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5 Download: 0

여자 가출청소년의 비행또래집단 경험

Title
여자 가출청소년의 비행또래집단 경험
Other Titles
Delinquent Peer Group Experiences of Female Runaway Teenagers
Authors
신혜정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가출을 경험한 여자 청소년이 비행또래집단 안에서 남자 청소년과 다르게 경험하는 것이 무엇이며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 여자 가출청소년의 비행또래집단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사회복지적인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쉼터를 이용하고 있는 총 10명의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4년 9월∼2015년 2월까지 6개월간 한 명씩 면대면 심층면접을 시행하였으며 면접 내용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연구 분석방법으로 Stake(1994)가 제시한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사례 내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여자 가출청소년의 비행또래집단 경험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참여자 A는 18세로 고등학교 1학년 재학 중이다. 참여자 A는 또래집단 내에서 상습적인 집단행동으로 학교폭력과 범죄 상황이 이어져 퇴학경험이 있었음에도 처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폭력이나 범죄에 대한 죄책감이나 양심의 가책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참여자 B는 16세로 가출한 상태이다. B는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장기간 가출이 시작되었고 범죄나 또래집단 내 조건만남을 통해 돈을 마련하여 생활하고 있었는데 현재 조건만남을 강요한 또래집단 전체가 공범으로 경찰조사를 받는 중이었다. 참여자 C는 19세로 현재 가출한 상태이다. C는 친오빠한테 성추행을 지속적으로 당해왔으며 그로 인해 초등학교 6학년 때 임신하게 되었다. 또래집단에서 C는 범죄와 관련된 많은 나쁜 행동들을 비행 친구들과 같이 저질렀다. 참여자 D는 18세로 현재 가출한 상태이다. D는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장기 가출이 시작되었고 비행또래집단에서 친구들은 D에게 조건만남이나 조건사기를 강요했고 돈을 받아오면 자신에게 안주고 그들이 다 썼다고 한다. 참여자 E는 16세로 중학교 3학년 유예 중이며 가출한 상태이다. 가출한 후에 같이 다니던 비행또래집단 모두가 가게털이 하다가 걸려서 경찰조사를 받았고 쉼터에서 재판 날짜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참여자 F는 19세이며 현재 가출한 상태이다. 중학교 1학년 때부터 외삼촌으로부터 성폭행을 당하고 임신까지 되었다. 중학교 2학년 때 장기 가출을 하게 되고 방을 얻어 비행또래집단과 함께 살았다. 그 당시 가출한 친구들이 조건만남을 하면 한번에 20만원 ~ 30만원 정도의 돈을 쉽게 벌 수 있었으며 재미있으니 한번 해보라고 하여서 친구들과 같이 돌아가며 조건만남을 했다고 한다. 참여자 G는 19세로 고등학교 1학년 때 자퇴하였고 현재 가출한 상태이다. 새아버지로부터 성폭행을 지속적으로 당했으며 중학교 2학년 때부터 반복적으로 가출을 했다고 한다. G는 친구들이 조건만남을 하거나 편의점털이, 빈집털이를 하면서 돈을 구해 왔고 오토바이를 훔쳐서 오빠들과 같이 타고 다녔다. 참여자 H는 16세로 중학교 재학 중이며 현재는 가출한 상태이다. H는 집을 나와서 지내는 것이 너무 재미있고 행복해서 앞으로 학교에 다니기 싫고 집에도 들어가고 싶지 않으며 남자친구가 구치소에서 나오면 같이 살다가 20살이 되면 결혼 할 것이라고 했다. 참여자 I는 16세로 현재 가출상태이며 중학교 2학년 유예 중이다. I는 주로 또래집단 안에서 조건만남을 통해 돈을 벌어오는 역할을 했고 돈을 받아오면 자신은 쓰지도 못하고 선배들이 다 썼다고 한다. 참여자 J는 17세이며 현재 중학교 3학년 유예상태이고 중학교 2학년 때부터 반복적으로 가출하여 왔다. J는 6살 때부터 아버지로부터 지속적으로 성폭행을 당하였다. J는 또래집단에서 같이 생활하는 것이 재미있고 그냥 같이 있는 것만으로 좋다고 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범주로 ‘집 밖으로 탈출’,‘비행소녀의 학교생활’,‘유사 가족’,‘소녀들의 섹슈얼리티’,‘범죄의 일상화’,‘집단 내 권력관계’,‘벗어나고 싶은 굴레’ 등으로 분류되었다. ‘집 밖으로 탈출’에서는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이 가정에서 다양한 유형의 폭력에 노출되어 떠올리기 싫은 어린 시절의 기억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가족들로부터 충분한 사랑을 받고 자라지 못하였고 오히려 바깥으로 내 몰리는 상황이었다. 견딜 수 없어 밖으로 뛰쳐나오게 되었고 참으려 해도 참을 수 없는 상황들이 끝이 없이 이어졌다. ‘비행소녀의 학교생활’에서 연구 참여자들에게 학교란 또래를 만나는 즐거운 곳과 나를 힘들게 하는 곳이라는 두 가지 시선으로 비추어졌다. 이들 중 대부분은 비행또래와 어울리면서 학교 쉬는 시간에 만나서 놀거나 방과 후에 만나서 놀았는데 이러한 경험들이 그들에게 즐거움을 주었고 집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었다. 한편 몇몇 연구 참여자들은 가족과의 갈등뿐만 아니라 학교에서도 친구들에게 왕따를 당하거나 친구들과의 관계에서도 갈등을 겪었으며 선생님들과의 관계도 좋지 않아 학교도 다닐 수 가 없었다. ‘유사 가족’에서 가정에서 버림받거나 거부당하거나 폭력을 당했던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들을 가족처럼 받아주는 것이 있다는 것에 안도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또래집단을 통해 더 이상 혼자가 아니라는 것, 더 이상 외롭지 않다는 것에 만족 해 했다. ‘소녀들의 섹슈얼리티’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성’에 대해 그들만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즐거움, 폭력, 자본을 의미했는데 연구 참여자들은 성에 대해 단순히 즐거움을 주는 행위라고 생각하였고 성폭행이 대상이 되거나 남자들의 권력다툼의 피해자가 되었으며 자본의 수단으로써 자발적이거나 또래집단의 강요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조건만남이나 조건사기를 해야만 하였다. ‘범죄의 일상화’에서 연구 참여자들에게 가장 절실한 것은 살기 위해 필요한 돈이었다. 가출 전에는 주로 삥뜯기나 핸드폰 절도 등으로 돈을 마련하였지만 가출 한 후에는 범죄의 수위가 더 높아지고 그 방법도 다양해 졌다. 연구 참여자들은 혼자가 아닌 함께 한다는 이유로 도덕적 양심이나 죄책감에 대해 거리끼는 것이 없었다. ‘집단 내 권력관계’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힘이 있는 자와 힘이 없는 자로 권력 관계가 형성이 되었다. 이러한 권력 관계는 지배와 착취를 의미했고 이 과정에서 집단적으로 폭력이 이루어 졌다. ‘벗어나고 싶은 굴레’에서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비행또래집단 경험을 후회하고 있었고 그러면서도 그 생활을 청산 할 수 없음에 우울해 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죽지 못해서 살 뿐이라고 했고 이렇게 힘들게 사느니 죽는 것이 더 낫다는 생각을 하였다. 