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혜-
dc.contributor.author문정화-
dc.creator문정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5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54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가정에서 생활하다가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적응에 대해 살펴보고, 적응과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주요 요인들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과 인과경로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Meleis 등(2000)의 전환 모델(Transition Model)을 기반으로 입소 상황요인과 심리사회적 자원, 그리고 그에 따른 결과로서 적응 간의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입소 상황요인으로는 입소자발성, 입소스티그마, 입소준비, 입소원조를 제시하였고, 심리사회적 자원으로 자아통제감과 사회적 지지를 제시하여, 이들이 직·간접적으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충남, 경남, 부산 지역에 위치한 22개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하여, 6개월 이상 생활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의도적 표집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총 45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및 AMO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적응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으로 새로운 거주지 수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집단생활 어려움, 존재가치 지니기, 거주지 이전 증상, 친구 만들기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모형 분석결과, 각 측정변인들이 각 변수의 구성개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구조모형에서도 적합도 지수가 충분히 수용 가능한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연구모형이 적응을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접 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 입소자발성, 입소스티그마, 입소준비, 입소원조는 모두 자아통제감과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입소자발성, 자아통제감,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다. 다섯째,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영향에 대한 검증결과, 자아통제감과 사회적 지지는 모두 입소자발성, 입소스티그마, 입소준비, 입소원조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검증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결론 및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 중 40% 정도가 보통보다 낮은 적응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입소노인이 시설에 잘 적응하고, 그들의 삶의 질이 최대한 보장될 수 있도록, 입소자 중심의 돌봄 정책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입소 상황요인과 입소 후 심리사회적 자원은 입소노인의 적응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소노인에 대한 정책은 입소 전· 후의 전 과정을 포함해야 하며 입소노인을 비롯한 가족, 직원 등 주위 사람들에 대한 개입을 포함한 다차원적이고 포괄적 수준이어야 한다. 셋째, 입소자발성은 입소 후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노인이 입소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입소를 앞둔 노인과 가족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입소스티그마와 관련하여, 노인들이 장기요양시설에 대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사회적 변화, 사회적 돌봄과 장기요양보호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정보 제공 및 홍보활동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며, 입소스티그마를 가지고 있는 입소노인 및 입소 예정 노인에게는 스티그마 감소를 위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입소를 앞둔 노인이 입소 전 시설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얻고, 입소에 대한 준비를 잘 할 수 있도록 입소지원 프로그램이 의무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법적 근거와 입소지원 프로그램의 세부내용이 정책적 차원에서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자아통제감과 사회적 지지는 적응을 돕는 중요한 심리적 자원임이 확인되었다. 입소노인이 자아통제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인들의 개별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고, 이를 위한 시설에서의 생활, 심리, 사회적 접근들이 잘 반영될 수 있는 평가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입소노인과 시설 내 동료 입소자와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개입이 필요하며, 노인과 직원 간 상호 관계의 질 향상을 위한 전담 돌봄 제도 실시 및 직원의 근로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가족의 지지 기능 강화를 위하여 가족 심리상담, 스트레스 관리 그리고 가족 정신건강 교육과 같은 가족 지원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입소 상황요인과 심리사회적 자원 그리고 이를 통해 적응에 이르는 구조 관계를 밝혀냄으로써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적응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기존 연구들이 주목하지 않았던 입소 상황요인에 초점을 두고 이 변인들이 적응에 미치는 경로를 검증함으로써 입소 상황요인의 중요성을 새롭게 입증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심리사회 자원으로 자아통제감과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입증하여 입소노인의 적응을 촉진할 수 있는 실천적 개입 지점 및 개입방법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넷째,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적응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침의 근거를 제공하며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monitor the adjustment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verify the influence of key factors that affect their adjustment by exploring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ose components. Based on ‘Transition Model’of Meleis et al.(2000), this study suggested the research model of relocation situational factors, psychosocial resources and their effects on adjustment. The relocation situational factors included: voluntary relocation, relocation stigma, relocation preparation and relocation support; and psychosocial resources included: sense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These outlined values were tested to discover how they effect adjustment directly or indirectly on adjustment.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elderly over the age of 60 who have lived at a long-term care facility for at least 6 months. The elderly were found throughout 22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Chungnam province, Gyenongnam province and Busan.