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4 Download: 0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사용 지도서 분석 및 개선 방안

Title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사용 지도서 분석 및 개선 방안
Other Titles
Revised Second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Statement 2009 an Analysis of a Teacher's Guide Book with Its Application in Class
Authors
김시내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승희
Abstract
Education has always centered on people’s main concerns. Textbooks as a medium for education are of the utmost importance and as argued in many other studies, no linguists strongly disagree with the significant effect of textbooks on education. Textbooks have been revised constantly according to new curriculums and their improvements have actively been made so far. However, no satisfying improvement has been shown with regard to teachers’ manuals which help teachers to teach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aims and polices of new curriculums. Furthermore, when it comes to teachers’ guide books for the second foreign language courses in high school it is never an exaggeration to say there has been no study or development. It was not until the 7th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at the development of teachers’ guide books was first made. Along with the lack of studies on teachers’ manuals, teachers also have had a tendency not to utilize them very often for their courses and there must have been some reasons for this. Based on this reasoning this dissertation delved into teachers’ practical uses of teachers’ manuals and ways to motivate teachers to make the most of them. In chapter II, much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theoretical requisites of teachers’ manuals. After defining the meaning of teachers’ manuals, their roles and functions as well as principles of compilation were also discussed. In addition, further consideration on how well the theoretical factors were materialized was performed. In chapter III,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guides for level 1 high school Chinese textbooks revised in 2009 was carried out. Five Chinese textbooks in high school were used for the study in which the actual number of the teachers’ guides in use was identified and along with it, the comparison of five Chinese textbooks was performed in regard to the contents and their organization. The teachers’ manuals were looked into in order of the introduction, the body and the appendix and also the body was separately analyzed into the overview of each chapter an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art. In chapter IV, the analysis on practical uses of teachers’ manuals was made through surveys. The surveys specified subjects, procedures and contents and they included the extent of actual application of teachers’ guides, teachers’ opinions on them and idea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s' manuals as detailed in the appendix. In chapter 5, ways to improve teachers' guide books for level 1 Chinese text book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on teachers' manuals and surveys by Chinese teachers in high school, a few considerations for improvement were made in the light of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in reference to the role and their overall uses. The teachers' manuals currently in use are not very pragmatic enough to provide teachers with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and they do not fully include activities to make students more motivated. Expectation for more practical and useful teachers’ manuals is strongly hoped for through further effort and constant improvement.; 교육은 항상 사람들의 관심사이다. 교육에 있어 중요한 매개체가 되는 것이 바로 교재이다. 교재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 학자들이 이야기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의 교재는 바로 교과서인데 교과서는 교육과정이 바뀔 때 마다 그 기본 방침에 발맞추어 개정되고 있다. 또한 교과서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교사들이 교육과정의 목표 및 취지에 맞게 보다 효율적으로 지도하도록 안내해 주는 역할을 하는 교사용 지도서에 관한 연구는 이에 비해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고등학교 제2외국어 과목은 지도서에 대해 연구된 것이 거의 없다. 몇 편 안되는 지도서와 관련된 연구 역시 제7차 교육과정 시기의 것이다. 또한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대체로 지도서를 많이 활용하지 않는 편인데 여기에는 분명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들의 지도서 활용 정도를 분석해 보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의 방안을 강구해 보고자 한다. 제Ⅱ장에서는 교사용 지도서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해본다. 교사용 지도서의 정의에 대해 살펴본 후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과 기능, 교재 편찬의 원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또한 이렇게 이론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들이 현재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도서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 살펴본다. 제Ⅲ장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해 보도록 한다. 분석대상은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5종의 중국어Ⅰ 교과서 이며 분석방법은 교사용 지도서의 현황에 대해 실제 데이터를 제시하고, 5종 지도서의 체제 및 내용을 비교 분석한다. 지도서의 체제는 편집 체제와 단원 구성을 큰 범주로 하였으며 내용은 총론, 각론, 부록의 순서로 분석하되 각론이 지도서의 내용 중 핵심이 되므로 각론은 다시 단원개관과 교수학습과정으로 나누어 분석 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지도서의 활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에 대해 설문조사 대상, 절차, 내용의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분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지도서의 체제 및 내용 활용 현황, 지도서에 대한 전반적 인식 및 활용, 지도서의 활용을 위한 개선에 대한 의견의 세 가지이다. 설문지의 구체적인 내용은 부록에 첨부하였다. 제Ⅴ장에서는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안에 대해 서술하였다. 앞서 서술한 지도서 분석의 내용과 현직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지도서의 체제 및 내용에 대한 개선, 지도서 역할에 대한 개선, 지도서 전반에 대한 활용 및 개선할 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현재 교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지도서는 현실적인 수업 내용 및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못한 편이며 학습자들의 흥미를 이끌어낼 만한 활동자료가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면들을 개선하여 보다 실질적인 내용이 충실하게 담긴 지도서가 편찬되길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