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병준-
dc.contributor.author김보람-
dc.creator김보람-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6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646-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제3·4차 유엔총회에서 유엔신한국위원단(이하 유엔신한위)이 성립되는 과정과 그 활동 및 성격을 살펴본 것이다. 유엔은 한국의 독립·통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47년부터 유엔한국위원단을 파견하였다. 유엔임시한위가 1948년 5·10 선거를 감시·확인한 뒤 그 활동을 종료하자, 유엔은 재차 한국의 독립·통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엔신한위를 파견하였다. 유엔임시한위에 참여한 국가들은 유엔신한위에도 참여하였다. 그러나 참여국의 대부분은 이전에 비해 위원단 활동에 열성적이지 않았다. 고위급 인사가 대부분이던 유엔임시한위의 대표단과 달리 유엔신한위의 대표단은 이력·경력이 다양한 층위의 인사들로 구성되었고, 그 중에는 외교 업무를 보기에 경력과 경험이 미천한 대표도 있었다. 또 대표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離韓·來韓을 반복했다. 이러한 유엔신한위 대표단의 특징은 위원단 활동에 대한 참여국과 대표단의 집중도가 떨어졌음을 방증하며, 대표단 활동의 성과가 한계적일 수밖에 없었던 배경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유엔신한위는 적극적으로 활동하거나 본국의 지침을 충분히 받는 일부 대표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대표적인 인물이 인도대표 아눕 씽(Anup Singh)으로, 그는 유엔신한위의 평화통일 활동을 주도하며 위원단 일에 적극적으로 임했다. 인도정부는 ‘중립국’으로서 미·소 간 중립 외교 정책을 유지하며 한국문제에 남다른 관심을 가졌다. 이는 같은 아시아 국가라는 공통점과 식민지 경험을 가졌다는 역사적 경험의 유사성에 기인한다. 인도정부의 지원에 따라 인도대표 아눕 씽은 1분과위원회의 의장으로서 대북 접촉 방안을 다방면으로 모색하고 여러 차례 시도하여 북한 측 대표들과의 만남에 성공했다. 다만 북한의 화답은 위원단의 통일공세에 맞대응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여 더 이상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더구나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유엔신한위의 활동은 목적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결말짓게 되었다. 유엔으로부터 부여 받은 ‘한국의 대의정치 발전 연구’ 임무가 있었기 때문에 유엔신한위는 국내 정치에도 관여했다. 이는 주로 한국의 선거를 감시·확인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유엔신한위는 4·3 사건의 여파로 1948년 선거를 치루지 못한 제주도의 1949년 5·10 선거를 감시·확인하였다. 또한 후반기 유엔신한위는 1950년 5·30 선거의 진행 과정을 확인하였다. 유엔신한위는 두 번의 선거를 감시한 결과 민주적인 절차에 따라 선거가 순조롭게 진행되었다고 보고했다. 다만 유엔신한위의 ‘대의정치’ 관련 임무는 북한에도 적용되어야 하는 문제였으나, 입북이 거절되면서 남한에서만 이루어졌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는 ‘점령군 철수 확인’ 임무도 마찬가지였다. 유엔신한위는 통일 활동의 일환으로 남·북한의 점령군 철수 사실을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었다. 그러나 수차례의 입북 요청에도 소련과 북한은 침묵으로 일관했으며, 결국 위원단은 미군 철수의 사실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엔신한위의 ‘선거 감시’ 활동과 ‘점령군 철수 확인' 활동은 통일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지만, 북한에서는 전개되지 못했다는 한계를 내포함으로써 반 밖에 성취되지 못한 임무라는 꼬리표를 달았다. 더욱이 유엔신한위 활동 중 한국전쟁이 발발하게 되면서 위원단 예하에 설치된 군사감시반의 보고서는 전쟁의 발발 주체를 북한의 남침으로 규정짓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결국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유엔신한위의 모든 활동은 무력해졌다. 그러나 격화되고 있던 한반도 상황에서도 유엔신한위에는 한국문제 해결을 위해 사명감을 가졌던 대표가 있었고 인도대표 아눕 씽을 중심으로 해 주체적인 활동이 전개되었다. 유엔신한위의 활동은 전쟁 전 한국의 평화통일을 모색한 마지막 국제주의적 시도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study examines a process of establishing the UN Commission on Korea(UNCOK) in the 3rd · 4th UN General Assembly, its activities and character. The United Nation(UN) had dispatched the UNCOK to solve in dependence · reunification questions of Korea since 1947. As the UN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UNTCOK) finished the activities after monitoring and verifying 5·10 Elections in 1948, the UN dispatched the UNCOK to solve independence · reunification qustions of Korea again.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he UNTCOK also participated in the UNCOK. However, most participating countries were not committed to commission activities than before. Unlike a delegation of the UNTCOK mainly consisting of high-level personnel, a delegation of the UNCOK consisted of people with various careers and backgrounds, and among them there were some representatives who had lowly careers and experiences to handle foreign affairs. In addition, the representatives repeated departure from Korea and visits to Korea for various reasons. These features of the delegation of the UNCOK threw a sidelight on participating countries’ and a delegations’ low concentration on commission activities, and showed the reasons why the results of commission activities were limited. Accordingly, the UNCOK was driven by some representatives, who actively worked and received enough guidelines from their own countries. An Indian representative Anup Singh, a dominating figure, took the lead in peaceful reunification activities of the UNCOK and actively engaged in the works of the commission. The Indian government maintained a policy of neutrality between the USA and the USSR as a neutral country, and showed a special interest in Korean issues.