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함인희-
dc.contributor.authorNguyen Thi Van Anh-
dc.creatorNguyen Thi Van Anh-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4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491-
dc.description.abstract2000년대 이후 한국 내 국제결혼중개업소가 늘어나면서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국제결혼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한국 내에서는 베트남에서 온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증가했다. 특히, 결혼이주여성에 관한 여러 사회문제가 그 동안 크게 벌어졌다. 젠더 불평등을 비롯하여 이들을 향해 “제대로 된 국민이 아니라 이른바 준국민” 인식을 드러내는 주류사회의 선입견과 같은 현상이 모두 포함된다. 그동안 계급 연구는 여성과 계급문제에 대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한국 내에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계급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연구자는 한국 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수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하고 사회의 취약 계층에 속한다고 간주된 이들에 대한 관심도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하기 때문에 계급 연구에서 이 대상자에 대해 더 많은 주목을 갖고 언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가 특히 관심을 가지는 문제는 사회지위와 사회이동에 대해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한국행 이주에 의해 현재 이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지위가 어떤 모습을 가지고 있는지, 이들의 사회지위를 결정해 주는 중요한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현재 지위와 본국에 있을 때 사회지위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초국가적 이들의 사회이동이 발생했는지, 이들의 사회지위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것이다. 계급을 연구하는 사회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한국에서 세대 내 혹은 세대 간 계급이동은 생각보다 미미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조은, 2000: 148-152; 신광영 외, 2004: 107-108). 자격증을 중요시하고 교육열이 치열하고 고용시장에서 경쟁이 심할 뿐만 아니라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로 인해 여성이 자기 남편에게 많이 의존하는 위치에 있다는 한국사회의 특징은 여성에게 불리한 환경을 제공할 뿐더러 특히 교육수준이 낮고 주류사회의 선입견적인 시선과 차별을 받는 결혼이주여성이 사회지위 상승이동에 장애를 많이 주고 남편과 시댁에 심하게 의지하게 할 것이라고 예측된다(황정미, 2010). 한국내의 다른 결혼이주여성보다 베트남 여성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3년에 베트남 결혼이민자가 한국 내 국제결혼이민자 중에서 2위를 차지하고, 2005년부터2012년까지 7년 간에 베트남 출신 신부가 3.2배 증가하였다. 통계청의 2012년 혼인 이혼 통계 보도자료 일반적으로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의 연령 차이가 평균 8.3년인데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은 남편과 17.1년이라는 나이 차이를 보인다. 뿐만 아니라 베트남에서 오는 여성의 과반수가 중졸 이하의 학력을 지녔기 때문에 한국 내 결혼이주여성 중에서 가장 낮은 학력을 지니고 있으며, 한국에서의 거주지가 대부분 농촌으로 베트남 여성이 농촌 총각들의 배우자 중 대다수를 차지한다(김두섭, 2008). 이러한 독특한 점을 지닌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지위 문제를 연구주제로 선정하였고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여성은 어린 시절에 베트남에서 자랐고 지인 및 중매업체 또는 본인의 인연으로 남편을 만나 한국에서 시집온 사람들로서 한국에서 2~3년 이상 체류한 여성이다. 인터뷰 진행 장소는 집이나 공공장소 등 참여자의 편한 데로 장소를 정해 진행하였다. 참여자를 선정한 지역은 주로 수도권에 있는데 그 이유는 시골에서 거주하는 여성은 사회참여율이 낮아서 남편과 시댁에 의지하는 정도가 더 높아 주관적 사회지위와 사회이동 인식에 남편과 시댁의 영향력에 크게 좌우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분석요인은 먼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사회지위에 관한 요인으로서 입국 이전 요인과 입국 이후 요인으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입국 이전 요인은 소득, 본국에 있을 때의 직업, 교육수준 등이고 입국 이후 요인은 생활 만족도, 소득만족도 같은 주관적 요인을 포함시켰다. 이와 함께 송한나(2013)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사회자본인 사회네트워크, 사회참여, 신뢰를 분석요인으로 포함하였다. 한편, Wright(1985a)와 Davis ㆍRobinson(1988)의 ‘지위극대화전략’ 주장을 고려하여 남편과 시댁의 경제ㆍ사회적 위치라는 요인을 분석요인으로 추가하였다. 한편, 사회이동은 소득, 직업, 교육수준 등 객관적 요인들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나 본 논문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객관적 사회이동보다 그들이 자기의 지위이동을 스스로 인식하는데 중심을 두기 때문에 객관적인 요인에 비해 물질적 만족도, 정신적 만족도 등 심리적 요인에 더 무게를 둔다. 이와 함께 이주기간, 문화적응, 언어실력이 지위이동과 정의 상관관계이기 때문에 이런 요인도 같이 고려하였다. 반면에 결혼이주여성이 흔히 겪는 문제로서 불평등과 차별이 사회이동과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이 요인이 이들 여성의 지위이동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도 같이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거쳐 본 논문은 다음 결과를 밝혔다. 먼저, 주관적 사회지위에 대해서는 낮은 학력수준과 낮은 가구소득, 편협한 사회네트워크에다 심지어 직업이 없는 사례도 있지만 연구 참여자 전부가 자기의 사회지위로 중간계층을 선택하였다. 이런 인식의 차이는 그들의 준거집단의 차이 때문이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사회지위에 영향을 미친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남편의 영향력은 그다지 중요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베트남 여성은 상당히 강한 주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문화자본에 대해서는 학력수준이 높은 여성에게 교육수준이 사회지위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여기고 있다. 