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명-
dc.contributor.author김예순-
dc.creator김예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6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67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ealth management program model for stroke patients in rehabilitation hospital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needs of stroke patients for health management program and factors affecting such needs and produce a health management program model by integrating the needs investigation results and interview results. The research is a mixed methods design study of data from 300 stroke 12 rehabilitation experts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The data analysis and interview outcomes were combined to produce a final model of this study. This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oke patients’ needs for health management program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stronger needs for health management were found in the cases of males as for gender; age group of 50s; high school graduation as for academic background; spouseless participants; having a premorbid job; having a job presently; subjective economic difficulties; Christians as for religion; experiencing at least 3 times of disease occurrences; minor disability grade; unhealthy subjective health status; good subjective functionality; fair physical changes; difficult cognitive change status; fair emotional change; good behavioral change; receiving aid for daily activities; and being interested in health. Second, factors related to the needs for health management program of stroke patie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 needs for health management program were found to be more affected as the better the subjective functional status; the lower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the more difficult the cognitive change; the higher the interest in health; and the younger the age were. Third,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stroke patients’ needs and rehabilitation experts’ in-depth interviews were combined. As a result, a situation model was produced as a program model for stroke patients’ health care, which was structured in a program planning phase, program implementation phase and program evaluation. First of all, in the planning phase, the subject stroke patients’ needs were examine to design a health management program. In order to understand each individual patient’s needs, survey and counseling were conducted to look into their demographic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disability characteristics, health characteristics and program needs. By doing so, controllable factors were identified to design a health 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 idea of ICF. Uncontrollable factors were age, a demographic sociological factor; hypertension or diabetes, etc., an existing disease; disability-related disease; and other complications. Controllable factors included individual risk factors such as low disability acceptance, low physical activity, poor body weight control, inappropriate dietary habit, and low rehabilitation treatment. Environmental risk factors included low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poor medical accessibility, low social support, and poor health care accessibility. The implementation phase included program main party, operational method, time point of intervention, duration, contents and result check. Regarding the program main party, a team approach was employed to conduct individual counseling or small group meetings. The time point of intervention could be during the preparation for hospital discharge in a medically stable status. Program duration is adjusted between 30 minutes to 1 hour. As for the program contents, body structure and functions, activity and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considered. In the body structure and function, consciousness, cognition, language use, brain and upper limb functions were improved. In the activity and participation, the participants were trained for daily routine implementation, spoken language-based communication, speaking, walking, moving, washing activity, bathroom use, wearing clothes, and eating while reinforcing recreation. In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participants were trained with interventions for family support,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policies. The results of providing such programs were review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level. Lastly, evaluation was conducted by setting up an evaluation system based on program assessment and management while assessing stroke pati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functions and programs. In the management, a program model was produced, which connected program monitoring and local society. Such research findings as above reveal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health management program for stroke patients, informing what kind of attribut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offering such a program for stroke patients in the future.