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김성원-
dc.creator김성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9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91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ed to verify how factors such as the acceptance of one’s disability, self-determination, and a sense of belonging, amo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ariables,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aging with disability, how the quality of their environment affects the same, and how their social participation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quality of life and other factors, by understanding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just entered old age. The increase of the aging population has caused a rise in the number of aging with disability. The changes in the population composition have caused many problems and have come to necessitate new services and policy alternatives. Aging with disabilities are facing a sort of double jeopardy due to their disabilities and their aging process, which adds to their difficulties more than to those of any other age group.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individuals who were born with or acquired a particular disability early in life and who are now advancing in age and are experiencing premature or atypical aging related to their condition, its management, or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whether or not they could sustain the good quality of their life in middle age is an important issue because they experience functional health problems due to their disabilities earlier than people without disabilities do. Therefore, it is critical for aging with disability to prepare the measures to enable them to sustain a high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a quality-of-life model for aging with disability, based on the disability creation process model of Fougeyrollas et al. (1999), was presented to understand the quality of life of aging with disability. For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such people were chosen, including acceptance of their disability, self-determination, and a sense of belonging as personal factors and the quality of their environ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their life and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it as external factors.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hat would present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o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aging with disability by looking into the factors that affect it that have been overlooked.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were 50 years old or older and who were living in the capital area to verify the quality-of-life model for aging with disability, and a total of 480 accomplish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structural-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fitness of the model and to verify the hypothesis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PSS 18.0 was used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AMOS 20.0 for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equation model and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Below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In the measurement model analysis, the observed variables verified the construct of each variable statistically. The fitness of the model was also found to be accepta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that was conducted using the measurement and structural-equation models. (2) It was discovered that the quality of life of the aging with disability in this study was very low; characteristically, their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 family was high, but that related to their health and body functions was low. (3)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odel for the direct effects showed that the degree of the elderly people’s acceptance of their disabilities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ir environment affected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it; that is to say, the higher the degree of their acceptance of their disability was, and the higher the quality of their environment, the higher the degree of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it were.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people’s acceptance of their disability, their sense of belonging, the quality of their environment, and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it affected the quality of their life; that is to say, the higher the degree of their acceptance of their disability was, and the higher the quality of their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it, the higher the quality of their life was. (4)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indirect effects via mediating variables showed that the degree of social participation of the aging with disa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ut the elderly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ir social participation mediated between their acceptance of their disability and the quality of their environment on one hand and the quality of their life on the other; that is to say, the effects of their acceptance of their disability and the quality of their environment on the quality of their life are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social participation. Below ar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1)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fundamental information suggesting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 for aging with disability based on the interest in and the understanding of such people, by exploring the quality of life of aging with disability, who have been neglected. (2)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alt with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may help aging with disability sustain a higher quality of life, countering the tendency to focus on the physical aspect, even though