학력이 낮은 여성은 교육수준에 큰 비중을 두지 않고 대신에 언어능력과 문화적응 정도를 더 중요하게 여기지만 일반적으로 학력수준이 낮은 경향이 있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에게는 문화자본이 그리 중요한 요인이 아니다. 3) 사회네트워크, 사회참여와 신뢰가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난다. 사회네트워크 중에서도 직장을 다니거나 사회활동을 참여하는 여성에게는 사회네트워크가 사적인 네트워크 이외에 공적인 네트워크도 많이 활용하고 있는 반면 전업주부들은 사적 네트워크에 많이 의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만, 이들의 사회 참여는 여전히 적은 편이다. 4) 객관적 요인보다 생활 만족도, 혼인만족도, 고부관계 만족도 등과 같은 심리적 요인은 학력이 낮고 경제적으로 독립적이지 못한 결혼이주여성에게 굉장히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난다. 이래서 그들이 경제수준이나 학력수준이 낮으면서도 높은 사회지위를 인지하고 있음을 설명해 준다. 5) 경제적 요인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에게 결정요인이 거의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경제적 요인 중에서 본인의 소득을 근거하여 사회지위를 결정한 사례가 있지만 그 경우에는 소득이 그들에게 정말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선택되었고 나머지 여성은 경제적 요인보다 정신적 요인들을 더 많이 고려한다. 6) 직업은 결혼이주여성에게 공통적으로 중요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직업을 가지는 사람 중에서 지적인 노동을 하는 일부분만 직업을 굉장히 중요시하고 일을 통해 삶의 보람을 찾기도 하는데 대부분 직업을 고려하지 않는다. 사회이동 인식에 대해서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은 대부분 주변에 있는 베트남 사람과 본국에 있을 때의 사회지위와 비교할 때 상승이동을 경험하고 소수만 사회지위가 달라지지 않는 수평이동을 경험하며 하강이동을 경험한 경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2)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이동 인식의 결정요인은 물질적 만족도, 정신적 만족도와 같은 삶에 대한 만족도와 이주기간이라는 시간요인과 언어능력, 문화적응 태도가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3) 이주기간이 길면 길수록 결혼이주여성이 이주국의 사회ㆍ문화에 더 잘 적응한다. 4) 언어능력, 문화적응 태도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결혼이주여성에게 지위상승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인이다. 5) 사회적 차별 때문에 제대로 된 사회지위상승을 확보하지 못한다.;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 mediating agencies has increased since the 2000s, marriage between Korean males and Vietnamese females has greatly increased. Subsequently, Korean society has had more interest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Especially, various social issues on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 seriously broken out. These issues include gender unfairness and prejudices of the mainstream society that reveal a recognition; “they are not fully qualified citizens but quasi-citizens.” Research on social ranks has actively been done on women and the issue of ranks. But few studies have been made on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live in Korea. Since the current researcher predicts that the number of such women will keep growing up and Korean society’s interest in thos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ocially feeble will not dwindle, those falling under this category should gain more attention and keep being mentioned about. What especially interests the current researcher i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ubjective recognition of women from Vietnam on social ranks and social mobility. More concretely speaking, The current researcher want to know what social ranks they currently have after they moved to Korea, what important factors have made their social status, what difference their current social status has from what they had in their mother nation, if their social mobility has supernationally transpired or not, what factors have grip on their social status shift and etc. According to studies of scholars working on social ranks, the in-generation or intra-generation shift of social ranks in Korea is more meager than was thought(Cho Eun, 2000: 148-152; Shin Gwangyeong and others, 2004: 107-108). Features of Korean society where women depend much on their husbands due to holding certificates dear, intense zeal for education, intense competition in the employment market and father-centered ideology not only provide environments unfavorable to women but also have much difficulty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with lower level of education and the mainstream society’s biased view and discrimination to move to higher social status and thus, they are expected to rely seriously on their husband and his family(Hwang Jeongmi, 2010).