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7 Download: 0

신체정렬선 제시 유무에 따른 음악줄넘기가 자세교정 및 동적균형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Title
신체정렬선 제시 유무에 따른 음악줄넘기가 자세교정 및 동적균형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Other Titles
The Immediate Effects of Jumping Rope on the Posture and Dynamic Balance According to Visual Information
Authors
김예나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 정렬선 제시 유무에 따른 음악 줄넘기 운동 시 학생들의 자세 교정과 동적 균형 감각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공학의 여중생 40명으로 하지 병력이 없고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학생들로 선정하였다. 이 40명 중 시각정보를 사용한 집단 20명, 시각정보를 사용하지 않은 집단 20명을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시각정보는 거울을 이용하여 자신의 최대 높이를 표시한 선, 무릎의 정렬 선, 짝발 착지를 교정하기 위해 지면에 발의 착지 지점을 고정하는 선의 세가지로 하였다. 음악줄넘기 운동을 바른 자세로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는 줄 길이를 선택하여 오래 뛰어도 상체 근육에 큰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였다. 줄넘기 동작은 양발 모아 뛰기와 11자 뛰기로 제한하였고, 체성감각을 활용하기 위해 맨발로 수행하였다. 종속변인은 자세와 동적 균형이다. 줄넘기 운동의 조건은 3분 동안 수행하고 2분 동안 휴식을 취하는 세트를 40분 동안 반복하였다. 자세는 바디 스타일(Mzen, Korea)을 이용하여 정면, 측면, 후면에서 부위별 각 관절 중심점을 연결한 수평 수직선과의 차이 각도, 길이를 자동 측정하여 분석 평가하였다. 동적균형은 균형 능력 측정기 (My Fitness Trainer: MFT Balance Test V1.7)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 – 검정(paired t – test)으로 훈련 전 후 측정치를 알아보았다. 시각 정보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처치 전 후의 각 요인별 변화에 대한 통계 분석을 위하여 반복측정 독립표본 T – 검정(independent t – test)을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직립 자세 줄넘기 운동 처치 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 어깨기울기(앞면) 방향(t=2.348, p<0.024), 어깨기울기(앞면) 각도(t=3.412, p<0.042)에서 실험집단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뒷면에서 견갑골 평가 (t=4.447, p<0.000), 어깨기울기(뒷면) 방향에서 (t=0.2348, p<0.024) 실험집단이 유의하게 작게 나타났다. 2. MFT balance 운동 처치 후 앞, 뒤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좌 · 우 변인에서(t=4.470, p<0.000)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통제 집단 역시 앞, 뒤 변인에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좌 · 우 변인에서 (t=2.580, p<0.018)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두 집단 간 효과크기는 실험집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음악줄넘기 운동 시 시각적 피드백은 자세 교정과 균형감각의 향상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줄넘기 운동 시 시각정보의 피드백은 신체정렬과 동적 좌우 균형 향상에 도움을 주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보통 줄넘기와 같은 점프를 할 때 무릎을 안으로 넣는(knee valgus) 형태를 많이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무릎의 정렬을 위해 거울을 사용하였으나 무릎을 탄성 밴드로 연결하여 무릎 외측의 근육사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실험은 추후 과제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mediate effects of jumping rope on the posture and dynamic balance according to visual inform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 middle school students. The treatment group consisted of 20 subjects and the other 20 were part of the control group. Parallel wide and narrow jump were used with two feet. Bare foot jumping rope was used to stimulate the proprioceptive system.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visual information and the dependant variables were both the posture and dynamic balance. Posture was measured via the Body Style(Mzen, Korea) in the sagittal and the coronal plane. Dynamic balance was tested using the MFT(My Fitness Trainer: MFT Balance Test V1.7). 10 sets of jumping rope were performed with 3 minutes jumping and 2 minutes rest during 50 minutes. Three pieces of visual information were observed. They consisted of the spot of the subject's highest jump height, toe landing line to control both feet landing and lower leg alignment connection with the hip, knee and second toe joint.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and paired t-test were used to test differences according to visual information via SPSS 21.0. 1. The shoulder angle, pelvic tilt, scapular angle and achilles tendon angle were significantly less after treatment than the control group. 2. Effect size of the medial/lateral balance was significantly larger for the treatment group than for the control group. Jumping rope with visual feedbac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tural correction, especially when it came to the shoulder, scapular, pelvic and calcaneus. In addition, it could help dynamic balance towards medial and lateral dire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