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일-
dc.contributor.author이승현-
dc.creator이승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4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477-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기업들 간의 성과 차이가 존재하는 것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 위해, 기업성과 결정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는 기업연구의 중요한 주제로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동일한 산업 내 기업들 간의 성과차이에 대해서는 명쾌한 설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바, 본 연구는 기업이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이윤창출에 성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혁신'에 주목하고자 하며, 혁신에 따른 기업성과의 차이를 결정하는 분석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산업환경에 대한 기업의 전략적 대응과 내부역량인 혁신역량의 동태적 활용이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렇게 형성된 혁신이 기업성과의 차이를 가져온다는 연구의 틀을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혁신에 대해 산업환경과 혁신역량의 2가지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적인 시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기업의 전략적 대응 및 선택의 결과로서 혁신을 바라보았다. 또 혁신이 성과로 귀결되는 과정에 전략경영에서 연구되어 온 적합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산업환경과 혁신역량에 대응하는 혁신의 적합한 상황이 무엇인지 재정의 하였고, 적합한 혁신의 결과와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는 통시적 관점을 적용하여 2010년과 2015년으로 대변되는 과거와 현재의 국내 기업들의 산업환경과 혁신역량, 혁신, 기업성과에 대한 인과관계와 변화양상을 충분히 파악하여, 향후 국내 기업들의 산업환경 및 혁신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 본 연구는 동태적 역량 관점과 상황이론, 자원기반이론을 연구의 이론적 근거로 하여 이들 이론들 간의 상호 보완적 결합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문제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R&D집중도가 높은 10개 산업의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총 104개 문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총 214부를 분석에 이용하여 SPSS 18.0을 통해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심층전화인터뷰를 보완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보다 2015년에 산업환경의 불확실성과 경쟁강도가 높아졌고, 이와 함께 기업의 혁신 수준도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집단별 비교결과, 산업환경의 불확실성과 경쟁강도를 높게 인지한 집단이 낮게 인지한 집단보다 모든 혁신의 수준이 월등하게 높았고 산업환경과 혁신 간에는 정(+)의 인과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산업환경의 불확실성보다는 경쟁강도가 전반적으로 혁신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불확실성은 제품혁신과 마케팅혁신에, 경쟁강도는 공정혁신과 조직혁신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둘째, 2010년보다 2015년에 기술혁신역량과 기술사업화역량이 모두 높아져 기업의 혁신역량이 높아졌고, 이와 함께 기업의 혁신 수준도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집단별 비교결과, 혁신역량이 높은 집단이 혁신역량이 낮은 집단보다 모든 혁신의 수준이 월등하게 높았다. 또 혁신역량과 혁신 간에는 정(+)의 인과관계가 있었고 기술혁신역량은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에, 기술사업화역량은 조직혁신과 마케팅혁신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셋째, 혁신이 적합성을 충족한다는 것은 산업환경의 불확실성과 경쟁강도가 높을 때, 혁신의 수준도 높거나 기업의 혁신역량이 높을 때, 혁신의 수준도 높은 경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혁신의 수준이 동일할 때 산업환경과 혁신의 적합성, 혁신역량과 혁신의 적합성을 충족한 기업이 충족하지 못한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얻었다. 즉, 혁신의 수준과 상관없이 산업환경과의 적합성, 혁신역량과의 적합성을 충족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산업환경과 혁신의 적합성이 혁신역량과 혁신의 적합성보다 상대적으로 기업성과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들은 2010년과 2015년의 각 시점에 대한 기업의 산업환경과 혁신역량의 차이를 분명히 인지하고 있었고, 그 차이는 뚜렷했다. 또 시간이 흐르면서 다수의 기업들이 산업환경과 혁신역량이 높고 혁신의 수준도 높은 적합한 상황으로 이동하여 기업성과를 높이고자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0년에서 2015년으로 시점이 변화되어도 2가지 적합성을 각각 달성한 기업과 달성하지 못한 기업의 비율이 약 70%와 30%로 여전히 적합성을 달성하지 못한 기업이 30%나 존재했다. 다섯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상관없이 기업 산업환경의 불확실성과 경쟁강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고, 기업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혁신역량과 혁신 수준을 높이고 있었다. 또 기업들은 산업환경의 불확실성과 경쟁상황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학습하고, 대응하기 위한 노력과 투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들이 혁신역량을 강화시키고 혁신 수준을 높여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여러 원인으로 기업 내 혁신의 활용에 한계가 존재했다. 