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ncrease more sharply than those from other nations in Korea. Year 2013 saw them take the second place in number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and brides from Vietnam have increased 3.2 times in number for 7 years from 2005 to 2012. Statistical Office’s data on year 2012 marriage and divorce While generally age gap between Korean husband and foreign wife is average 8.3 years, Vietnamese brides are 17.1 years younger than their husbands. Besides, sice more than half of those from the nation have academic career of being less than middle school graduates, they are ranked as having the lowest academic career and so most of them are spouses to Korean males living in the countryside(Kim Dooseup, 2008). Noting these unique features found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current study selected the issue of their social status as its research problem and its qualitative study was don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ose who grew up in Vietnam and met their current husband through acquaintances, marriage agency or their own personal relationship, moved to Korea and have lived here over 2~3 years. Interviews were done either at home, public places or anywhere they felt convenient. Most of the participants live in the Capital Area, for it’s judged that those living in the rural side have low rate of social participation, more depend upon their husband and his family and their recognition of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social mobility could be greatly influenced by their spouse and his family. Analyzed factors, which are factors o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subjective social status, were divided into those before entering Korea and those after entering Korea. The former included income, job in Vietnam, education level and etc. and the latter included subjective factors such as living satisfaction, income satisfaction. In addition, referring to Song Hanna’s research results(2013), it included social capitals of social network,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as analyzed factors. At the same time, it added the factor of their spouse and his family’s economic/social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Wright(1985a) and Davis ㆍRobinson(1988)’s insistence of ‘position-maximizing strategy.’ While, soceity shift is fatally influenced by objective factors such as income, occupation, education level and etc., this thesis puts more focus on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materialistic satisfaction, mental satisfaction and etc than objective factors since it focuses not on their objective social mobility but on their own recognition of position shift. Along with these, it considered factors of migration time, cultural adaptation and language ability since they have positive relation to position shift while it reviewed what effect unfair treatment and discrimination have on their recognition of the women’s position shift since the issues often experienced by them have negative corelation to social mobility. Through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results are drawn out; First, regarding subjective social status, though there are even cases of being jobless along with low academic level, low family income and limited social network, most of the participants selected the middle class as their social position. This i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heir reference groups. Factors with effect on their subjective social status are arranged as follow; 1) Their spouse’s influence does not seem to be so important. Vietnamese women seem to have strong identity. 2) Regarding cultural capital, those with higher education level consider i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social status while those with lower education level do not put much stress on education level but consider their language ability and cultural adaptation more important. Generally, cultural capital is not so an important factor to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with lower education level. 