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현정-
dc.contributor.author신혜영-
dc.creator신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6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60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인터랙티브 아트를 정규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한 수업프로그램(CIMA(Concept Building-Investigation–Making-Appreciation))으로 개발하여,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직접 인터랙티브 아트를 제작하는 과정을 통하여 인터랙티비티에 대한 개념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인터랙티브 아트 제작수업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1) 기존 인터랙티브 아트 관련 연구논문들은 인터랙티브 아트 제작수업의 필요성 및 인터랙티브 아트 감상수업에 관한 내용으로 한정되었었음 2) 학생들의 인터랙티브 아트 제작에 대한 수요 조사를 목적으로 고등학교 1~2 학년생 20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설문 조사 결과 인터랙티브 아트 제작수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음 3) 2009개정 교육과정을 부분 수정한 ‘2011-361호’ 내용에 따라 개발된 2011년 고등학교 미술교육과정 내용에 인터랙티브 아트가 소개되었음 인터랙티브 아트는 기존에 관람자들이 작품을 감상하던 소극적인 형태에서 작품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형태로 변화된 새로운 예술 장르로서, 관람자의 자연스러운 참여에 따라 작품 결과가 달라진다는 특징이 있다. 관람자는 매개체를 통하여 작품에 관여하고 행동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런 행위가 나타나도록 단서를 제공하는 것이 인터페이스이며, 관람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작품과 소통을 하게 된다. 본 연구자가 신체, 사운드, 도구로 구분한 인터페이스의 유형은 참여자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형태, 색, 이미지, 움직임 등)이 인터랙션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인터페이스의 유형에 따라 관람자의 인지심리가 반영되어 제작자가 의도하지 못하거나 예측할 수 없었던 다양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인터페이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티브 아트를 매체 유형에 따라 인터랙티브 인스톨레이션, 웹아트, 모바일아트 3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인터페이스의 인지적 의미에서 인터페이스를 지각, 주의, 행동, 표상, 기억의 관점에서 의미를 살펴보았고, 인터페이스를 인간 행동방식에 따라 3가지 신체, 사운드. 도구로 분류하였다. 인터페이스의 인지적 의미를 통해 사전 지식이 시각 탐색을 촉진하고, 직접적인 지각은 어포던스(affordance)를 지닌 정보에 의해 반응하여 행위가 일어나게 하는 것과 같이 인지적 의미를 반영한 인터페이스를 인터랙티브 아트에 구현하여 관람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관람자의 역할은 중요하기 때문에 제작자는 관람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행위들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또한 관람자의 인터랙티브 아트 경험이 인지심리를 반영한 단계에 의해 나타났고, 이를 통해 인터랙티브 아트 모형을 만들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 기반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인터랙티브 아트 제작을 위한 CIMA(Concept Building-Investigation-Making -Appreciation)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이해 (Concept-Build ing), 탐구(Investigation), 제작(Making), 감상(Appreciation) 단계로 구성되나, 반드시 모든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필요는 없으며, CIMA 수업프로그램 이용자(교사)가 대상(학생) 및 학습목표에 따라 이해(C), 탐구(I) 혹은 제작(M) 단계로 종료되는 수업을 선택 진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제작(M)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이용자가 선택적으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교구(toolkit)을 이용하여 작품 제작을 할 수도 있다. 개발된 CIMA 수업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1) 총 22차시 방과후 수업시간동안 CIMA 수업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고등학생들에게 인터랙티브 아트 수업을 실시한 후, 해당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 대상으로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2)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CIMA 수업프로그램 내용타당도 및 개발된 교구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3)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참관 후 설문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경우, 인터랙티비티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제고되었고, 인터랙티브 아트 제작 활동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음을 확인하였다. 전문가들 평가 결과, 수업프로그램 내용타당도 측면에서 CIMA 수업프로그램 내용이 전반적으로 적절하고, 개발된 교구는 인터랙티브 아트 제작을 용이하게 해주고 현장수업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미술교사들의 평가 결과, 학생들에게 생소한 인터랙티브 개념을 교구를 활용하여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수업이며,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결과로만 보여주기 보다는 참여를 통해 완성하는 과정이 우수하였다는 의견이 있었다. 