먼저 비용의 문제 등으로 혁신 활용에 최고층 의사결정자의 태도나 신념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대기업의 경우 조직 내 관성 등에 의해 획기적인 혁신은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또 시장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혁신의 수준이 존재하여 이에 따라 수용되는 혁신 수준에 한계가 존재하며, 중소기업의 경우 혁신기술이 있어도 비용의 문제나 인적역량의 부족 등이 혁신활용의 제약요소로 나타났다. 일곱째, 2010년보다 2015년에 모든 혁신의 수준이 높아지고, 혁신역량도 높아졌다. 이에 따라 원가, 품질, 제품, 시장, 소비자와 관련된 혁신의 긍정적인 효과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혁신을 통해 얻은 신지식의 가치도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혁신수행에 있어서 협력관계가 강화되었고, 혁신의 보호 노력도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시점과 상관없이 하이테크 산업군은 미디움-하이테크 산업군에 비해 혁신수준이 월등하게 높았고, 높은 혁신역량을 보유하며 산업환경에 대해서도 불확실성과 경쟁강도를 높게 인지하고 있다. 즉, R&D 집약도에 따라 산업별로 산업환경, 혁신역량, 혁신의 수준은 큰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내부 및 외부 요인에 대한 각각의 영향관계와 상대적 중요성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고, 혁신을 결정하는 복잡한 과정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을 제시하였다. 또 기업환경과 기업내부역량에 대응하는 혁신에 적합한 상황이 무엇인지 혁신에 대한 적합성의 개념을 재정의 하였고, 향후 혁신에 대한 다양한 적합성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통시적 관점을 적용하여 기존의 정적인 연구에서 파악할 수 없었던 혁신과 관련된 인과관계와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향후 국내 기업들의 산업환경, 혁신역량 및 혁신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산업환경의 불확실성과 경쟁강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한 혁신역량과 혁신의 수준도 높아지고 있음을 밝혀 국내 기업의 의사결정자들이 기업환경 분석과 내부 역량 제고의 노력을 강화해야함을 보였다. 또 2015년에도 여전히 적합성을 달성하지 못한 집단이 30%로 나타나 높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기업의 혁신전략을 계획하고 수행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과 달리 혁신에 대한 투자가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혁신의 활용에도 비용이나 인적역량의 부족 문제가 제약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 하이테크 산업에 속하는 기업의 다수가 중소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cbiz) 인증제도에 따른 지원이 제공되고 있지만, 더 현실적인 인증제도 수립과 관리 및 지원의 실효성 제고에 대한 개선이 계속적으로 요구될 것으로 본다. 즉, 글로벌 시장을 상대로 혁신적인 제품 및 기술로 경쟁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에 대하여 정책적 지원과 지지를 강화해야 함을 제안한다.;The study that defines the important element of business performance has been researched as crucial topic to provide solution in different business performance. However, until now, the differences in business performance within the same field were not explicitly suggested. This study focuses on ‘Innovation’ as a method for company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and to create profi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nalytic framework that determines the differences of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innovation. So this study analyzes company’s strategic response in fast-changing industrial environment and effect of dynamic utilization of innovative capability (internal capability) on innova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d analyze the framework of research that supports the differences in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presents integrated approach considering both industrial environment and innovation capability of company’s innovation and examines innovation as strategic response or the result of selection. Also this study redefines fit in a response of industrial environment and innovative capability by adopting the concept of fit in strategic management. This study fully examines changing patterns according to business performance between 2010 and 2015 with diachronic view. So it enables the prediction of future domestic company’s industrial environment and innovation. And this study is based on Dynamic Capability view, Contingency Theory and Resource Based Theory and confirms the complementary combined effects. This study sets research problem and research model by literature survey. The study conducted 104 questions survey to ten domestic companies with high concentration on R&D. After analyzing 214 survey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18.0 and in-depth phone interview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ly, competition intensity and uncertainty of industrial environment is even fiercer in 2015 compared to 2010.