3) Social network,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are important factors as well. Among social networks, those with a job or social participation use not just private network but public one much while full time housewives rely much on private network and their social participation is still meager. 4) Those with lower education level and lower economic independence consider living satisfaction, marriage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 to their mother-in-law and etc. more than objective factors. This explains that they are aware of high social status though their economic or academic level is low. 5) Economic factor is hardly a deciding factor to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Though some cases exist that they decide their social status based on their income, in those cases, they selected their income as a deciding factor because it really meant much to them but the others consider psychological factors more than economic ones. 6) Occupation is not a vital factor to them. Only those doing intellectual labor among on-jobbers consider their occupation very important and often find meanings of their life in it but the majority don’t consider occupation as a factor. Their recognition of social mobility is analyzed as follows; 1) They experience upward move when they compare their status with that of surrounding Vietnamese and that when they were in Vietnam and only a handful experience horizontal shift with no change in social status and none of them experience downward move. 2) Living satisfaction such as materialistic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migration time, language ability and their attitude to cultural adaptation play a vital role inn deciding their recognition of social mobility. 3) The longer they migrated, the better marriage immigrant women adapt themselves to the society/culture of the nation they immigrated. 4) Language ability and attitude to cultural adaptation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are vital factors in having upward social move. 5) They find it hard to properly secure upward social move due to social discrimin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목적 4 C. 논문구성 5 II.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7 A. 사회지위 7 1. 사회지위 개념 7 2. 주관적 사회지위 8 3. 주관적 사회지위에 관한 선행연구 9 가) 외국연구 9 나) 한국연구 10 B. 사회이동 13 1. 사회이동 개념 13 2. 여성의 사회이동 15 가) 외국논문에 여성의 사회이동 담론 15 나) 한국에서의 사회이동 18 3. 사회 불평등과 사회이동 20 C.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사회지위 및 사회이동 인식 25 1.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사회지위 25 2. 이주여성의 사회이동 인식 29 D. 연구내용 35 III.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37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7 1. 연구대상 37 2. 자료수집 42 B. 분석요인 44 1. 입국 이전 요인 45 2. 입국 이후 요인 46 IV.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사회지위 및 결정요인 49 A. 주관적 사회지위 49 1. 주관적 사회지위 49 2. 상이한 주관적 사회지위의 원인 58 B. 주관적 사회지위 결정요인 59 1. 공통적인 결정요인 60 가) 남편의 영향력 60 나) 어학능력 66 다) 문화적응도 67 라) 사회자본 68 마) 심리적 요인 71 2. 개별적인 결정요인 74 가) 경제요인 75 나) 직업 78 다) 학력수준 81 V.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이동 인식 84 A. 사회이동 인식 84 B. 사회이동 인식 결정요인 89 1. 물질적 만족도와 지위상승 89 2. 경제수준의 불변으로 인한 수평이동 90 3. 정신적 만족도 91 4. 이주기간 94 5. 언어능력, 문화적응 태도 96 6. 사회 불평등에 대한 개별적 경험 98 VI. 결론 101 A. 논문결과 요약 101 1.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사회지위 101 2.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이동 인식 105 B. 논문의 시사점과 한계점 107 참고문헌 111 ABSTRACT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65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사회지위와 사회이동 인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ubjective Social Position and Social Mobility among The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dc.format.pagex, 122 p.-
dc.contributor.examiner김석향-
dc.contributor.examiner함인희-
dc.contributor.examiner김현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