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9 Download: 0

부모의 성인애착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 결혼불만족의 매개효과

Title
부모의 성인애착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 결혼불만족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onal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arital Dis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dult Attachment and Parenting Behaviors : Focusing on Actor and Partner Effects
Authors
김혜원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개인적 역사를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부모의 애착불안 성향과 애착회피 성향이 자녀 양육행동에 어떠한 양육을 미치는지를 부와 모의 상호적 효과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애착관련 내적 작동 모델이 가동되는 구체적인 경로가 매우 복잡하다는 이론적 주장에 근거하여, 부모의 성인애착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정서조절곤란과 결혼불만족을 주요 매개변인으로 선택하였다. 모형검증을 위해, 부부관계의 상호역동적인 속성을 고려하여 만 3∼5세 자녀의 부모 총 704쌍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APIM 모형을 적용하여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때, 부모의 양육행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양육행동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살펴보아야 한다는 주장에 기반하여 부정양육행동과 긍정양육행동에 대해 각각 독립모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등가제약모형 검증을 먼저 실시한 후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는데, 분석 순서에 따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가제약모형의 검증 결과, 어머니의 애착회피가 어머니의 부정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한 모든 직접 경로들에서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상대방효과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애착불안이 배우자의 결혼불만족에 미치는 경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정서조절곤란이 배우자의 결혼불만족에 미치는 경로,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이 어머니의 긍정/부정양육행동에 미치는 경로에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경로에서 상대방효과보다 자기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모형의 검증 결과, 자기효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애착불안이 긍정양육행동에는 정서조절곤란을 완전매개로 혹은 정서조절곤란과 결혼불만족의 순차적 이중매개로 영향을 미쳤고, 부정양육행동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거나 정서조절곤란을 부분매개로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의 애착회피도 이와 유사한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긍정양육행동에는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결혼불만족 혹은 정서조절곤란을 부분매개로 혹은 정서조절곤란과 결혼불만족의 순차적 이중매개로-, 부정양육행동에는 정서조절곤란을 완전매개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어머니의 애착회피는 결혼불만족을 완전매개로 긍정양육행동에만 영향을 주었고, 부정양육행동에는 어떠한 직·간접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한편, 부모의 성인애착이 배우자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아버지에게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아버지의 애착불안/회피가 어머니의 긍정양육행동에는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과 어머니의 결혼불만족의 순차적 이중매개로, 어머니의 부정양육행동에는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을 매개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부모의 성인애착은 자신 및 상대방의 긍정/부정양육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데,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정서조절곤란 혹은 결혼불만족 혹은 정서조절곤란과 결혼불만족의 순차적 이중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성인애착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 성인애착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이 중요한 연결체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해 부모의 정서조절능력을 키워줌으로써 부모의 성인애착이 부부관계 및 양육행동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은 자신 뿐 아니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통로가 되므로, 부모 상담 및 교육 시 아버지를 반드시 포함시키고, 아버지의 정서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에 더욱 초점을 둘 필요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변인들을 측정하였기 때문에 부모의 실제 행동이 잘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본 연구가 기본적으로 상관연구라는 점을 고려할 때, 변인 간 양방향의 인과적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인과적 관계가 적합한지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거나 역방향으로 연구 설계를 하여 비교해보는 작업이 필요하겠다. 이상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가 양육의 어려움을 지닌 부모님들이 자신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한 심리내적·관계적 특성을 반추해 볼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했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겠다.;The present study focused on exploring parents' adult attachment, as it has been argued that the consideration of parents' personal history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ir parenting behaviors. Based on the theoretical opinions that specific paths through which an individual's attachment-related internal working model functions are exceptionally complex,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arital dissatisfaction were selected as main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dult attachment and parental behaviors. For model confirm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704 pairs of parents with children of age 3-5, and actor and partner effects were analyzed using APIM model. Based on the argument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parenting behaviors need to be examined in order to adequately understand parenting behaviors,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were included and examined as independent models. First, equality constraints model was analyzed, and then the mediational model was confirmed. Major research results in the order of analysis are summarized below. First, the analysis of equality constraints model showed that except for the effect of mothers' attachment avoidance on their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actor effects were significant in all direct paths. Partner effects were significant in the path from fathers' and mother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their spouses' marital dissatisfaction, and the path from father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In most paths, actor effects were greater than partner effects. Second, the analysis of mediational effect showed the following actor effects. Parents' attachment anxiety had an effect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r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arital dissatisfaction. It also had an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directly or through the partial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Fathers' attachment avoidance showed a similar trend. More specifically, it had direct or indirect-through the partial mediation of marital dissatisfaction or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r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arital dissatisfaction-effect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It also had an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However, while mothers' attachment avoidance had an effect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marital dissatisfaction, it had neither direct nor indirect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In addition, the partner effect of parents' adult attachment on their spouses' parenting behaviors was present only among fathers. More specifically, fathers'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had an effect on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father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others' marital dissatisfaction. They also had an effect on mothers'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via father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In summary, parents' adult attachment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ir and spouse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r marital dissatisfaction, or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arital dissatisfaction, were more common than direct effects. The present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ed various paths through which parents' adult attachment has an effect on parenting behaviors. Above all, it showe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s a major mechanism underlying the link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arenting behaviors,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preventing the negative effects of parents' adult attachment on marriage relationship and parenting behaviors through developing parents' emotion regulation ability. Especially, as father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ir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it is important to include fathers in parental counseling and education, and to focus on improving fathers'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e present study is limited in that it may not adequately reflect parents' actual behaviors, as the research variables were measur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only. Also, as the study is correlational in nature, it cannot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mpirically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 suggested by the present study, or to reversely design the present study and compare the results. Despite the above limitations, the present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provided the basis for parent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child-rearing to reflect on the important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factors that can affect their parenting behavi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