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novation level of companies improved. Companies that recognized the high level of uncertainty and competition intensity outperformed their counterparts in all kinds of innovation and there was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environment and innovation. Competition intensity has bigger impact on innovation than uncertainty of industrial environment whereas uncertainty has bigger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and competition intensity has bigger impact on process innovation and organization innovation. Secondly, due to high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in 2015 compared to 2010, innovation capability as well as the level of innovation was improved. Group with high innovation capability outperformed all types of level of innovation compared to group with low innovation capability. Also, there was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city and innovation.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has bigger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wherea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has bigger impact on organization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Thirdly, innovation satisfies the fit when the uncertainty and competition intensity of industrial environment are high and when the level of innovation, innovation capability are high. In the case when the level of innovation is equal, companies that satisfy fit for industrial environment-innovation and fit for innovation capability-innovation had higher performance than the counterpart. If fit for industrial environment-innovation and fit for innovative capability-innovation are met without the level of innovation, relatively high performance can be achieved. Also, fit for industrial environment-innovation has bigger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than fit for innovation capability-innovation. Fourthly, companies recognized the stark difference of industrial environment and innovation capacity between 2010 and 2015 respectively. Over the course of time, various companies make effort to satisfy fit in order to enhance the business performance. However, even in the year of 2015, only 70% of the companies achieved two types of fit where as 30% of the companies failed to achieve the fit. Fifthly, uncertainty and competition intensity of industrial environment are intensifying to both large companies and SME. Thus, companies are improving innovation capacity and the level of innovation. Also, companies are continuously learning uncertainty and competition of industrial environment and trying more effort and investment. It is confirmed that this kind of effort strengthens innovation capacity and elevates the level of innovation and eventually affects business performances. Sixthly, utilizing innovation is limited in business environment due to various reasons. Cost issue, CEO’s decision-making and beliefs are a crucial variable when it comes to utilizing innovation. In the case of large companies, inertia of the organization is the obstacle of innovation. Since market partially adopts the innovation, there is a limitation to embrace innovation. In the case of SMEs, despite innovative technology, cost issue and lack of human resource capability are the limitation of utilizing innovation. Seventhly, the level of innovation and innovation capacity improved in 2015 than 2010. In turn, innovation related to prime cost, quality, product, market and consumer had positive effect and the value of new knowledge through innovation was enhanced. Also, cooperative relationship was improved in terms of implementing innovation and effort to protect the innovation was strengthened. Eighthly, regardless of timing, the level of innovation was much higher in High Tech industry than Medium-High Tech industry with high innovation capacity. Also High Tech industry has better understanding of uncertainty and competition intensity in industrial environment. Based on the intensity of R&D concentration, industrial environment, innovation