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순희-
dc.contributor.author손아영-
dc.creator손아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6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0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629-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현대 사회는 정보의 홍수라고 불리는 사회로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하여 정보를 찾고 얻는 능력보다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상황에 알맞게 정보나 아이디어를 선별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창의적인 능력이 더욱 요구된다. 이러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의 향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반 화학 탐구 실험 과정에서 가설설정하기를 그럴듯한 점, 발전시킬 점, 우려되는 점으로 질문하고 쓰게 하는 ‘PPC 질문 기법’을 적용한 12차시 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PPC 질문 기법’이 적용된 교수법이 학생들의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과 탐구기능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의 사범대학교 1학년 학생들로 진행되었다. 총 인원은 48명으로 31명은 실험집단, 17명은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집단은 Lawson의 순환학습을 발전시켜 개발한 강순희(2008)의 ‘다이아몬드 모형’을 활용한 일반 화학 탐구 실험의 가설설정 단계에서 ‘PPC 질문 기법’을 적용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은 강순희(2008)의 일반 화학 탐구 실험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통해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화학 탐구 실험을 진행한 비교 집단에 비해서 ‘PPC 질문 기법’을 적용한 일반 화학 탐구 실험을 수행한 실험 집단이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다(p<.05)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창의적 사고력의 3개 하위 요소들인 유창성, 융통성 그리고 독창성에서도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이를 통하여 ‘PPC 질문 기법’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다채로우며, 특별한 생각을 할 수 있는 발산적 사고에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실험 집단의 문제 해결 측면인 탐구 기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탐구 기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의 5개 하위 요소을 살펴보면 가설 설정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p<.05), 문제 인식 능력, 변인 통제 능력,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 능력, 결론 도출 및 일반화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05). 모든 하위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얻지는 못했지만, 전략을 투입한 가설설정 요소와 전체 비판적 사고력의 통계 값이 유의미하므로 ‘PPC 질문 기법’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PPC 질문 기법’을 적용한 일반 화학 탐구 실험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이는 대학교 실험 수업에서 대학생들의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과 탐구기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실험 교수 전략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Positives-Possibilities-Concerns’ question activities about making hypotheses with respect to the enhanc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about pre-service science teacher in college. Ten activities of ‘PPC’ question activities were presented as teaching materials to students over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p<.05). In addition, the three sub-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ll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p<.05). Also,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skill with respect to the inquiry thinking skill(p<.05). The sub-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skills, making hypothese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p<.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recognition of problems, control of variables,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making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p>.05). This results is to be basic materials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about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in college for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내용 3 Ⅱ. 이론적 배경 4 A. 창의적 문제 해결력 4 1. 창의적사고 4 2. 비판적사고 6 3. 창의적 문제 해결력 8 B. 본 연구에서의 PPC질문 기법 10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13 A. 연구절차 13 B. 연구대상 15 C. 검사도구 15 D. PPC질문 기법 탐구 수업 전략 개발 1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1 A.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 분석 21 B. 탐구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 분석 28 Ⅴ. 결론 및 제언 33 A. 결론 33 B. 제언 35 참고문헌 36 부록 39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854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가설설정에서 그럴듯한 점, 발전시킬 점, 우려되는 점으로 질문하는 활동의 일반 화학 탐구 실험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for college students in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using the making hypotheses by positives-possibilities-concerns question activities-
dc.creator.othernameSon, Ah Young-
dc.format.pageix, 84 p.-
dc.contributor.examiner우애자-
dc.contributor.examiner최애란-
dc.contributor.examiner강순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