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승희-
dc.contributor.author전미혜-
dc.creator전미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6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676-
dc.description.abstractA subject of『Living Chinese』, one of alternative courses in middle schools, was offered beginning 2007 revised curriculum. Starting with it, 2009 revised curriculum tries to change 『Living Chinese』to the optional course and expands the lesson time number. Consequently,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middle school 『Living Chinese』 is to develop th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in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the national level achievement standard for each language function is developed to introduce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related to what the learners have achieved in the existing learner ranking evaluation system. It is a guideline for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in classroom field, and the thing that implements these changes in curriculum is textbook. Because textbook exercises focus on curriculum, provide the functions of learners’ practice and evaluation and provide the role of repeated•enrichment learning and formative evaluation, among these, textbook exercises not only are a part of the textbook but affect practically in class.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whether exercises of middle school『Living Chinese』textbook follow faithfully the guideline for curriculum. Understanding that whether these meet the national level achievement standard of each language function and whether the evaluation stage and performance type of language function aims at communication skills, the exercis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actual field are designed. The construction of this study is as below. The chapter 1 illumin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and identified the method of this study. The chapter 2 looked at the definitions, roles, types and design principles for textbook exercises, based on national level achievement standards and evaluation guidelines developed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ach language function on whic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cuses. The chapter 3 examined the range of exercises in 5 kinds of 『Living Chinese』 textbooks, which is the analysis theme of this paper, and based on the theory of each scholar, organized and integrated the analysis standard of textbook exercises. Depending on each language function of textbook exercises, it classified as the achievement standard reflection rate, the detailed performance type and the evaluation stage, and analyzed. And it recommended problems accordingly. The chapter 4, based on problems of textbook exercises and improvements of substantial education field, designed additional questions in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s improvement measures of specific practice direction. The chapter described 5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rough this study , it is expected that it is helpful to deal with and design textbook exercises in the future classroom field and that in the future the study of ways to use the textbook exercises is carried out more actively.;2007 개정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중학교 재량 과목 중 하나로『생활중국어』가 개설되었다. 이를 필두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생활중국어』를 선택 과목으로 변경하고 수업 시수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중학교『생활중국어』의 교육목표는 학습자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학습자 서열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무엇을 성취하였는지 알 수 있는 성취평가제를 도입하고자 각 언어 기능의 국가수준 성취기준을 개발되었다. 이는 실제 교실현장에서 교수·학습과 평가의 지침서로,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를 구현한 것이 교과서이다. 그중 교과서의 연습문제는 교육과정에 주안점을 두고 학습자의 연습 활동과 평가의 기능을 제공하여 반복·심화학습 및 형성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교과서 연습문제를 단순히 교과서의 한 부분이 아닌 수업에 실제적인 영향을 끼치는 매우 중요한 영역으로 다루어야 한다. 이에 본고는 중학교『생활중국어』교과서의 연습문제가 교육과정의 지침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지 조명하고자 한다. 각 언어 기능의 국가수준 성취기준을 부합하고 언어 기능의 수행 유형과 평가 단계가 의사소통 능력을 지향하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여,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연습문제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힌 후, 기존의 선행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의 방법을 규명한다. 제 2장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시하는 각 언어 기능의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개발된 국가수준 성취기준과 평가 지침에 기반을 두어 교과서 연습문제의 정의, 역할, 유형, 설계 원칙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본고의 분석 대상인 5종『생활 중국어』교과서의 연습문제의 범위를 살펴보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각 학자의 이론을 바탕으로 교과서의 연습문제 분석 기준을 정리·통합하였다. 교과서 연습문제의 각 언어 기능에 따라 성취기준 반영률, 세부적인 수행 유형, 평가 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교과서 연습문제의 문제점과 실질적인 교육현장의 실태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영역에 적합한 추가문항을 설계하였다. 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여 결론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향후 교실 현장에서 교과서의 연습문제를 다루거나 설계하는 데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 교과서 연습문제의 활용 방안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B. 선행연구 고찰 3 C. 연구 내용 및 방법 5 Ⅱ. 이론적 배경 7 A. 2009 개정 생활 외국어 교육과정 7 B. 교과서 연습문제 13 1. 연습문제 정의 14 2. 연습문제 역할 15 3. 연습문제 유형 17 4. 연습문제 설계 원칙 33 Ⅲ. 5종생활 중국어교과서 연습문제 분석 35 A. 분석 대상 및 범위 35 1. 분석 대상 35 2. 분석 범위 36 B. 분석 기준 38 1. 언어 기능의 국가수준 성취기준 39 2. 언어 기능의 수행 유형 및 평가 단계 39 C. 교과서별 분석 48 1. A 교과서 48 2. B 교과서 56 3. C 교과서 64 4. D 교과서 72 5. E 교과서 80 D. 소결 88 Ⅳ. 5종생활 중국어교과서 연습문제 개선 방안 90 A. 연습문제 개선 방향 90 B. 연습문제 개선 방안 92 1. 듣기 영역의 설계 92 2. 말하기 영역의 설계 93 3. 읽기 영역의 설계 94 4. 쓰기 영역의 설계 95 Ⅴ. 결론 97 참고문헌 99 부록 1. 각 언어 기능 국가수준 성취기준 104 ABSTRACT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022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2009 개정 중학교『생활중국어』연습문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Analysis of 2009 Revised Middle School『Living Chinese』Textbook Exercises-
dc.creator.othernameJeon, Mi Hye-
dc.format.pagevii, 116 p.-
dc.contributor.examiner모해연-
dc.contributor.examiner손민정-
dc.contributor.examiner신승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