본 연구자는 CIMA 수업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사는 학교에서 인터랙티브 아트 수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고, 보다 많은 학생들이 다양한 매체로 인터랙티브 아트를 직접 제작해 봄으로써 새로운 예술 장르를 쉽게 이해하고 창조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1) develop the instructional teaching program, refered herein CIMA(Concept-Investigation-Making-Appreciation) Model), aiming for high school teachers to give a lecture on interactive art in their regular school art curriculum and 2)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n the concepts of interactivity by letting students produce their own pieces of interactive art based on the instructional teaching program developed. The necessities of the study on instructional program designed for producing students' own pieces of interactive art are identified by followings. 1) There were many studies articulating the necessity of creative literature class and appreciation class for interactive art, yet, there is a lack of programs oriented for students to produce pieces of interactive art by themselves. 2) Based on a survey conducted among first and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with 203 samples aiming for identifying students' demands for interactive art producing, their needs were identified. 3) The necessity of an instructional program for interactive art producing has emerg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2011 high school arts curriculum, described in the '2011-361 issues', which modified the 2009 curriculum, introducing interactive art. Interactive art is a form of arts that involves participation of spectators rather than just observation. The features of interactive art make spectators design work through the process of natural participation and the results change depending on the different forms of participation. Spectators get involved in the work through the medium and this triggers certain behaviors. In this process, interface provides conditions that guide such behaviors. Therefore, spectators communicate with art works through interface. The types of interface, which ar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 [body, sound and tool] in this study, in interactive art are important factors(shape, color, image, move and etc) that can influence the behaviors of participants. Based on the type of interface, the cognitive psychology of spectators operates differently, and reflecting this, the producer can achieve various unpredictable results regarding the intended means and results. Thus, the role of interface is very important in interactive art. In this study, interactive art are classified as interactive installation, web art and mobile art based on media types. Also, the cognitive meaning of interface was examin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such as perception, attention, behavior, representation and memory. The behavior patterns of interfac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body, sound and tool. Interactive art, reflecting the cognitive meaning of interface, can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of spectators, similar to how preliminary knowledge fosters visual search and direct perception reacts to the information with affordance to induce certain behaviors through the cognitive meaning of interface. As the roles of spectators are important, the producer must pay attention to the various actions that can be observed among spectators. Also, the spectator's experience of interactive art appears at the stage reflecting cognitive psychology and, based on this, an interactive art model can be designed. It is possible to produce interactive art applying this to the toolkit. This thesis suggests an instructional teaching program model of CIMA(Concept-Investigation-Making-Appreciation). Design thinking based process is applied to this program in the entire teaching class. Regarding the CIMA stages, starting with the introduction of interactive art, in the order of concept, understanding of components, making and assessment, the media is investigated and the art work can be produced using the toolkit. Based on the CIMA program, after selecting the subject, the classes can be delivered selectively