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6 Download: 0

중년 남녀의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우울의 관련성

Title
중년 남녀의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우울의 관련성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y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men and women
Authors
전서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경옥
Abstract
본 연구는 중년 남녀의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우울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자료의 수집은 지역분포를 고려하여 임의로 선정한 서울시에 소재한 구청 4개소에서 조사기간 동안 40세 이상 60세 미만의 중년 남녀 32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 우울 총 4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21.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사후검정(scheffe), 단순상관분석, 단계별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 analysis)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평균3.58±0.60점이었으며, 대상자의 교육수준, 소득수준, 직업군, 주관적 건강상태(신체적)에 따른 사회적 지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중년 남녀는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았으며, 특히 여성은 자신의 신체적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사회적 지지도 높게 지각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는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 중심 대처(27.05±4.04점),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23.85±4.28점), 회피 중심 추구 대처(20.32±3.81점) 순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성향이 높았다. 성별로 문제 중심 대처 성향을 살펴보면, 중년 남성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제 중심 대처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여성은 최종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문제 중심 대처 성향이 높았으며, 직업이 없는 경우 문제 중심 대처를 적게 이용하였다. 성별로 회피 중심 대처 성향을 살펴보면, 남성은 최종학력이 낮을수록 회피 중심 대처를 유의미하게 많이 이용하였고, 여성은 자신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회피 중심 대처 성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중년의 우울 점수는 16.36±12.01점으로, 최종학력이 낮을수록, 자신의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우울이 높아졌다. 중년 남성의 경우 소득수준이 낮아질수록 우울도 높아졌으며, 배우자가 없는 경우의 우울이 높았다. 중년 여성은 직업에 따른 우울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무직인 경우 우울이 가장 높았고, 직업군 중에서는 생산·판매·서비스직의 우울이 높았다 주요 변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와 우울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r=-.268), 문제 중심 대처와 우울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277), 회피 중심 대처는 우울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356). 회귀분석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직업이 없거나 생산·판매·서비스직 일수록,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인지할수록, 사회적 지지를 낮게 지각할수록, 문제 중심 대처를 적게 이용할수록, 회피 중심 대처를 많이 이용할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우울에 대한 설명력은 45.3%였다. 본 연구에서 중년 남성의 우울에 대하여 사회적 지지는 다른 변수에 비해 유의미한 변수가 아니었으며, 중년 여성의 사회적 지지는 문제 중심 대처보다 우울에 대한 설명력이 높게 나타나, 중년 여성은 남성보다 사회적 지지가 우울과 더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의 결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년의 우울과 관련 있는 영향요인에 성별 차이가 있고, 문제 상황에 대응하고 심리적으로 적응하는 방식에 남녀 간의 인식 차이가 존재하며, 우울을 관리하는데 개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중재가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중년의 대처방식을 긍정적이고 문제 중심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사회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며, 남성과 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포함시켜 비교하고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y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men an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hich consisted of 329 middle aged men and women between 40 and 59 years old living in seoul, were asked to fill the certain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research tool is compri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bjective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stress coping strategy and depression. The stastical analysis were done by frequent, percentage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PASW Statistics 21.0 progra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social support was 3.58±0.06 which had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ubject's level of education, level of income, occupations and subjective physical health. Level of final education positively correlates with social support. Incase of a female, subjective physical health statu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2. The study revealed the score of problem solving(27.05±4.04), social support seeking(23.85±4.28) and avoidance(23.32±3.81). When viewed in the perspective of each sex, middle aged male tend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problem solv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 However, middled aged femal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sage of problem solving and higher level of final education/wealth. Problem solving was evaded my middle aged female when they were unoccupied. Avoidance also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he each gender. Male tend to use avoidance significantly more when their level of final education was low. Female tend to use avoidance more when they consider their physical or mental health negatively. 3. Depression rate of a middle aged men/women were 16.36±12.01. More depression was expressed when the subjects considered themselves poorly educated or unhealthy. Incase of a middle aged male, depression rose when their level of income went lower, and when they didn't have a spouse. Middle aged female tend to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degree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ir occupation. Subjects who showed highest level of depression were unemployed. Production, sales, service occupation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depression among the occupational fields. 4.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tress coping strategy, and depression were looked into, negative correlation were showed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r=-.268). Problem solving and depression also showed negative correlation(r=-.277). avoidance and depress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r=-.356). 5. Regression analysis explained 45.3% of the subject's depress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stress coping strategy. In order of social support, problem solving and avoidance showed more explanatory power. In middle aged male's depression, social support was not a significantly important variable compared to other variables. Middle aged female's social support had more explanatory power about the depression than the problem solving. Results above shows that factors that effect middle aged depress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rbitration of coping strategy is effective when it comes to manage depression. There should be a social support which aims to change the coping strategy of a middle aged men/women more positively. More studies that compare and analyzes the factors that effect male/female mental health in a various perspectives should be condu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