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for the survey, and a total of 456 sampl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 18.0 and AMOS 20.0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and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justment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ppeared to be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Amongst the sub-factors, the level of acceptance of new residence had the highest effect, followed in order by: difficulty in group life, having self-worth, relocation distress symptom, and making friends. Second, by analyzing the measurement model it was confirmed that each measuring variables explains the composing concept of each variable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shion. Third, the suitability index used to verify structural model appeared to be quite acceptable, and that research model aptly demonstrated adjustment. Fourth, the direct effect analysis showed that voluntary relocation, relocation stigma, relocation preparation and relocation support all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nse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And voluntary relocation, sense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are essential factors on adjustment. Fifth, via the indirect effect analysis with mediator variable, it was found that sense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 of voluntary relocation, relocation stigma, relocation preparation and relocation support on adjust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40%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had lower than middle level of adjustment. Policy for the better care should be implemented to guarantee the quality of the elderly so they can properly adjust in long-term care faciliti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relocation situational factors and psychosocial resources were important variables with significant effect on adjustment. Therefore, the policy for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should be comprehensive, take in the factors of the situational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relocation, including family, staff and other people that they frequently interact with.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elderly’s voluntary relocation was a major variable that ha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adjustment. It is required to educate the elderly and their families so that the elderly can properly participate with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th, relocation stigma needs to be negated through positive education about social change, social care and long-term care business. This information should be distributed not only to the elderly, but to the public to lessen the negative perception of relocation to long-term care facilities. Fifth, relocation support programs should be compulsory by law so that the elderly can discover the information about facilities long before the relocation and prepare adequately, additionally support should be provided so these programs are easily accessible. Sixth, it was confirmed that sense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were psychosocial resources tied to adjustment. In order to improve adjustment, services that fit the individual needs of th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and therefore an effective evaluation method that reflects their life, psychology and social approach should also be developed. Policies for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elderly and other residents are needed. A dedicated care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new comers and older resident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staff should also be improved upon. Family support programs such as counselling, stress management, ment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mandatory in order to strengthen the familiar bond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is study proposed an adjustment model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by correlating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elocation situational factors, psychosocial resources and the resulting adjustment levels. Second,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situational factors and their effects on adjustment which didn't receive attention until now and proposed the need for creation of new policy based on situational factors. Third,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intervention points and a basis for intervention to promote adjustment by verifying importance of sense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Forth, this study provided a basis for policy guidelines for improving adjustment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suggest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verifying causal relationship between key factors affecting on adjust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목적 6 C. 연구의 의의 7 Ⅱ. 이론적 배경 8 A. 장기요양시설 입소와 적응 8 B. 연구모형의 이론적 기반 16 1. Meleis 등의 전환 모델 16 2. 본 연구의 개념적 모델 20 C. 주요변인의 개념 및 관계 24 1. 입소자발성 24 2. 입소스티그마 26 3. 입소준비 28 4. 입소원조 30 5. 자아통제감 32 6. 사회적 지지 34 7. 통제변수 36 Ⅲ. 연구방법 38 A. 연구모형 38 B. 연구문제 및 가설 39 C.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41 1. 연구대상 41 2. 표집방법과 자료수집 42 D. 변수의 정의 및 측정 44 E. 자료분석방법 50 Ⅴ. 연구결과 52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52 1.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2 2.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입소관련 특성 55 B. 주요 변수의 특성 57 1. 주요 변수의 기술적 분석 57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적응 차이 비교 60 3. 주요 변수의 자료특성과 분포특성 62 C. 연구모형 분석 66 1. 측정모형 분석 66 2. 구조모형 분석 69 3. 매개효과검증 73 4. 효과분해 75 D. 연구모형 가설검증 79 Ⅵ. 결론 및 제언 83 A. 연구결과 요약 83 1.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기술적 분석결과 83 2. 구조모형 분석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 85 B. 논의 86 1.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적응에 대한 구조모형 86 2.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적응 87 3. 입소 상황요인이 자아통제감, 사회적 지지, 적응에 미치는 영향 88 4. 자아통제감, 사회적 지지가 적응에 미치는 영향 90 C. 함의 92 1. 이론적 함의 92 2. 실천적 함의 93 3. 정책적 함의 99 D.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102 참고문헌 104 부록 <설문지> 119 ABSTRACT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06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적응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djustment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dc.creator.othernameMoon, Jung Hwa-
dc.format.pageviii, 130 p.-
dc.contributor.examiner정순둘-
dc.contributor.examiner이승윤-
dc.contributor.examiner권금주-
dc.contributor.examiner고기숙-
dc.contributor.examiner김미혜-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