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승현-
dc.contributor.author전지연-
dc.creator전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5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58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악교육을 통한 새터민 청소년의 남한 문화적응과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남한사회 적응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새터민 청소년들은 한민족으로서의 정서를 기대하고 탈북 하였으나, 기대와는 달리 남한 사회에 이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상을 개선시키고자 민족적 동질성을 갖고 있는 국악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새터민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상은 경기도 안성에 소재한 한겨레 중학교 33명의 학생과 서울에 소재한 A교회 7명의 학생으로 총 40명의 새터민 청소년들이며, 국악 교육에 참여한 20명의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20명의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악교육을 하기 전에 사전검사를 진행하였으며 8차시의 국악교육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국악교육의 내용은 남과 북에서 공통적으로 연주되는 가야금과 단소를 이용한 기악활동으로 진행하였으며, 제재곡과 감상곡은 북한과 남한의 민요들로 구성하여 한민족으로서의 동질감을 형성 할 수 있도록 수업을 계획하였다. 본 연구의 남한 문화적응 연구도구로는 피니(Phinney, 1992)의‘민족 정체감 척도’를 청소년에게 맞게 번안된 것을 정정현(2012)이 국제결혼가정자녀에게 적합하게 도출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했으며, 국가정체성의 연구도구는 최은영(2014)의‘다문화사회와 요인이 국가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 사용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개인적 특성을 알기 위해 박윤숙(2007)의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적응’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도구와 설문지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연구문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참여관찰일지를 작성하고, 개방형 질문지, 개인면담, 그룹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양적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교육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내 남한 문화적응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0.62점 증가하였으며, 통제집단의 경우 0.01점만 증가하여 국악교육이 새터민 청소년들의 남한문화 적응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하위영역인 민족 소속감, 자문화 관심, 타문화 관심, 한국문화 자긍심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국악교육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내 국가정체성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0.51점 증가하였으며, 통제집단의 경우 0.04점만 증가하여 국악교육이 새터민 청소년들의 국가정체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하위영역인 남한에 대한 자부심, 기여의식, 존중감, 국적, 호혜협력, 국가정체성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국악교육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남한 문화적응에 대한 사후검사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t=4.805, p<0.001), 각 하위영역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국악교육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국가정체성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t=4.460, p<0.001), 각 하위영역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은 본 연구의 질적분석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첫째, 새터민 청소년들은 국악교육을 직접 경험하고 음악을 완성해 나갈 때 마다 성취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소극적 이였던 자기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새터민 청소년들은 국악교육을 경험함으로서 남한문화에 대하여 한민족으로서의 동질감을 형성하였으며, 전통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게 되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국가정체성이 향상되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양적분석과 질적분석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국악교육을 경험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통제집단 학생들 보다 남한 문화적응과 국가정체성의 하위영역들이 모두 높아졌으며, 이는 국악 교육이 새터민 청소년들에게 한민족으로서의 동질감을 회복시켜 남한 문화적응과 국가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새터민과 관련된 연구의 대부분이 새터민의 특성과 남한사회 부적응 요인들에 대한 탐색으로, 후속 연구는 새터민의 사회적응을 위한 방안 연구들을 제안한다. 또한, 새터민 청소년 교육을 통일교육의 축소판으로 보고 곧 도래하게 될 통일시대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은 새터민 청소년의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This study provides the impact of national identity and South Korean cultur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Korean classic music called, ‘gukak' in Korean which helps them adapt to the South Korean society. North Korean defectors fled to South Korea because they believed in the emotion of the Korean people. However, it turns out that these defectors feel the sense of difference in the South Korean society, contrary to expectations. So, this paper examines Korean classic music education which has the same sense of ki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to improve this situation, and researches the effect of North Korean defectors using both a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0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with 33 students of’ Hangyere middle school’ in Anseung, Gyeonggido and 7 students of 'A' church in Seoul. This paper proceeds to study 20 people who participate in Korean classic music class and the rest of 20 people who do not. This paper examines pretesting first, and then does a posttest after 8th class Korean classic music education. This music class includes instrumental activities playing ‘Danso’ and ‘Gayageum’ which are performed both in South and North Korea. Those young defectors sing Korean musical pieces and appreciate music that are famous folk songs in North Korean to build affection similar to the Korean people. The paper uses modified measures as research tool of cultural adaptation to South Korea of Junghyung Jeong(2012) who changed 'National identity measure for teenagers of Phinney (1992)' to be met for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This paper utilizes modified measures of ‘The effect on formation of country identity