주제 분석에서는 ‘유사가족’,‘성의 의미’,‘약육강식’,‘또래집단 문화동조성’ 등의 4개의 주제로 분류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사가족’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혼자라는 것에 두려움을 느껴야 했고 외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또래집단에 합류하여 ‘함께’라는 것에서 힘을 얻었고 또래집단 친구들을 가족을 대신해 주는 존재로 받아들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부모님이나 같이 살던 친척들로부터 받아보지 못했던 사랑과 관심을 또래집단 친구들을 통해 받을 수 있었고 서로 챙겨주면서 유사 가족애를 느낄 수 있었다. ‘성의 의미’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성’에 대한 태도는 즐거움의 대상이거나 폭력의 대상이거나 자본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반복되는 성적인 경험들 속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그 순간의 감정에 무뎌지고 무감각해지는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몸과 마음이 피폐해지는 동시에 성적인 방종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약육강식’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또래집단 안에서 권력 관계에 의해 그 위치와 역할이 정해졌다. 연구 참여자들 중 일부는 힘이 센 부류에 속하여 가해자의 역할을 하였고 또 다른 일부는 약하고 힘없는 존재로써 피해자의 역할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정글 속의 양육강식과도 같은 상황이 벌어져 피해를 받는 아이들이 지시를 거부하거나 도망치게 되면 또래집단에서 집단폭력의 대상이 되었다. ‘또래집단 문화동조성’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또래집단이라는 특성으로 혼자서 하기 힘든 행동들을 비행또래집단 안에서 쉽게 행하였으며 이때 범죄와 폭력이 집단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들은 함께 한다는 이유로 범죄나 폭력을 행하였을 때 죄책감이나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못했고 더 쉽게 범죄의 세계로 빠져들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여자 가출청소년의 비행또래집단 경험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언어적 학대뿐만 아니라 성학대 경험으로 인하여 가정에서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가 없는 상황들이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집밖에서 비행또래집단과의 관계 형성으로 이어졌다. 둘째, 여자 청소년의 경우 성학대 경험은 가출이나 성관련 비행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가출한 남자 청소년들과 문란한 성적인 행위를 교환하거나 쉽게 성매매를 선택하게 되는데 실제로 어린 시절 성학대 피해경험이 있는 연구 참여자들은 성매매에 이용되었으며 이는 비행또래집단 안에서 더 가속화되고 범죄화되어 갔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 대부분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비행또래와 또래집단이 형성되어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 이미 학교폭력이나. 비행과 관련된 행동이 이루어졌고 범죄와 같은 일련의 행동이 또래집단과 함께 집단적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성적인 주체로 행동하기 보다는‘성적으로 어떻게 해도 좋다’라는 식의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여자라는 이유로 또래집단 안에서 성매매를 강요받거나 성폭행의 대상이 되었다. 여섯째, 연구 참여자들 중 현실에 만족한다는 참여자들과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하는 참여자들 모두 ‘죽고 싶다’는 표현을 많이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나타난 여자 가출청소년들의 비행또래집단 경험에 따른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여자이기 때문에 겪어야 했던 성폭력과 성매매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상담과 치료 및 사후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여자 가출청소년들이 가출 후 비행또래집단의 형성으로 인해 범죄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다 적절한 청소년 보호기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하여 여자 가출청소년을 위한 쉼터의 기능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여자 가출청소년들이 가출 전에 학교에서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또래집단의 형성으로 비행이 집단화되지 않도록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비행또래집단에서 피해자로써 각종 폭행이나 폭력을 경험하는 여자 청소년들이 우울감이나 자살생각을 한다는 점을 감안 할 때 이들의 심리적 안정과 치료를 위한 정신건강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여자 가출청소년들이 또래집단에서 범죄와 관련된 생활을 단절하고 안정적이고 건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자립지원이 필요하다. 후속연구에서는 여자 가출청소년의 전체적인 하나의 또래집단의 역동과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남자 가출청소년들의 또래집단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종단 연구를 통하여 여자 가출청소년들의 비행또래집단 경험에 따른 영향력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female runaway teenagers' experiences in delinquent peer groups to draw an implication of social welfare, as well as to understand how female runaway teenagers experience differently from male runaway teenagers and what the characteristics they share in delinquent peer group.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this study made an exploration through a method of qualitative case stud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emale teenagers, who were using shelters at the time of interview.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arried out face-to-face and in-depth interviews one by one for six months from September of 2014 to February of 2015 targeting female teenagers who filled out a consent form.