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9 Download: 0

지역사회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빈곤아동 발달에 관한 혼합 연구

Title
지역사회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빈곤아동 발달에 관한 혼합 연구
Other Titles
The Mixed Methods Research on Community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Authors
안은미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빈곤아동의 빈곤 경험은 심리사회적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까지 영향이 이어져 빈곤이 세대 간 대물림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현재 빈곤아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베네수엘라의 사회복지 사업인 ‘엘 시스테마’는 아동들의 경제적 문제를 해결한 성공적 문화예술교육으로 자리잡게 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을 통한 빈곤아동 발달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참여 빈곤아동의 발달에 대한 연구로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이 빈곤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와 그 효과를 촉진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빈곤아동에 대한 적극적인 사회복지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빈곤아동의 발달을 도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양적, 질적 종단 자료를 활용한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객관적 데이터를 통한 효과입증 일반화뿐만 아니라 과정에 대한 상황적 맥락의 심층적 이해를 도왔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사용된 양적자료와 질적자료 일부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우리동네 오케스트라 학습영향평가」를 위해 수집한 자료이며, 질적자료의 일부는 사회복지적 개입에 대한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을 운영하는 복지기관 중 직접 기획하여 운영하는 사회복지사의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활용하였다. 양적연구 대상은 2년 이상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에 참여한 아동 85명이며 자료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6개월 간격으로 총 4회 조사한 자료로서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아동발달 효과 영역에 대한 발달궤적과 효과촉진을 위한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를 살펴보았다. 질적연구 자료는 양적연구 대상의 아동과 아동의 부모, 활동 강사의 2011년부터 2013년에 진행한 초점집단인터뷰(FGI) 13건과 사회복지사의 2014년에 진행한 심층면접 4건을 활용하여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을 통한 발달 맥락과 운영에 대한 맥락을 분석하였다. 빈곤 아동의 발달부분인 정의적 영역의 우울, 공격성과 사회적 영역의 공동체성, 대인관계 변화의 궤적과 효과를 촉진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들을 양적연구로 분석하고, 양적연구로 도출된 결과의 맥락을 심도 깊게 이해하고 참여자들의 소리를 생생히 전달하고자 질적연구로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양적연구의 결과와 결과에 대한 맥락을 살펴본 질적연구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효과로 나타난 빈곤아동의 발달을 살펴보면 우울, 공격성, 대인관계에서 의미 있는 긍정적 발달을 보였으며, 공동체성은 천장효과와 선별효과, 초기 통찰력 등으로 인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초기 감소 후 증가 하여 지속적으로 높은 공동체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빈곤 아동들의 우울이나 공격성이 비빈곤 아동보다 심하고 청소년기로 갈수록 심각해지는 일반적 현상을 고려할 때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은 빈곤아동에게 매우 긍정적인 교육 활동이며 공동체성과 대인관계는 개별 음악 학습으로는 이루기 힘든 효과로 정의적 영역과 동시에 사회적 영역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개입으로 볼 수 있다. 각 결과에 대한 통합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 공격성, 공동체성, 대인관계 발달 궤적에서 나타난 맥락을 살펴보면, 먼저 우울의 감소 맥락에서는 빈곤아동들이 가정환경으로 인해 정서적 우울감을 보이나 접하기 어려운 악기를 배우면서 자신감을 얻고 이전보다 긍정적인 감정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공격성의 감소 맥락에서는 빈곤아동들이 보이는 공격성과 활동초기 어려운 연주 활동으로 표출되는 공격성으로 인해 약간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음악 활동에 익숙해지고 함께 어우러지면서 친구, 가족, 강사, 사회복지사가 인지할 만큼 아동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면서 감소하는 공격성을 보였다. 공동체성 변화의 맥락에서는 아동들을 가르치는 강사들이 경쟁보다는 공동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지도하는 방법이 아동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함께 연주하는 생활이 즐거운 아동들은 합주를 통해 공동체성이 발달되고 서로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활동에 임하는 모습까지 보이게 되었다. 대인관계의 증가 맥락에서는 아동들이 초기에 보여주는 대인관계는 친구들이나 주변 어른, 혹은 가족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지 못하였으며 환경적인 요인으로 학교나 오케스트라 내에서 친구들과의 어울림이 적었으나 캠프와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가까워지고, 서로에 대한 관심과 이해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대인관계의 긍정적 발달을 보였다. 둘째,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효과를 촉진시키는 활동요소는 평가, 만족, 외부의 관심과 참여로서 평가는 음악평가와 태도 평가, 외부의 관심과 참여는 부모와 지역사회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아동발달궤적의 조건모형에서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 요소들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요소 중 음악평가는 공동체성의 변화율에, 태도평가는 우울과 공격성, 공동체성의 초기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음악평가 영향 맥락에서는 아동들이 새로운 악기를 접하면서 초기에는 악기 다루는 것을 어려워하였으나 배울수록 음악 실력이 향상되어 함께 연주하는 과정에서 친구를 도와줄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고 오케스트라의 규칙을 지키려는 노력들이 행해지면서 공동체성에 긍정적 발달을 보였다. 태도평가 영향 맥락에서는 일반아동들이 배우는 악기를 배울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아동들은 활동에 적극성을 보였으며, 친구들과 함께 하는 오케스트라 활동이기에 참여에 대한 긍정적 책임감을 가지게 되면서 보다 적극적인 활동을 하게 되어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적극성을 보이는 아동들의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은 우울, 공격성, 공동체성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만족은 공동체성과 대인관계의 초기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이 공동체성에 영향을 주는 맥락을 살펴보면 오케스트라의 아름다운 하모니에 만족한 아동들은 그 소리를 만들어내기 위해 더욱 협동하게 되며, 개인의 음악 실력은 높지 않으나 친구들과 함께할 때 만들어지는 멋진 공연에 높은 만족감을 보인다. 아름다운 하모니와 성공적인 공연에 대한 만족감이 공동체를 이루어나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또한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는 맥락을 살펴보면 비빈곤아동에 비해 할 일이 없고 매일 같은 일상을 살아가는 빈곤아동이 초기에 새로운 선생님과 친구들을 만나면서 심심했던 일상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함께 하는 친구들이 같은 저소득층이라는 환경에 깊은 공감이 이루어지면서 더 큰 만족감을 보인다. 이러한 만족감이 서로를 이해하고 좋은 관계를 맺는데 긍정적 영향을 준다. 그러나 아동들의 만족감이 늘어날수록 오케스트라 활동을 지속하거나 악기를 전공하고 싶은 마음을 갖게 되는데 마음대로 지속할 수 없는 현실을 인지하게 되면서 불안한 마음을 갖게 되어 아동의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외부의 관심과 참여 중 부모 관심과 참여는 공격성 초기치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사회 관심과 참여는 우울과 공격성 초기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각각의 맥락을 살펴보면 초기 아동들의 활동에 대한 가족의 관심이 나타나면서 아동들은 가족들 앞에서 연주하며 보여주는 것을 좋아한다. 가족의 관심은 아동에게 악기 연주에 대한 동기부여를 해주고 있으나 가족의 관심이 아동에게 영향을 주기보다 가족에게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들은 집이나 외부에서 가족들에게 연주를 들려주고, 자녀의 연주는 가족에게 자랑거리가 된다. 실력이 향상된 연주뿐만 아니라 활동하면서 자녀에게 나타나는 긍정적인 변화에 높은 만족을 보이고 관심이 높아질수록 부모들도 변화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아동과 부모의 소통의 장을 만드는 중요한 변화가 된다. 