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7 Download: 0

탈북대학생의 읽기·쓰기 어려움 현황과 원인 고찰

Title
탈북대학생의 읽기·쓰기 어려움 현황과 원인 고찰
Other Titles
The current and causes of difficulties in reading and writing of North Korean students in South Korea
Authors
김다애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향
Abstract
The purpose of research aims to clarify the difficulties of North Korean students in their reading and writing skill in their undergraduate studies in South Korea, and to examine its background reason. In this research, the term “North Korean student” refers to an undergraduate student from North Korea settled in South Korea who had achieved the university admission under the frame of special screening process, without taking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By witnessing the existence of difficulties among North Korean students in their reading and writing of Korean language throughout the writing academy conducted by NGO, the researcher had searched on relevant previous studies to cope with this educational conundrum. However, the lack of literatures exists regarding this issue. Thus, the researcher determined the need of understanding and study over the background reason of this difficulty. Through this research, I have tried to survey the current difficulties faced by North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in reading and writing of Korean language, and to determine the underlying causes behind this commonly shared difficult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total five phases, and they were sampled from thirty-two North Korean undergraduate and fou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hase 1 to phase 3 aims to understand difficulties of North Korean students in reading and writing of Korean languag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application materials for writing program, contents of corrections in their writings, daily study diary, surveys, and test results through the examination on reading and writing skill. In phase 4,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by focusing on the considering of causation. In phase 5, previous research studies relevant to the subject were collected. For the reading and writing is the set of complex reasoning, previous studies using single methods, such as survey or in-depth interview, contains various limitation to determine the causes of student’s difficulty in reading and writing. Through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have reached the following result. 80 percent of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ppealed their difficulty in reading and 90 percent appealed their difficulty in writing, and they had the difficulty in the area of recognition and emotion. For the large portion of students’ difficulty resides on their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it indicates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background knowledge that students have learned in North Korea (Contents of literature, style of literature, and the way of reading and writing) and the reading and the reading and writing skill in their undergraduate studies in South Korea. Education regarding reading and writing in North Korea consists large portion of literary work based on political ideologies. Furthermore, the middle school education of North Korea for reading and writing seems to remain in the low-level such as elocution, recitation, and short essay composition rather than teaching to constitute complex essay writing and analytically understand the complex academic text by reading. However, most undergraduate studies in South Korea in terms of reading and writing are non-literature in its basis, but rather contain diverse subjects such as science and humanities. Further, it requires complex reading and writing methodologies such as summarization, construction of logic in support of assertion, and the logical formation of writing structure (introduction, main body, and conclusion). North Korean students have been received North Korea’s literature, which mostly concentrate on to praise the Kim family to support its political regime, as the input source of their education. However, students encounter non-literature based materials in South Korean university where they can hardly utilize their injected knowledge from North Korean education. This research findings are meaningful by providing basic ground for the further studies to develop education plan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North Korean students in their reading and writing skill in Sou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대학생이 한국 내 대학에서 겪는 읽기·쓰기 어려움의 현황을 밝혀내고, 그 원인을 고찰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탈북대학생이란 재외국민 특별전형을 통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보지 않고 대학에 입학한 사람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개념으로 규정한다. 논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비영리기구(NGO)에서 진행한 탈북대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을 통해 이들이 대학에서 겪는 읽기·쓰기 어려움 현상을 접하면서, 이들에게 필요한 교육 방안이 무엇일지 고민하며 관련한 연구를 찾아보았다. 그러나 탈북대학생의 읽기·쓰기 어려움에 대한 깊이 있는 선행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렇다면 현재 단계에서 어려움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현황 파악과 원인 고찰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이와 관련한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총 5단계에 걸쳐 자료를 수집했으며, 이 과정에서 탈북대학생 32명과 탈북청소년 4명이 연구에 참여했다. 제1단계부터 3단계까지는 주로 탈북대학생의 읽기·쓰기 어려움 현황 파악을 목적으로 글쓰기 수업 지원서, 공개 첨삭 내용, 학습일지, 설문조사, 읽기·쓰기 테스트 결과 자료를 모았고, 제4단계 심층면담에서는 원인 고찰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제5단계는 어려움의 원인으로 예상되는 선행 문헌연구 결과를 수집했다. 제1단계부터 4단계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각 단계별로 중복해서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네 단계를 모두 참여한 연구참여자는 8%, 세 단계는 42%, 두 단계는 25%, 한 단계는 25%였다. 읽기와 쓰기는 복합적인 사고 과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에 탈북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혹은 심층면담 한 가지의 방법만으로 다루기에는 한계가 컸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다양한 시간과 장소에서 수집한 자료를 통해 연구를 진행했는데, 이 점은 본 연구와 다른 연구의 중요한 차별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탈북대학생 80%가 읽기에, 90%가 쓰기에 어려움을 호소했고, 이들은 인지적, 정서적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어왔다. 또한 이들이 겪은 어려움은 주로 배경지식 부족 때문이었는데, 이는 북한에서 쌓은 글의 내용, 글의 유형, 읽기·쓰기 방법에 대한 배경지식이 한국 내 대학에서 활용하기 어려웠다는 것을 의미했다. 탈북대학생이 북한의 교육을 통해 쌓을 수 있었던 읽기·쓰기 관련 배경지식은 문학 장르에 기반한 정치사상적 주제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리고 북한 중학교에서 이루어진 읽기·쓰기 수업은 학문적 텍스트를 분석적으로 읽고 글을 구성하는 방법을 가르치기보다는 낭독, 암송, 짧은 글짓기 수준의 교육에 머무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이들이 한국 내 대학에서 수행해야 하는 읽기·쓰기는 대부분 비문학 장르이고, 주제도 인문·사회·과학·예술 등으로 다양하다. 뿐만 아니라 요약하기, 주장에 따른 적절한 근거찾기, 서론·본론·결론 구성하기 등의 복합적인 읽기·쓰기 방법을 요구한다. 탈북대학생이 북한에서 받은 투입(input)은 김일성 일가를 찬양하고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내용과 감정을 자극하는 문학 장르였다. 그러나 이들이 한국 내 대학에서 산출(output)해야 했던 것은 북한에서 받은 투입을 거의 활용할 수 없는 내용과 익숙하지 않은 비문학 장르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탈북대학생의 읽기·쓰기 어려움을 극복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쓰일 것이라고 예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