both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aging with disability need to be considered to understand their adjustment to old age. (3) The quality-of-life model for aging with disability was verified based on the disability creation process model of Fougeyrollas et al. (1999), and it was emphasized that measures to encourage their social participation considering their needs and preferences need to be prepared to sustain a higher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finding that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social particip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degree of their social participation. (4)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environmental factors rather than the physical disabilities themselves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aging with disability.;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이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경험하는 삶의 질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측면에서 심리·정서적인 변인을 중심으로 하여 장애수용, 자기결정, 소속감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환경 측면에서는 환경의 질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사회참여가 그들 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전 세계적인 고령화 현상은 노년기에 들어서는 장애인구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한 인구집단의 변화는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새로운 서비스와 정책의 대안이 필요하다. 고령장애인은 장애로 인한 문제와 노화과정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동시에 경험하는‘이중위험(double jeopardy)’을 가지고 있어 다른 연령대의 장애인과는 다른 양상의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고령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달리 노년기에 들어서기 이전부터 조기노화를 경험하며 그들의 조건, 관리, 다른 환경적 요인에 있어 비전형적인 노화과정(atypical aging)을 경험하게 된다.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종종 중년 즈음에 노화와 관련된 기능적 건강문제를 비장애인보다 일찍 경험하기 때문에 그 이후에 어떻게 긍정적인 삶의 질을 유지하느냐의 문제가 중요하다. 고령장애인이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추후 성공적인 노후를 논의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을 살펴보기 위해 Fougeyrollas et al(1999)의 장애형성과정모델(disability creation process model)을 기반으로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 모형을 제시하였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요인으로 장애수용, 자기결정, 소속감을 환경요인으로 환경의 질을 제시하였고, 사회참여수행도와 만족도가 삶의 질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간과해오던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을 살펴봄으로써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50세이상의 고령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8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성된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은 SPSS 18.0 을 활용하였고, AMOS 20.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 특성을 살펴보면, 가족의 영역에서 삶의 질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건강과 기능과 관련된 영역에서의 삶의 질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측정모형의 분석결과 각 측정변인들이 각 변수의 구성개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한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충분히 수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직접효과에 대한 연구모형의 분석에서 고령장애인의 장애수용도는 사회참여 수행도와 사회참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고, 환경의 질은 사회참여 수행도와 사회참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장애수용도가 높을수록 환경의 질이 높을수록 사회참여 수행도와 만족도가 높아졌다. 또한 장애수용도와 소속감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고, 환경의 질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참여 만족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즉 장애수용도와 삶의 질, 환경의 질, 사회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졌다. 넷째,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영향에 대한 검증결과, 사회참여 수행도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참여 만족도가 고령장애인의 장애수용과 환경의 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장애수용과 환경의 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참여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주요 검증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간과해왔던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을 살펴봄으로써 고령장애인 집단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하고 이를 통해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고령장애인의 노년기 적응을 이해하는데 신체적인 측면과 심리적인 측면의 복합성을 함께 고려해야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신체적인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던 점에서 벗어나 개인요인을 심리적인 요인으로 구성하여 높은 살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변화가능한 심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Fougeyrollas et al(1999)의 장애형성과정모델을 사용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검증하였고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사회참여 수행도가 아닌 사회참여만족도가 중요하다는 점을 밝혀내 사회참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고령장애인의 욕구와 선호도를 반영한 사회참여방안을 마련해야함을 강조하였다. 넷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요인과 함께 장애인에게 신체적인 손상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목적 5 C. 연구의 의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 8 1. 장애와 노화의 교차 8 2. 삶의 질에 대한 위협 10 B. 연구 모형과 이론적 접근 16 1. 고령장애인의 노화모델 16 2. 장애형성과정모델 20 C. 본 연구의 개념적 모델 및 모형의 변인에 관한 선행연구 23 1. 개념적 모델 23 2. 삶의 질 24 3. 사회참여 28 4. 장애수용 34 5. 자기결정 37 6. 소속감 39 7. 환경의 질 42 Ⅲ. 연구방법 45 A. 연구모형 45 B. 연구문제 및 가설 46 C.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49 D. 변수의 정의 및 측정 52 E. 자료분석방법 61 Ⅳ. 연구결과 63 A.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63 B. 주요 변수의 특성 69 C. 연구모형의 분석 84 D. 구조모형의 가설검증 94 Ⅴ. 결론 및 제언 97 A. 연구결과의 요약 97 B. 논의 100 1.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 모형 100 2.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 101 3. 개인요인과 환경요인 변인들이 사회참여와 삶의 질에 주는 영향 103 4. 사회참여가 삶의 질에 주는 영향 109 C. 연구결과의 함의 112 1. 이론적 함의 112 2. 실천적 함의 113 3. 정책적 함의 116 D.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18 1. 연구의 한계점 118 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19 참고문헌 121 부록. 설문지 131 ABSTRACT 1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70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고령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aging with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Kim, Sung Won-
dc.format.pagevii, 151 p.-
dc.contributor.examiner김미혜-
dc.contributor.examinerErica Yoon Kyung Auh-
dc.contributor.examiner김경미-
dc.contributor.examiner김진석-
dc.contributor.examiner정순둘-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