by multicultural society of Yeunyoung Choi(2014)’ as a research tool of national identity. This paper also amends and complements measures of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of North Korean teenagers’ of Yeunsuk Park(2007)’ to figure out personal attributes. This paper collects data from research tool and survey, and runs them through SPSS Ver. 19.0. In addition, this paper conduct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atching sample t-test to check the study results. In order to look into perceptional change of students, the writer recorded a log of participant observations daily, distributed open questionnaires and did individual interviews as well as group interviews. Here ar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summary of the study below. First of all, this paper conducts Matching sample t-test for Pretest and Posttest on the cultural adaptation to South Korea for an experiment group with Korean classic music education and a controlled group without the class. As a result, it shows that Korean classic music has a positive influential on cultural adaptation to South Korea for North Korean teenaged defectors by an increased test score: 0.62 point increase for the experiment group versus only 0.01 point increase for the controlled group. Furthermore, there i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subordinate scopes including sense of ethnic belonging, interest in the self-culture and pride in the South Korean culture. Secondly, this paper does a pretest and a posttest on national identity to the experiment group with Korean classic music education and controlled group without the class. It also shows Korean classic music positively effects on improvement of country identity for North Korean teenaged defectors: 0.51 point increase for the experiment group versus only 0.04 point increase for the controlled group. Additionally, there i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subordinate scopes including pride, sense of contribution, nationality and reciprocity cooperation. Thirdly, this paper conducts Matching sample t-test to identify the posttest difference on cultural adaptation to South Korea for the experiment group having Korean classic music education and the controlled group without the Korean classic music class experiment. Consequently, the test result of the experiment group is higher than the controlled group (t=4.805, p<0.001) and subordinate scopes also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Lastly, this paper does a posttest on country identity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led groups, and discovers that the experiment group has better test results than the controlled group (t=4.460, p<0.001) and it also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on subordinate scopes. Here ar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summary of the study below. Firstly,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feel accomplishment and improve their expressiveness through the Korean classic music education. Secondly, those young teenagers become to feel a sense of kinship with South Korean people and pride in South Korean traditional culture while taking Korean classic music classes. In summary, here are the summaries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rom this study below. The experiment group students who received Korean classic music education have higher factors such as South Korean cultural adaptation, and sub factors of national identity, than the controlled group students without the music education. With this, this paper discovers that Korean classic music education, “gukak,” has a positive effect on cultur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teenage defectors to South Korea and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by recovering their sense of kinship with the South Korean people. The most current studies on North Korean defectors are investigation of attributes and maladjustment factors. However, we need to continue studying plans and solutions for their adjustment to the South Korea society. Moreover, South Korea needs to care about and support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education to prevent chaos of the advent united Korea period because it is necessary to think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education as a microcosm of the unified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선행연구 4 Ⅱ. 이론적 배경 7 A. 새터민 청소년의 배경 및 특성 7 B. 새터민 청소년의 국악교육 효과 14 C. 새터민 청소년의 문화적응 16 D. 새터민 청소년의 국가정체성 19 Ⅲ.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1 A. 연구 대상 21 B. 연구 설계와 연구 절차 22 C. 연구도구 26 D. 자료처리 및 분석 29 E. 연구의 윤리적 고려 및 제한점 29 Ⅳ. 연구결과 및 분석 31 A. 집단 간 동질성 검증 31 B. 집단 별 사전·사후 변화 33 C. 집단 간 사후검사 차이 비교 38 D. 수업에 대한 질적 결과 분석 42 Ⅴ. 결론 및 제언 53 참고문헌 58 부록 62 ABSTRACT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900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국악교육이 새터민 청소년의 남한 문화적응과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남한사회 적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s of Korean Classic Music Education on National Identity and South Korean Cultur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 : With Adaptation to the South Korean Society-
dc.creator.othernameJeon, Ji Yeon-
dc.format.pagevi, 110 p.-
dc.contributor.examiner류정연-
dc.contributor.examiner김희선-
dc.contributor.examiner윤승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