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박나리-
dc.creator박나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3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31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가족 내 자원교환유형과 거주형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빠른 고령화 속도로 인하여 사회적 관심이 높은 베이비부머와 이들 바로 앞의 세대로 베이비부머 보다 생애주기적 사건을 먼저 겪은 예비노인세대 간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 간의 삶의 만족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각각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내 자원교환유형과 거주형태 요인은 어떠하며 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삶의 만족도 관련 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는 향후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가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연구들의 방향성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가족 내에서 부모와 자녀 간의 바람직한 자원교환유형과 거주형태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개입에 대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2011년 한국연구재단에 의해 진행된 기초연구 과제지원사업인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노후준비 실태조사’2차년도 자료로써, 조사대상은 전국 15개 지역을 조사하여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에 해당하는 1947년생부터 1963년생까지 총 2011명을 대상으로서, 2011년 10월 3일부터 11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1대 1 면접을 통한 설문을 진행한 것이다. 독립변수인 자원교환유형은 대상자의 노부모세대와의 자원교환유형과 자녀세대와의 자원교환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거주형태는 대상자의 거주구성원에 따른 것으로 이들 변수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만족도 측정 결과 베이비부머의 평균은 5점 만점 중 21.941, 예비노인 21.903 으로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둘째, 자녀세대와의 자원교환유형 중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공동적으로 영향을 미친 요인은 자녀와 자원을 서로 주고 받는 상호호혜형 자원교환유형으로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 모두에게 있어서 자녀와의 교류는 중요하며 주는 것과 받는 것을 동시에 할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올라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일방적인 방향의 자원교환 형태에서 예비노인에게는 자녀에게 지원을 받는 수급형이, 베이비부머에게는 자녀에게 자원을 지원하는 지원형이 유의미한 것으로 이는 예비노인의 연령분포가 베이비부머에 비하여 높다는 점에서 유추해 볼 때 성장한 자녀에게 지원을 받음으로써 자녀 양육에 대한 보람을 느끼기며 반대로 베이비부머들은 아직은 비교적 평균연령이 낮은 자신의 자녀들에게 자원을 지원하고 양육하면서 삶의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자녀부양에 의무를 가지나 자신의 자녀에게 노후부양을 기대하지 않는다는 선행연구에서 보여진 특징 때문일 수 있다 셋째, 노부모세대와의 자원교환유형들은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유효하지 않았다.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 모두가 자신의 부모세대와 자원교류를 하고는 있으나 자신의 자녀와 교류할 때만이 삶의 만족감을 느꼈다는 것은 다른 문헌연구에서처럼 부모세대와의 자원교류는 효문화와 유교사상 등에 의한 의무감과 부담감 때문인 것으로 이는 부모부양은 당연시 되어 있기 때문에 삶의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볼 수 있는데, 앞으로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에게서 부모세대와의 교류가 삶의 만족도와 왜무관한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거주형태는 베이비부머 및 예비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노인에게 있어서 자녀와의 동거여부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상반된 것으로 본 연구만으로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에게 있어서 거주형태는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하지 않다고 단정 짓기는 어려우나 앞으로 후속연구에서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거주형태가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한 자료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가족구성원과의 동거여부는 영향을 주지 않다는 점은 가족 내 거주구성원의 수가 줄어드는 현황에 맞추어 국가 차원에서 마을공동체를 만드는 등 함께 사는 지역사회를 지향하며 가족구성원과의 동거가 개인의 안녕과 복지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연구들에 또 다른 시사점을 줄 수 있다.;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ypes of resource exchange within the family and the residential types on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effects were explored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baby boomers who have high social interest due to the rapid aging and the pre-elderly who have undergone the life-cycle events earlier as their immediate previous generation. This study examined if there was difference i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and analyzed the types of the resource exchange within the family and the factors of the residential types that have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ach and their common denominator and difference. This kind of comparative study on the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seem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to understand the families of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in the future and to become the basis data for the direction of the future studies. It is also expected to become the basis for the intervention in terms of both policy and practice in the desirable types of the exchange of the resources between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 within the famil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the second-year data from the actual condition survey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of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a support project for the basis study proceed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in 2012. The study targeted a total of 2,011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who were born from 1947 to 1963 in 15 areas across the nation. The surveys were carried out through one on one interviews from October 3 through November 30, 2011. The types of the exchanges of the resources as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classified into the type of exchange of the resources between the subjects and their parents and the type of exchange of the resources between the subjects and their children. The residential type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members of the residency of the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SPSS to determine whether these variables had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the average scores of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were found to be similar with 21.94l and 21.903 respectively out of the full score of 5. Second, among the types of the exchange of the resources with the children generation, the common factor that had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both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was the type of the reciprocity exchange of the resources. It means that the exchange with their children is important to both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and that a simultaneous giving and taking increases life satisfaction. In the meantime, as regards the types of the one-sided exchange of the resources, it was found that the resources-receiving type in which they receive the resources from their children was significant to the pre-elderly while the resources-giving type in which they give the resources to their children was significant to the baby boomers. This result can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seen in the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e studies. in view of their higher age distribution than the baby boomers, the pre-elderly feel fulfilled about having reared their children by being supported by them; on the contrary, the baby boomers feel life satisfaction by supporting their children who are still comparatively young on average. In other words, they feel they feel obligated to support their children, but they do not count on their children to support them in their old age. Third, the types of the exchange of the resources with the elderly parent generation had no effect on the sastisfaction with life of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The fact that both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were exchanging the resources with their parents, but they feel life satisfaction only when they exchange the resources with their children can be attributed to what other literature studies foun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studies, the exchange of the resources with the parents happens due to the sense of obligation or responsibility caused by the filial piety culture and Confucian idea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y do not feel life satisfaction because they take it for granted to support their parents. Thus, there seems to be the need for a follow-up study on why the interactions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with their parents have no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residential types did not ha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These results are conflicting with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whether the elderly are living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us,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alone can hardly verify the hypothesis that the residential types are not significant to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So, a follow-up study will have to be provided with data to verify whether the residential types ha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The fact that whether living together with other family members or not has no effect on life satisfaction can give yet another implication to the studies whose results show that whether living together with other family members or not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individuals’ wellbeing and welfare and in the view of the decreased number of the family members, the government policy should be focused on creating the nation-wide village communities where everybody lives togeth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선행연구 6 A.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6 B. 삶의 만족도 9 1. 삶의 만족도 개념 9 2. 베이비부머와 다른 세대 간의 삶의 만족도 비교 11 3.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 1)가족관계적 요인 12 2)자원교환적 요인 14 3)거주형태 요인 16 4)사회활동적 참여적 요인 19 5)인구사회학적 요인 20 Ⅲ. 연구방법 22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2 B. 측정도구 22 1. 종속변수: 삶의 만족도 22 2. 주요 독립변수: 자원교환유형, 거주형태 23 3. 통제변수 24 C. 자료분석 25 Ⅳ. 연구결과 26 A.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6 B. 주요변수 기술통계 32 C. 변수 간 상관관계 34 D. 베이비부머 및 예비노인의 가족 내 자원교환유형 및 거주형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8 Ⅴ. 결론 및 제언 41 A. 결론 38 B. 함의 및 제언 44 C. 제한점 48 참고문헌 49 부록1. 설문지 58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26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가족 내 자원교환유형과 거주형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The Types of the Resources exchanges within the Family and the Effects of the Residential Types on Life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Baby Boomers and the Pre-elderly-
dc.creator.othernamePark, Na Ri-
dc.format.pagevii, 66 p.-
dc.contributor.examiner정순둘-
dc.contributor.examiner정익중-
dc.contributor.examiner전종설-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