그러나 부모들은 초등학교 고학년인 자녀가 음악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을 보여, 부모의 불안한 정서적 반응이 아동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지역사회 관심과 참여의 맥락에서는 아동들이 오케스트라를 시작하면서 주변인들의 관심을 받게 되며, 특히 학교친구들이나 그 외에 친구들의 부러움을 경험하면서 아동들 스스로 느끼는 가치가 높아졌다. 뿐만 아니라 아동들은 지역사회의 지원을 받으면서 지역사회 내에서 연주를 하고, 지역사회 인사와의 친밀한 관계를 누리는 기회를 얻게 되어 지역사회와 더욱 가까워졌다. 이러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를 경험하는 아동일수록 초기 우울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아동들은 오케스트라를 시작하면서 다양한 어른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기 시작하고 지역사회 내 어른들의 관심을 받으면서 다양한 연주 활동을 하게 된다. 아동들은 연주활동을 통해 아름다운 음악을 들려주게 되면서 타인에게 베푸는 경험을 하고, 주변인들은 빈곤아동들에게 긍정적 시선을 보내준다. 빈곤아동들이 경험하는 주변의 따뜻한 시선은 아동의 공격성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셋째,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의 효과를 촉진하는 요소인 평가, 만족, 관심과 참여의 영향은 사회복지사가 운영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의 개입 요소로 생각해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는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운영하기 위한 역할을 살펴볼 수 있다. 각 요소들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평가와 관련해서 음악평가와 태도평가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아동들의 음악성과 참여태도에 대한 끊임없는 사정을 통한 개입이 이루어질 때 아동의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적응력을 높여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활동에 참여하는 빈곤아동들의 만족은 강사들의 태도와 관련이 높다. 따라서 강사들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고 빈곤아동의 심리정서행동 양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해야 강사들이 아동들을 교육하고 이해하는 과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강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강사들의 어려움을 공감하고 격려 및 지지 등의 개입이 이루어질 때 아동들의 만족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강사들에게 모든 교육 활동을 위임하기보다 수시로 아동들의 교육 활동을 참관하고, 아동에 대한 격려나 보다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캠프 등의 활동을 계획하여 아동들의 만족감을 높여야 한다. 관심과 참여는 부모와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로 나누어 역할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사회복지사는 아동의 적극적인 활동을 위해 부모들의 참여와 관심을 요청하고 지역사회 내 홍보 및 행사를 기획해서 운영하는 과정을 초기부터 계획하여 실행하는 것이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합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의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이 빈곤아동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매우 의미 있는 개입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다양한 문제들로 체계적인 운영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실천적으로는 프로그램 기획시 평가, 만족, 관심과 참여 등의 개입요소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활동을 위해 자원개발과 연계, 강사들에 대한 교육과 관심 등이 필요하다. 정책적 함의로는 체계적인 지원과 문화예술교육계와 복지의 협력 활성화가 필요하며 인력에 대한 교육이나 양성 및 운영효과에 대한 평가기준 개발이나 정책 도출을 위한 R&D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통합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장기간의 양적자료와 다양한 시각의 질적 자료 결과를 통합한 혼합연구로써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빈곤아동의 발달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 빈곤아동의 발달과정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의 효과와 더불어 효과에를 촉진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와 사회복지사의 역할 등을 활동 과정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사회복지계의 사업에 대한 이해와 사회복지사의 직접적인 개입의 실천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의 빈곤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빈곤아동 발달을 촉진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들을 확인하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사회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을 실행하고 연구하는 사회복지계, 문화예술계, 교육계 등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빈곤층 문화예술교육의 특장점을 부각하여 새로운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긍정적 효과를 최대화하고, 빈곤아동 발달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Poor children's psychosocial development is negatively influenced by their own experiences of living in poverty. Not only that, the influence lasts until their adulthood, which results in it being pass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Currently, the importance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s emphasized to solve the issues of children from poor backgrounds. A publicly funded company called “El Sistema” in Venezuela successfully resolved the economic problems of poor children through Music Education Program which includes orchestra activities. Experts in Korea showed interest in this method, and they also began to implement this approach in order to help children in poverty. This paper made an attempt for the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by checking on the effects made by community-based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and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positive involvement in the matters concerning the said children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For the said objective, the paper used a mixed methods research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attempting to generalize validation of effects through objective data and to mak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al context of the process possible. Parts of the aforesaid data are those collec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Our Neighborhood Orchestra on Children’s Learning⌟ made by the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Parts of the qualitative materials were used in in-depth interviews of social workers operating community-based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planning directly devised by them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ocial welfare-based involvement. Subjec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were 85 children who took part in the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The data were a result of the surveys made on a total of four occasions carried out every six months in 2011 and 2012. This paper reviewed elements related to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with the focus on the trajectory of development concerning the effects of child development and how to enhance the effects, using potential growth models. The qualitative research materials analyzed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through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and relevant operation, using 13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subject