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argeting a total of ten female teenagers, and their details were used for analysis. In this study, analysis within a case, analysis among cases, and subject analysis, suggested by Stake(1994), were conducted as analyzing methods of qualitative case study. First, characteristics of female runaway teenagers' experiences in peer groups, which were indicated through analysis within a case are as follows: Participant A is eighteen years old and a first-grade high school student. She has been expelled from her school because she committed the school violence and offense through group action within her peer group. However, she lacked awareness over punishment and felt neither guilt nor prick of conscience over violence or crime. Participant B is sixteen years old and is a state of running away from her home. Participant C has constantly been sexually harassed by her biological older brother, thus falling pregnant in six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She committed a lot of immoral behaviors with delinquent friends of her peer group. Participant D is eighteen years old and is currently in a condition of running away from her home. D began a long-term runaway from her home. She was forced to do conditional meeting or conditional fraud by her delinquent peer group, which used up money robbed by her. Participant E is sixteen years old, is in a grace period of third grade of her middle school, and is in a state of running away from her home. She was caught robbing in a shop with her delinquent peer group, thus went through police checks and has been waiting for trial at a shelter. Participant F is nineteen years old and is in a state of running away from her home. She had been sexually assaulted by her mother's brother since six grade of her middle school and became pregnant. She put a long-term runaway from her home into action in second grade of her middle school, and lived together with her delinquent peer group in a rented room. She said that at that time her friends, who also ran away from their home, coaxed her into doing conditional meeting, and said that it would be interesting and she would be able to easily earn an amount of money ranging from two hundred thousand won to three hundred won at a time through it. After all, she took turns in participating conditional meeting with her friends. Participant G is also nineteen years old, dropped out of school in first grade of her high school, and is currently in a state of running away from her home. She had constantly been sexually assaulted by her stepfather and did repeated runaways from her home. She earned money by doing conditional meeting, robbing a convenient store, or sneakthieving. And she stole a motorcycle and drove it with her older boys. Participant H is sixteen years old, goes to her middle school, and is currently in a state of running away from her home. She said that she felt it very interesting and happy to live away from her home, so she did neither want to go to school any longer nor return her home. She was planning that after her boyfriend gets out of a detention center, she will live together with him and marry him when she is twenty years old. Participant I is sixteen years old, is currently in a state of running away from her home, and is in a grace period of second grade of her middle school. She said that she played a major role in earning money through conditional meeting in her peer group, however her seniors in the group usually used up all the money. Participant J is seventeen years old and is currently in a grace period of third grade of her middle school. She has been repeatedly runaway from her home into practice since second grade of her middle school. She has constantly been sexually assaulted from her father since she was six years old. She said that she felt it interesting to live in her peer group and liked her friends' being with her. In analysis among cases, categories were classified as escape from one's own home, delinquent girls’school life, pseudo family, girls' sexuality, routinization of crime, power relationship within a group, and restraint which one want to