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health management program for stroke patients, an important factor is to find out controllable factors among stroke patients’ background factors and apply the idea of ICF effectively for their reinforcement. In other words, for effective health improvement of stroke patients through such a health management program, it is deemed significant to understand controllable factors and apply the ideal of ICF. A program based on these aspects is expect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future.;본 연구는 재활의료기관의 뇌졸중 환자를 위한 건강관리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뇌졸중 환자의 건강관리프로그램 요구도 및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요구도 결과와 재활전문가 면접조사 결과를 통합하여 건강관리프로그램 모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혼합 연구 설계로, 2015년 1월에서 3월까지 뇌졸중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를 2015년 3월에 재활전문가 12명을 대상의 심층면접조사와 결합하여 최종 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른 건강관리프로그램 요구도를 파악한 결과, 성별은 남자, 연령은 50대, 학력은 고졸, 배우자 없음, 발병전 직업 있음, 현재 직업 있음, 주관적 경제수준 어려움, 종교는 기독교, 발병횟수 3회 이상, 장애등급 경증, 주관적 건강이 좋지 않음, 주관적 기능상태 좋은 편, 신체적 변화 보통, 인지적 변화 어려운 편, 감정적 변화에서는 보통, 행동적 변화 좋은 편, 일상생활활동도움 받음, 건강관심정도가 있는 경우에서 더 높은 건강관리 요구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뇌졸중 환자의 건강관리프로그램 요구도와 관련한 요인을 파악한 결과, 주관적 기능상태가 좋을수록, 주관적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인지적 변화의 어려움이 정도가 심할수록,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연령은 낮을수록 건강관리프로그램 요구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뇌졸중 환자의 요구도와 재활전문가 심층면접조사를 결합한 결과, 뇌졸중 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모형으로 프로그램 기획, 프로그램 수행, 프로그램 평가의 단계를 거치는 상황모형이 도출되었다. 먼저, 기획단계에서는 대상자인 뇌졸중 환자의 요구도 진단을 통해, 건강관리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단계이다. 대상자의 개별 욕구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 및 상담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장애특성, 건강특성, 프로그램 요구도를 파악하여 통제 가능한 요인을 확인하여 건강관리프로그램을 ICF 개념에 근거하여 설계한다. 통제 불가능한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나이, 고혈압과 당뇨 같은 기존 보유 질환, 장애관련 질환, 기타 합병증이 있으며, 통제 가능한 위험요인으로 개인적 위험요인인 낮은 장애수용, 적은 신체활동, 체중관리 소홀,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 낮은 재활치료이며, 환경적 위험 요인으로는 낮은 재활의료서비스, 낮은 의료접근성, 낮은 사회적지지, 낮은 건강관리접근성이 도출되었다. 수행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주체, 운영방식, 개입시기, 제공시간, 내용, 결과 확인이 포함되어 있고, 프로그램의 주체는 팀접근 방식으로 개인상담이나 소집단 모임의 형태로 진행하고, 프로그램 개입시기는 의학적으로는 안정된 상태로 퇴원을 준비하는 시기에 이루질 수 있다. 제공시간은 30분~1시간미만으로 조절한다. 프로그램 내용으로 신체구조와 기능, 활동과 참여,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도록 하며, 신체구조와 기능으로 의식, 인식, 언어사용, 뇌와 상지 기능을 개선 향상시키고, 활동과 참여에서는 일상생활 이행, 음성언어 의사소통, 말하기, 보행, 이동, 세척활동, 화장실 사용, 옷입기, 먹기의 훈련과 레크리에이션을 강화하고, 환경적 요인으로는 가족지지, 보건정보, 보건서비스 정책에 관련하여 훈련 할 수 있는 중재를 시행한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를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의 결과로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평가와 관리로 평가수립을 통해 평가를 진행하되, 뇌졸중 환자의 기능과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만족으로 평가를 실시한다. 관리로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모니터링과 지역사회 연계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들은 뇌졸중 환자의 건강관리프로그램 모형 도출과정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뇌졸중 환자의 건강관리프로그램 제공에 있어 어떠한 속성 요소를 고려해야 할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뇌졸중 환자 대상의 건강관리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과정 중 중요한 요소는 뇌졸중 환자의 배경적 요인 중 통제 가능한 요인을 발견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해 ICF 개념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즉, 뇌졸중 환자의 건강관리프로그램을 통한 효과적인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통제가능 요인에 대한 확인과 ICF 개념을 적용한 프로그램 제공일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이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적용될 것을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1 B.연구의 목적 4 C.연구문제 4 D.용어의 정의 5 E.연구의 제한점 7 F.연구 윤리의 준수 8 Ⅱ.이론적 배경 9 A.장애인 건강증진모형 9 B.뇌졸중 환자의 건강관리 10 C.뇌졸중 환자의 발생과 비용 16 Ⅲ.연구방법 18 A.연구의 설계 18 B.연구대상 20 C.연구도구 및 내용 23 D.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26 E.자료 분석방법 33 Ⅳ.연구 결과 34 A.뇌졸중 환자 특성에 따른 건강관리프로그램 요구도 34 B.뇌졸중 환자의 건강관리프로그램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9 C.뇌졸중 환자의 건강관리프로그램 모형 도출 과정과 모형 50 Ⅴ.고찰 74 Ⅵ.결론 및 제언 82 참고문헌 85 부록 96 Abstract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04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재활의료기관의 뇌졸중 환자 건강관리 프로그램 모형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Health Management Program Model for Stroke patients in Rehabilitation Hospital-
dc.creator.othernameKim, Ye Soon-
dc.format.pagevii, 113 p.-
dc.contributor.examiner김광기-
dc.contributor.examiner김명-
dc.contributor.examiner남정모-
dc.contributor.examiner신의철-
dc.contributor.examiner김혜경-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관리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