by teachers, such as choosing the understanding stage or making stage depending on the learning objectives. In the making(M) stage of the CIMA model, students can use the toolkit to make art work. In this study, 22 classes were conducted among 5 students as an after-school class, and th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the learning activity were compared. Regarding the contents about the toolkit developed, as a result of expert analysis, 66.7% agreed that 'the interaction method using the kit was appropriate,' and the score for item, 'the kit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interactivity,' was 4.67 out of 5, which is a relatively high score compared to that of other items. In case of item, 'the kit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interactivity,' 66.7% strongly agreed to the statement. For assessment of the class and instructor, two art teachers observed and filled out assessment sheets. As a result, they gave a positive assessment on the instruction design and learning ac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urse wa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unfamiliar concepts of interactivity as it utilized the toolkit, which made it easier to approach the concepts. Also there were opinions that the process of making is outstanding as it involves participation rather than just presenting the ideas as results. I hope this CIMA(Concept-Investigation-Making-Appreciation) program can help teach interactive art classes easier than before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and enhance the creativity of students as it encourages creative thinking and challenges by improving their basic abilities to understand new art gen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연구내용 4 D. 연구절차 5 Ⅱ. 이론적 배경 6 A. 인터랙티브 아트 6 1. 인터랙티브 아트 개념 6 2. 인터랙티브 아트 유형 8 B. 인지심리와 인터페이스 16 1. 인지심리 개념 16 2. 인지심리 관점 17 3. 인터페이스 유형 18 4. 인터페이스의 인지심리 24 C.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인터페이스의 인지적 의미 35 1.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인터페이스 역할 35 2.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인지적 의미 36 D. 인터랙티브 아트 관련 현행 교과분석 및 선행연구 37 1. 교육과정 및 미술교과서 분석 37 2. 인터랙티브 아트 교육 관련 선행연구 42 Ⅲ. 연구방법 46 A. 연구대상 46 B. 측정도구 47 1. 인터랙티브 아트 제작에 대한 수요자 실태분석 47 2. 사전사후 설문지를 통한 인터랙티비티 개념정립도 측정 49 3. 교구의 내용타당도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 50 4. CIMA 교수-학습지도안의 내용타당도에 대한 설문조사 51 5. 수업프로그램 참여 학생 대상 수업만족도 설문조사 53 C. 연구설계 53 D. 연구실행 56 Ⅳ. 인터랙티브 아트 수업프로그램 개발 57 A. 인터랙티브 아트 모형 57 1. 관람자 57 2. 제작자: 아티스트 58 3.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과 인터페이스 60 B. 디자인프로세스와 수업프로그램 62 1. 디자인프로세스를 적용한 수업프로그램 선행연구 62 2. 디자인프로세스 개념 및 단계 64 3. 인터랙티브 아트 수업프로그램 목적 73 4. 인터랙티브 아트 수업프로그램 설계 74 5. 인터랙티브 아트 수업프로그램 내용 78 C. 인터랙티브 아트 수업 실제 81 1. 교수․학습지도안 내용 81 2. 교수․학습지도안 교육과정 적용 82 D. 인터랙티브 아트 교구(Tool Kit) 개발 165 1. 교구에 관한 선행연구 및 사례 165 2. 교구 개발 대상 166 3. 교구 개발 이론 167 4. 교구 개발 방향 및 과정 168 5. 교구 적용 I 173 6. 교구 검증 : 전문가 평가 188 7. 교구 적용 II 192 Ⅴ. 평가 210 A. 인터랙티브 아트 수업프로그램 평가 210 1. 전문가 평가 210 B. 인터랙티브 아트 수업 평가 214 1. 학생 평가 214 2. 교사 평가 220 VI. 결론 및 제언 222 A. 결론 222 B. 연구의 한계점 226 C. 제언 226 참고문헌 228 부록 1. 실태조사 설문지 238 부록 2. 학생용 사전․사후 설문지 240 부록 3. 전문가 내용타당도 평가지 241 부록 4. 교수-학습지도안 내용타당도 평가지 243 부록 5. 지도교사(학습지도)평가지 :참관록 245 부록 6. 학생 만족도 평가지 246 부록 7. 학생 소감문 I 247 부록 8. 학생 소감문 II 248 ABSTRACT 2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6261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인터랙티브 아트 제작을 위한 수업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인터랙티비티 개념 이해를 위한 교구(Tool-Kit) 개발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structional Teaching Program for Interactive Art : Focusing on Students'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Interactivity with using Tool-Kit-
dc.creator.othernameShin, Hye Young-
dc.format.pagexii, 252 p.-
dc.contributor.examiner최유미-
dc.contributor.examiner최종훈-
dc.contributor.examiner안혜리-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contributor.examiner유현정-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