get out of. As for escape from one's own home,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memories of their childhood, which they did not want to recall, exposed to various types of violence in their home. They were not raised without their family's full love; rather, they were in a condition of being forced out of their homes. They could not endure such circumstances and thus rushed out of their homes. However, they had to be endlessly faced with unbearable situations. As for delinquent girls' school life, participants looked upon a school as two points of view: a enjoyable place where they could meet their peers, and a place which gave them a hard time. Most of them met and played with their delinquent peers at break time at school or after school. They could gain pleasure from such experiences and relieve their stress which they suffered from in their home. On the other hand, some participants were not only troubled with conflict with their family members but also were treated as an outcast by their friends in their schools. In addition, they did not maintain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thus they could not go to school, any longer. As for pseudo family, participants who had been abandoned, rejected, or physically attacked by their home, felt relieved by the fact that some people greeted them unlike their family.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fact that they were not alone and thanked each other for that they were not lonely any longer. As for girls' sexuality, participants had their own meaning about sex. To them, it meant pleasure, violence, and capital. Although they thought that sex is merely a behavior of giving them pleasure, they became a target of sexual assault or a victim of male fights for power, and as a device of capital, they could not help but do conditional meeting, or conditional fraud either of their own accord or under the coercion of their peer groups. As for routinization of crime, what participants needed the most desperately was money by which they made a living. They mostly made a money through extorting or stealing a cellular phone before running away from their home. After being running away from home, their level of crime increased and the way of crime became various. They did not mind any moral conscience or feel guilty because they committed crime together as a group. As for power relationship within a group, the power relationship was formed among participants, and they were categorized by the degree of power. Such relationship meant domination and exploitation, and violence was justified in the meantime. As for restraint which one want to get out of,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regretful of their experiences. Nevertheless, they were depressed by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end such life. They said that they had nothing to live for and they would better die than continue living current tough life. In subject analysis, classification was made as four subjects such as pseudo family, the meaning of sexuality, the law of the jungle and the cultural conformity of peer group' and its result is as follows: As for pseudo family, participants were afraid of the reality of being alone. They got comfort from togetherness by joining their peer group, and they regarded their friends in a peer group as a substitute for their family. They could receive love and attention from their friends in a peer group, which they had never experienced from their parents or relatives who had lived with them. After all, they could feel pseudo family affection by taking care of each other through their peer groups. As for the meaning of sexuality, attitudes of participants toward sexuality were what they thought of it as a target of pleasure, violence, or capital. However, through repeated sexual experiences, they experienced the change that they became insensitive to momentary feeling. Ultimately, they ended up being ravaged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and fell into sexual self-indulgence. As for the law of the jungle status and roles of participants were assigned according to power relationship within their peer group. Some of them belonged to a powerful