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both Korea and India are in Asia and had colonial experience. Through Indian government support, the Indian representative Anup Singh found the contact program toward North Korea in many ways as a chairman of the 1st division committee, and succeeded in meeting North Korean representatives after several attempts. Because the response of North Korea was only to respond to the reunification offensive of the commission, it was hard to expect further results. Besides, as the Korean War broke out on June 25, 1950, the activities of the UNCOK finished without the desired results. The UNCOK got involved in domestic politics as it received a mission of ‘a study on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politics in Korea’. It proceeded primarily by monitoring and verifying elections in Korea. The UNCOK monitored and verified 5·10 Election in 1949 of Jeju where elections in 1948 were not held in the aftermath of the Jeju 4·3 Incident. Also, the second half of the UNCOK verified a process of 5·30 Election in 1950. The UNCOK reported that the elections proceeded well according to the democratic process,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2 elections. The mission of the UNCOK related to the ‘representative politics’ had to be applied in North Korea, but there was a limit that it applied only in South Korea because entering North Korea was rejected. A mission to ‘observe the actual withdrawal’ was as well. The UNCOK had a duty to confirm the actual withdrawal in South·North Korea as a part of reunification activities. However, because the USSR and North Korea remained silent despite several requests for entering North Korea, finally the commission confirmed the fact of USA troop withdrawal only. Activities to ‘monitor elections’ and to ‘observe the actual withdrawal’ of the UNCOK were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se laid the groundwork for reunification, but these were labeled as half achieved missions in that these were not developed in North Korea. Moreover, as the Korean War broke out during activities of the UNCOK, a report of military observer teams which was constituted under the command of the commission played a decisive role in defining a main agent of the outbreak of the war as an invasion from North Korea. Eventually, as the Korean War broke out, all activities of the UNCOK became lethargic. However, in an intensified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 were representatives who had a sense of duty to solve the Korean problems in the UNCOK, and autonomous activities were developed around the Indian representative Anup Singh. Activities of the UNCOK were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se were last international attempts to find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before the wa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제34차(1948-49) 유엔총회의 한국문제 논의와 유엔신한위의 성립 6 1. 제3차 유엔총회와 유엔신한위(전반기)의 성립 6 2. 제4차 유엔총회와 유엔신한위(후반기)의 재편 11 Ⅲ. 유엔신한위의 조직과 임무 17 1. 대표단의 구성과 특징 17 2. 사무국의 구성 24 3. 분과위원회의 조직과 임무 30 Ⅳ. 유엔신한위 내 인도대표단의 위상과 평화통일 활동 35 1. 인도대표단의 파견과 성격 35 2. 유엔신한위의 평화통일 활동과 인도대표단의 역할 40 Ⅴ. 유엔신한위의 남북문제 대책과 남북한의 대응 49 1. 유엔신한위의 남한 선거감시 활동과 한국정부의 대응 49 2. 유엔신한위의 점령군 철수군사감시반 활동과 북한의 대응 55 Ⅵ. 결론 62 참고문헌 65 부록 70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03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1948~1950년 유엔신한국위원단의 성립과 활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Korea(UNCOK) in 1948~1950-
dc.creator.othernameKim, Bo Ram-
dc.format.pageiv, 91 p.-
dc.contributor.examiner백옥경-
dc.contributor.examiner김영미-
dc.contributor.examiner정병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