20's to 60's suggesting 4 type of real news report. Each group was composed of the thyroid cancer experienced(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 and the general public, the need of cognition(high/low), the prior knowledge(high/low). the subject answered the measurement questionnaires about the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making. the experimental result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ough two-way ANOVA. But during the survey period MERS had occurred, the sample didn't collect enough especially the thyroid cancer experienced(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 This study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over the frame type. First, depending on the thyroid cancer experienced and the need for cornition, the gain-loss massage frame showed the difference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making. Second, depending on the thyroid cancer experienced and the prior knowledge, the medical information-conflict frame showed the difference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making. This result means that despite the experience, frame effect is constant. Frame type did not affect the public 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making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academic significance. First, the study specifically demonstrated the empirical effect of framing 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making, experience and prior knowledge and need for cognition as a control variable. Second, the study applied the real cancer patients. Previously, a few studies had targeted the actual cancer patients in the health communication studies. We hope this is the beginning of the actual cancer research in the field. Third, this study showed that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making had received an significant effect on characteristic of the public, experience and prior knowledge and need for cognition. It also showed that studies on characteristic of the public will be neede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cancer age was the same as the experiment group designed the prevalence of the disease, the result indicates the need for public variables in future studies. This may be important to emphasize that as the process for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s for diseases such as cancer. If you consider that national cancer incidence age of elderly, this approach wa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are needed about the actual subjects in the Health Communication Strategies associated with severe chronic diseases. This results implies that study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public on experience and prior knowledge and need for cognition goes one step ahead than a health communication strategy in accordance with the Framing In conclusion, there is a difference for the people of a certain age has experienced a certain disease and who has not been exposed to the disease, in the way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cision making, it suggests the need to be applied differently to each subject during the established real communication strategy. Depending on the effect on the way of the message proposed will also suggest whether the purpose of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health communication actions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or by a target related to education and experience as decision-making different strategic approach is needed.;본 연구는 프레임의 유형에 따른 갑상선암에 대한 언론 프레임 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만성중증질환이라는 특성을 가진 수용자가 뉴스 미디어가 제공하는 프레이밍방식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 어떤 특정 요인에 따라 이러한 영향에 효과 차이가 나타나는 지에 대한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히 암과 같은 중증만성질환에 대한 프레임 효과연구라는 주제로서 갑상선암 관련 보도를 대상으로 프레임 효과를 연구하였다. 갑상선암 관련 보도에 대한 프레임 효과 연구는 공중의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 미디어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효과적이고 실증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적 실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갑상선암 논란과 관련되어 2014년 1월에서 12월까지의 ‘갑상선암’, ‘갑상선암 논란’ 관련된 국내 일간지의 보도를 분석한 결과 보도 프레임 유형은 의학적 정보 프레임, 정치사회 프레임, 경제적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사회비용 프레임, 갈등 프레임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갑상선암 관련 보도기사의 프레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각각의 프레임별 정보제공의 방향성, 이슈, 관점, 논조, 정보원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는 의학적 정보 프레임과 갈등 프레임을 선택해서 효과를 분석했다. 이와 동시에 메시지 프레이밍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진행하였다. 이는 전망이론을 근거로 한 긍정과 부정 메시지에 대한 프레임 효과 연구를 통해 수용자의 특성에 의해 갑상선암과 관련된 정보를 추구하거나 회피하는 현상에 대한 설명력을 더하기 위함이다. 이익,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주제와 대상,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선행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활발하게 이루어진 연구들에 비해 일관성 있는 연구결과는 아직 없었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갑상선암과 관련된 메시지 프레임에 대해 수용자가 가진 갑상선암 경험유무, 사전지식, 인지 욕구가 갑상선암 관련 정보 추구 및 처리와 의사결정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이익,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과 함께 내용분석을 통해 도출한 의학적 정보와 갈등 프레임에 대한 실험설계를 하였다. 각각의 집단 내에서 피험자는 갑상선암을 경험한 환자와 가족(동거 가족) 그리고 일반인, 인지욕구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사전지식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해서 진행하였다. 그러나 설문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 메르스 사태가 발생하면서 갑상선암 경험자인 환자와 가족(동거 가족)에 대한 표본을 충분히 수집하지 못한 채 실험을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상호작용효과를 요약해 보면 갑상선암 프레임과 경험유무, 사전지식, 인지욕구는 정보처리와 의사결정에 서로 상호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효과는 첫째, 이익,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에서 갑상선암 경험유무에 따라 정보를 추구하고 처리하는 방식과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인지욕구의 높고 낮음에 따라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었으나 의사결정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의학적 정보와 갈등 프레임의 경우 갑상선암 경험유무는 정보를 추구하고 처리하는 방식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지식이 높은 경우에도 정보를 추구하고 처리하는 방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험유무에도 불구하고 프레임 효과는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즉 어떤 메시지 프레임을 사용했는가의 여부가 정보처리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학문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레임 효과 연구에 있어서 프레임과 수용자의 정보추구와 처리, 의사결정에 주는 효과와 이에 영향을 주는 조절 변수로써 갑상선암 경험유무와 인지욕구, 사전지식에 관한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실증했다는 점이다. 둘째,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의학 분야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실제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기에 본 연구가 암 환자 대상 실증 연구의 신호탄이 되기를 희망한다. 셋째, 수용자들의 정보추구와 의사결정은 경험 유무와 사전 지식, 인지 욕구라는 수용자 특성에 의해 효과가 나타남을 입증했다는 점이다.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도 프레임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일관적이지 못하다는 것과 아울러 이러한 수용자와 관련된 변수들에 대한 더욱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점은 선생연구과 본 연구가 가지는 또 다른 차별점이다. 즉 실험이 진행된 대상자 연령이 해당 질병의 유병율에 해당하는 연령대와 동일하게 설계된 점에 대해서도 추후 연구에서의 논의의 필요성을 나타내 준다. 실제 프레임 효과에 대해 진행된 실제 대상자들에 대한 연구로 프레임 효과에 대한 예측이 아닌 실제 효과에 대한 측정이 시도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특히 암과 같은 질환에 대한 헬스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을 진행함에 있어서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할 수 있다. 국내 암 발생연령이 중장년층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중증만성질환과 관련된 헬스커뮤니케이션 전략 모색에 있어서 실제 대상자에 대한 실증적 결과를 토대로 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기 때문이다. 이점은 프레이밍 형태에 따른 헬스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넘어서 경험 유무나 사전지식, 인지욕구를 토대로 한 수용자 중심의 헬스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의 필요성을 담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질병에 노출되지 않은 젊은 나이의 일반인들과 특정 질병을 경험한 중년 혹은 고령 대상자의 정보 처리 방식과 의사결정에 대한 차이는 실제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 시에 각각의 대상자에게 차별적 적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메시지의 제시 방법에 대한 효과 또한 헬스커뮤니케이션의 활동의 목적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 행동에 관련된 것인지 아니면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및 의사결정에 관련된 것인가에 따라 각각 다른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제시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