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9 Download: 0

낙인이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비행에 미치는 영향

Title
낙인이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비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tigmatization on delinquency through a medium of self-control : focus on the poor and the non-poor teenagers
Authors
박시하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비행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근거가 되고 있는 낙인이론과 자기통제이론을 바탕으로 빈곤여부에 따라 청소년이 경험하는 낙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빈곤청소년과 비빈곤청소년들의 낙인과 비행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낙인의 위험에 노출이 되기 쉬운 빈곤청소년과 비빈곤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개입을 할 수 있다면 낙인으로 인한 비행을 예방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사료되어 빈곤여부에 따른 변수 영향력 차이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5차년도 자료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낙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낙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인은 비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나 그 수준이 높을수록 비행도 증가하였다. 이를 빈곤여부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빈곤청소년이 경험하는 낙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이 비빈곤청소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곤이라는 고위험상황에서 빈곤청소년들이 경험하는 낙인이 많을 수 있고, 이러한 낙인을 많이 경험할수록 비행으로 이어지는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하여 두 집단 모두 낙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므로 빈곤청소년과 비빈곤청소년 모두에게 낙인이 미치는 영향력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나, 낙인이 빈곤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낙인과 비행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변인을 투입한 연구모형의 결과를 살펴보면 낙인과 비행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낙인이 청소년 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통제력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낙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는 빈곤청소년과 비빈곤청소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빈곤청소년과 비빈곤청소년 모두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지만 비빈곤청소년의 경우에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가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낙인이 비행을 증가시키지만 자기통제력은 비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낙인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비행을 많이 하고, 자기통제력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비행을 덜 저지른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는 청소년에 대한 낙인으로 인하여 학교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일탈로 이어지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낙인이 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해, 낙인이 비행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자기통제력이 보호요인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빈곤청소년과 비빈곤청소년 모두에게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가 나타나긴 하였지만, 빈곤청소년에 비해 비빈곤청소년에게 매개효과가 크게 나타난 점을 고려하여 빈곤청소년과 비빈곤청소년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looked into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labeling teenagers experience on delinquency depending on their poverty conditions based on labeling theory and self-control theory which are important theoretical bases in explaining juvenile delinquency. It also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in a relationship between labeling and delinquency of poor teenagers and non-poor teenagers. This study placed its focus on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variables according to poverty levels, because delinquency due to labeling can be prevented effectively if tailored interven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oor teenagers, who are more exposed to labeling, and non-poor teenagers can be provided. This study performed a regression analysis of data on the fifth Korean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important study results achieved through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stigmatization on delinquency was significant. It was revealed that stigmatiz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delinquency, and delinquency rates increase as the intensity of labeling increases. If we take a look at this after classifying students according to poverty levels, labeling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delinquency of poor teenagers than non-poor teenagers. This may indicate that poor teenagers in a highly dangerous condition called poverty experience more labeling, and higher exposure to it leads to higher delinquency rates. In addition, because the effect of stigmatization on delinqu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of the groups, the poor teenager and the non-poor teenager groups, its influence is important to the teenagers in both of the groups. However, it can be said that labeling has a greater impact on poor teenagers than non-poor teenagers. Next, if we take a look at the result of a study model in which a mediator variable, self-control, is add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tization and delinquency, self-control has a mediator effect on the relationship. This means that labeling can have a direct influence on juvenile delinquency, but it can also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delinquency through self-control. Also, the degree of the mediator effect of self-control in respect to the labeling effect on delinquency was different between the poor and the non-poor teenager groups. Self-control had a mediator effect on the teenagers in both of the groups, but non-poor teenagers were more influenced by the mediator effect of self-control. It is as follows if we briefly suggest how to apply the above study results to discussions and fields: First, as it was revealed that labeling increases delinquency and self-control reduces delinquenc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eenagers who experience high levels of labeling commit more delinquency, and teenagers with high levels of self-control commit less delinquency. This means that stigmatiz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eenagers’ school life, and it is necessary to pay special attention to it so that teenagers do not turn to delinquency. Second, stigmatization do have a direct effect on juvenile delinquency, but considering that i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a medium of self-control, it is necessary to make self-control to play the role of a protective path in the progress in which stigmatization leads to delinquency. Third, self-control had a mediator effect on both poor and non-poor teenag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effect was greater on non-poor teenagers than poor teenag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fferent interventions according to teenagers’ poverty leve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