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김나영-
dc.creator김나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3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0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30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ICT)활용 중 QR코드의 사용이 음악줄넘기 학습효과와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또 성별・학년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더불어 체육수업에서 ICT활용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활성화 방안을 장려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서울 강북구 소재에 있는 2곳의 중학교에서 1-3학년 167명을 대상으로 QR코드를 활용한 실험집단(91명)과 활용하지 않은 비교집단(76명)에게 같은 동작의 18가지 음악줄넘기 수업을 실시하여 두 집단간에 나타나는 음악줄넘기 학습효과와 수업 만족도 변화에 초점을 두고 사전・사후검사 결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음악줄넘기 학습효과에 대한 검사는 김은영(2004)이 활용한 ‘체육학습에 대한 즐거움’검사지를 본 연구에 맞는 목적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수업 만족도에 대한 검사는 원종철(2012)의‘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검사지를 활용하여 재구성하였다.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SPSS/WIN 18.0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QR코드 활용 유무에 따른 음악줄넘기 학습효과 차이와 수업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QR코드 활용 유무에 따른 성별과 학년의 음악줄넘기 학습효과 차이와 수업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고, 음악줄넘기 학습효과와 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방법과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줄넘기 학습효과는 QR코드 활용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효과의 하위요인 자신감, 재미, 건강유지 및 미적체험, 협동심, 창의성이 QR코드의 활용에 의해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 만족도는 QR코드 활용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수행동, 체육환경, 체육성적, 운동능력이 QR코드 활용에 의해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QR코드 활용 유무에 따른 음악줄넘기 학습효과와 수업 만족도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QR코드를 활용한 수업이 성별과 학년간의 차이 없이 학습효과와 만족도에 평균적으로 유사한 변화양상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QR코드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1학년부터 3학년 모든 남녀학생들에게 평균적으로 비슷한 수치의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음악줄넘기 학습효과와 수업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효과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재미, 건강유지 및 미적체험, 협동심, 창의성 모두 수업 만족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학습효과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학습효과의 창의성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하지는 않으나 협동심과 건강유지 및 미적체험이 다음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학습효과 중 창의성이 높을수록 수업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다양한 수업방식과 내용전달이 가능한 ICT활용 수업이 학생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QR코드를 활용한 음악줄넘기 수업은 학생의 학습효과 와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여 교육적 활용성과 유용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특히 QR코드 활용은 모바일 폰으로도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체육수업현장에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학생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자가 자신의 주도하에 원하는 수업내용을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어 유익한 학습도구가 될 가능성이 클 것이다. 뿐만 아니라 QR코드를 통해서 나오는 실기동작 동영상은 학생의 내용이해를 도와주므로 이를 체육교과서에도 활용한다면 그동안 동작을 단편적인 그림으로만 이해하고 넘어갔던 부분을 해결할 것이고 체육교사에게도 인터넷에서 수업자료를 찾는 시간을 절약해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처럼 ICT의 활용은 전통적인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등에서 한계에 부딪히는 부분들의 해결책이 될 수 있으므로 체육교사는 다양한 ICT교수-학습방법 연구를 통해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 산재되어 있는 ICT자료를 체육수업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고 개발하여 체육수업 현장에서 ICT활용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장려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ICT on PE classes and encourage ICT applications in class by understanding how QR code utilization—one of today’s ICT applications—influences students’ learning of music jump rop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and how the impact is different for students of different genders and grades.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I taught music jump rope classes for 167 students in two middle schools in Gangbukgu, Seoul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4. Students between grade 7 and 9 were taught the same 17 jump rope motions and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 experimental group of 91 students with QR code application, and b) control group of 76 students. Students’learning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to observe changes in them. To measure the learning effect of QR code application, I referred to the questionnaire “Pleasure of PE Class” used by Eun-yeong Kim (2004) and adjusted it to sui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underst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I consulted and adjusted the questionnaire “PE Class Satisfaction Level” by Jong-cheol Won (2012). The questionnaire results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were computed by SPSS/WIN 18.0 Program. T-test was used to observe changes in students’learning and satisfaction in relation to QR code application and also to see whether the changes are influenced by students’gender and grad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learning effect and student satisfac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1. QR code application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arning effect music jump rope. 2. QR code application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3. QR code application did not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different genders and grades. 4.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learning effect and class satisfaction, factors related to the learning effect such as confidence, fun, experience of staying healthy and fit, cooperative spirit and creativity showed a positive relation with class satisfaction level. To understand the impact of learning effect on students’ satisfaction, I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ound that creativity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satisfaction. In conclusion, it is fair to say that music jump rope classes with QR code application is practical and useful for education as they play a positive role for students’learning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In particular, QR code application has a great potential to become a useful learning tool because a) learning can take place on a mobile phone, overcoming the space and time limitations of PE classes, b) it motivates and interests students, and c) students can make their own decision on what to learn. As the ICT application can provide solutions to various limitations found in the existing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PE teachers need to research into various teaching-and-learning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classes. The teachers also need to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ICT application in PE classes and encourage it by developing and efficiently applying ICT features used in various fields to PE clas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연구의 가설 6 D. 연구의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8 A. ICT 활용교육 8 B. QR코드의 이해 18 C. 음악줄넘기 운동 23 Ⅲ. 연구방법 27 A. 연구 대상 27 B. 연구 절차 28 C. 연구 도구 29 D. 연구 방법 31 E. 자료 분석 34 Ⅳ. 연구결과 35 A. QR코드 활용 유무에 따른 음악줄넘기 학습효과와 수업 만족도 차이 35 B. QR코드 활용 유무에 따른 성별 음악줄넘기 학습효과와 수업 만족도 차이 40 C. QR코드 활용 유무에 따른 학년별 음악줄넘기 학습효과와 수업 만족도 차이 41 D. 음악줄넘기 학습효과와 수업만족도와의 관계 44 Ⅴ. 논의 47 Ⅵ. 결론 및 제언 53 A. 결론 53 B. 제언 57 참고문헌 58 부록1. 설문지 64 부록2. 음악줄넘기 차시 계획서 68 부록3. 평가표 74 부록4. 실험반 학습지 및 수업자료 75 부록5. 비교반 학습지 79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62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QR코드 활용이 음악줄넘기 학습효과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QR code application on student's learning of music jump rop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dc.creator.othernameKim, Na Young-
dc.format.page83 p.-
dc.contributor.examiner박승순-
dc.contributor.examiner안혜임-
dc.contributor.examiner김경숙-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