children, their parents, and relevant instructors carried out in the 2011 – 2013 period and four in-depth interviews with social workers carried out in 2014. This paper analyzed the following factors, which are part of the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by means of quantitative research: depression and aggressive behavior, which fall in the mental realm, communality, which fall in the social realm, and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promote trajectory and effects of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n analyzed them additionally by means of quantitative research to understan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more deeply and convey the voices of participants more vividly. Major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on what was found as a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from a perspective of effects of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they displayed significantly positive development in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for communality, they did not display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communality due to ceiling effect, selective effect, initial insight, etc., but they appeared to display a gradual increase in communality and then maintain a high level of communality. This result tells us that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are very positive educational activities for poor children, who generally show more severe depression or aggressive behavior, which becomes serious as they grow older, than the others and they constitute very significant intervention that can exert positive influence on the mental realm and even on the social realm, displaying an effect related to commu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t individual music teaching can hardly accomplish.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ontext that appeared concerning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communality, and the trajectory of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children first showed mental depression due to their home environment, but went through a positive change of sentiment, acquiring a sense of confidence while learning to play the musical instrument. The children showed a slight increase in aggressive behavior related to the difficulty in learning to play a new musical instrument, but their aggressive behavior diminished with the flow of time as they got used to the musical activities and mingled with others, while controlling themselves to an extent that could be recognized by their buddies, families, and social workers taking care of them. The instructors who taught the children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ir communality rather than competition. The children showed that they were happy to play music with buddies. They showed development in their sense of communality and eve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in their working as a team. With regar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t first the children did not show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buddies or their family members or adults in their neighborhood, but they gradually changed their ways, getting close to their buddies through camps and orchestra activities. Second, facilitative factors for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e evaluation (focused on music achievement and attitude), satisfaction, outsiders’ (parents and people of the community) attention and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checking on activity elements that have an impact on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in conditional models of the trajectory of children’s development are as follows. Out of the evaluation elements, the evaluation on music achieve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in communality, while the evaluation on attitude had an impact in the initial value of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communality. As for the context of the evaluation on music achievement, the children expressed difficulty in handling a new instrument at first, but showed a gradual improvement in music skills, came to give hand to buddies, and made efforts to abide by the orchestra’s rules, displaying positive development in their communality. With regard to the context of the evaluation on attitude, the children showed interest in learning to play a new instrument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a member of the orchestra in which there are buddies. Thus, it appears that the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s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communality development. It appears that the sense of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commu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Looking at the context of the sense of satisfaction having an impact on communality, the children satisfied with the beautiful sound made by their orchestra work harder together to make more beautiful sound. Even if individual children’s music skill is not very good, they express a high sense of satisfaction with the sound they make together with buddies. Thus, they make a community. As regards the context that has an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aid children find delight in making new buddies and talking to a new teacher, come to form a deep solidarity with the buddies also from poor families, and feel a sense of satisfaction. The sense of satisfaction like that helps them understand each other better. With an increase in their sense of satisfaction, they wish to continue the orchestra activities or play an instrument as an expert, but they know they cannot afford it. The sense of unease like that sometimes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As for outsider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parent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aggressive behavior, while the 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people of the community showed