capability and the level of innovation was markedly different. This study has following significance. Firstly, this study suggests the framework to examine relations and relative importance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company that affect innovation. This study presents reasonable explanation regarding complicated process that determines innovation. Also,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fit in the environment where innovation responds to business environment and business internal capability. This study lays foundation for future fit researches regarding innovation. Moreover, with the diachronic view, causal relationship and changing pattern were examined in a different way from static research and enabled us to predict industrial environment, innovation capacity and innovation. Secondly, uncertainty and competition intensity of industrial environment are heightened and subsequently the level of innovation capability and innovation is enhanced. Thus, decision makers in domestic companies need to strengthen analysis on business environment and enhancing internal capacity. And still 30% of the companies did not achieved fit in 2015. To meet high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changing and implementing innovative strategy in a way that satisfies fit. Lastly, investment on innovation is a huge burden to SMEs unlike large companies. Also cost and lack of human resource capability became an obstacle when it comes to utilizing innovation. In addition, majority companies in High Tech Industry are SMEs. Although support is provided for innovative SME by Innobiz, more realistic certificate system and effectiveness are required. In other words, this study suggests policy support for SMEs that are competing against global market with innovative product and technolog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과 기본시각 3 C. 논문의 구성 4 Ⅱ. 이론적 배경 5 A. 기업성과를 결정하는 선행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5 1. 산업조직론(Industrial Organization Theory) 5 2. 기업진화론(Evolutionary Theory of Firm) 7 3. 자원기반이론(Resource-Based Theory)과 동태적 역량(Dynamic Capability) 10 B. 혁신에 대한 고찰 16 1. 혁신의 개념과 특성 16 2. 혁신유형 분류 17 3. 혁신과 기업성과의 관계 23 가. 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direct effect) 23 나. 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indirect effect) 24 C. 적합성에 대한 고찰 26 1. 기업연구에서 적합성 개념 26 2. 적합성과 기업성과의 관계 29 가. 구조적 적합성과 기업성과의 관계 29 나. 전략적 적합성과 기업성과의 관계 30 다. 동태적합성과 기업성과의 관계 31 D. 기업환경에 대한 고찰 34 1. 기업환경 정의 34 2. 기업환경 분류 35 3. 산업환경의 불확실성 36 가. 복잡성(complexity) 37 나. 동태성(dynamism) 38 4. 산업환경의 경쟁강도 38 E. 혁신역량에 대한 고찰 41 1. 혁신역량의 정의 41 2. 혁신역량의 분류 42 F. 기업성과에 대한 고찰 45 1. 기업성과의 정의 45 2. 기업성과의 범위 45 Ⅲ. 연구가설 설정 및 연구모형 47 A. 연구가설 설정 47 1. 산업환경과 혁신의 관계 47 2. 혁신역량과 혁신의 관계 49 3. 산업환경과 혁신, 혁신역량과 혁신의 적합성과 기업성과의 관계 52 B. 연구모형 57 Ⅳ. 연구조사방법 59 A.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59 1. 산업환경 60 2. 혁신역량 63 3. 적합성 66 4. 혁신유형 67 5. 기업성과 69 B. 표본의 선정 및 자료 분석 방법 72 Ⅴ. 연구결과 74 A. 기초분석 74 1. 자료의 구성 74 2. 요인분석 77 3. 신뢰도 분석 87 4. 상관관계 분석 88 B. 연구가설의 검증 92 1. 가설 1의 검증 92 2. 가설 2의 검증 96 3. 가설 3의 검증 100 C. 추가분석의 결과 104 1. 집단별 기업 수의 변화와 적합성의 변화 104 2. 심층전화인터뷰 분석 109 3. 기업 혁신의 세부내용 113 4. 하이테크 산업군과 미디움-하이테크 산업군의 비교 분석 120 Ⅵ. 결론 및 제언 123 A. 연구결과의 요약 123 B. 연구의 의의 126 1. 학문적 의의 126 2. 실무적 의의 126 C.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128 참고문헌 129 설문지 147 ABSTRACT 1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713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산업환경, 혁신역량과 혁신의 관계 및 그 적합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R&D 집중도가 높은 산업의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Effects of Industrial Environment, Innovation Capability and their Fit on Business Performance : Based on domestic companies with high concentration on R&D-
dc.creator.othernameLee, Seung Hyun-
dc.format.pagexi, 158 p.-
dc.contributor.examiner김명준-
dc.contributor.examiner류한영-
dc.contributor.examiner최선-
dc.contributor.examiner현병환-
dc.contributor.examiner박영일-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