category and thus played a role of an assailant, whereas others became the weak and powerless and thus played a part of a victim. Meanwhile, they were in a situation where the strong prey upon the weak, therefore if a participant in the peer group refused to follow the regulations of the group or ran away from the group, they became a target of collective violence by other peer group members. As for The cultural conformity of peer group, within their peer group, participants easily performed behaviors that they had difficulty doing alone, when offenses and violence were carried out as a group. They did not feel any prick of conscience in committing offenses and violence because they did it together, and they fell into the world of crime more easily. Based on these consequences, a discussion about female delinquent teenagers' experiences of their peer group is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ere in a situation of not living a normal life in their home due to experiences of physical and mental, linguistic, and sexual abuse. In order to escape from such situations, they came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heir peer group outside their home. Second, in the case of female teenagers, experiences of sexual abuse has related with sexual delinquency after running away from their home. Besides, they easily engaged in sexual activity with male teenagers who ran away from their home or easily choose to prostitute themselves. In reality, participants who had been sexually abused in their childhood were manipulated for prostitution. It became accelerated and held a firm place as a crime. Third, most of participants joined their delinquent peer group in days of going to their elementary school. They already put behaviors related to school violence or delinquency into practice and did collectively a series of behaviors similar to crime with their delinquent peer group. Forth, some of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y did not behave as a main agent of sex but were free to engage in a sexual activity. Fifth, participants became a target of prostitution or sexual assault within their peer group because they were female. Sixth, all of participants - both those who sai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reality and those who said that they wanted to escape from it, often said that they wanted to die. As indicat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a discussion about a study of the practice and policy of social welfare based on female runaway teenagers' experiences of their delinquent peer group is like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counsel and treatment for minimizing damages caused by sexual assault and prostitution, which participants had to suffer from because they were female, and sex education is indispensable for preventing these damages. Second, a suitable teenager care agency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make female runaway teenagers not to be exposed to offenses by their peer group after running away from their home. To attain the purpose, functions of shelters for female runaway teenagers should be improved. Third, female runaway teenagers should be paid special attention for their normal life in their school before running away from their home, and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grouping of delinquency through peer groups. Fourth, it is necessary to separate female teenagers who suffer from all sorts of assault or violence by their peer group from the group and to prepare a counselling service program for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reatment. Fifth, support for female runaway teenagers' self-reliance should be made for breaking off their life related to crime in their peer group and leading a stable and healthy life. A further study should be made on the whole dynamic and reciprocal action of female runaway teenagers, and also male delinquent teenagers' experiences of their peer group should be investigated. In addition, longitudinal study of female delinquent teenagers' influence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their peer group would be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