a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depression and aggressive behavior. The aforesaid contexts tell us that the children like to play their instrument before their family members encouraged by their interest. That is, their family members’ interest makes the children feel motivated stronger about playing an instrument, but it appears that the situation has a stronger impact on the entire family. The children play more often in front of their family members and the entire family comes to have something to boast about. They feel a high sense of satisfaction with the positive change shown by the children. This way, parents start to change, which in turn bring about an opportunity of communication among the family members. However, parents showed a sense of unease about their children, high elementary graders, spending lots of time in music. Such a negative sense felt by parents also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hildren. Concerning the context of 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people of the community,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an orchestra come to receive that attention of the people around them. Especially, they feel their value enhanced, seeing that they have become an object of envy. Besides, the children feel closer to the community as a result of having an opportunity to play music with the support from the community. The children experiencing the 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like that appear to show low depression in the initial stage. The children engaging in orchestra activities come to establish close relationship with diverse adults and carry out more positive activities. The children experience the sense of giving something to others through their orchestra activities in the community and people around them send a warmhearted signal to them. The atmosphere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Third, the impact of evaluation, the sense of satisfaction, and attention/ participation, which are facilitative factors for the effect of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can be deemed to be intervening factors in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operated by social workers. With this, we can review the role to be assumed by a social welfare expert based on a systematically arranged program. The role of a social welfare expert in each factor is as follows. As for evaluation (focused on music achievement and attitude), it appears that the intervention through continued evaluation on the children’s musical talent and attitude of participation can help them develop by having them adapt to the orchestra activities. The level of satisfaction felt by the children is highly dependent on the way instructors handle them. It means that relevant programs need to be operated in the way that encourage instructors to understand the children’s psychological, sentimental, and behavioral patterns through the education of the instructors so that they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 The intervention is also necessary to encourage and support the instructors, as it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sense of satisfaction felt by the children. It is also necessary to inspect the activities designed to educate the children from time to time rather than leaving the assignment to the instructors completely. Steps need to be taken to enhance the level of the sense of satisfaction felt by the children by encouraging them and providing opportunities like camping in which they can take part happily. Attention and participation are divided into two, i.e. parents’ and those of the people of the community. The social workers in charge appear to have high effects when they induce parent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to encourage the children to take part in their activities positively by carrying out relevant community events based on a prearranged plan. The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community for poor children are thought to be very meaningful intervention with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s development, but the activities are not carried out systematically due to diver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relevant programs by utilizing factors of intervention like evaluation, the sense of satisfaction, attention/particip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relevant resources and education of, attention to, the instructo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policy support and develop collaboration between those engaging in welfare and those of cultural, art, and educational circles.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for R&D for education and training of relevant human resources and the development of criteria for evaluation of operational effect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research: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taking part in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and provide diverse materials o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as the research that mixes quantitative materials accumulated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with the results of qualitative materials containing diverse perspectives. Second, this study attempted to point to the need for understanding social welfare programs and provide a practical basis for social workers’ direct invention in the activities of the poor children by shedding light on the effects of the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role of social workers for such childre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poor children by reviewing the influence of the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and identifying relevant factors that enhance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to maximize relevant effects. Finally, this study attempted to maximize positive effects and look for new ways by shedding light on the merits of the cultural/art education of poor children that engage in the community-based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