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9 Download: 0

자기성찰 학습일지 작성 및 피드백 유형이 자유학기제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어휘, 문법 및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성찰 학습일지 작성 및 피드백 유형이 자유학기제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어휘, 문법 및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Feedback on the Vocabulary, Grammar,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under the Free Semester System
Authors
장영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 교육 실현을 목표로 2016년부터 전면 시행 예정인 중학교 자유학기제는 기존의 지필평가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형성평가나 학생 스스로의 자기성찰 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방법의 활용을 강조하고 있다. 형성평가의 경우 학교 수업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다수의 관련 연구가 있는 반면, 자기성찰 평가에 대한 연구는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하에서 자기성찰 평가 방법의 하나로 자기성찰 학습일지를 작성하는 것이 중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어휘 및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영어 학습 전반에 대한 흥미와 태도,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서울에 소재한 자유학기제를 시범 운영 중인 A중학교 1학년생 115명을 선정하여 통제집단과 세 개의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1에게는 학습일지 작성 후 별도의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았으며, 실험집단2는 학습일지 작성 후 학생 간 피드백을, 실험집단3은 학습일지 작성 후 학생 간 피드백과 함께 교사의 구두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통제집단에게는 동일한 내용의 어휘와 문법 수업만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총 8차시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실험에 앞서 1차시에 사전 설문조사와 사전 영어 어휘 및 문법 평가를 실시하였다. 2차시부터 동일한 내용의 어휘 및 문법 수업을 실시하면서 집단별로 학습일지 작성과 피드백 제공 면에서 처치를 달리하였다. 마지막 8차시에는 사후 영어 어휘 및 문법 평가와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세 개의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자기성찰 학습일지에 관한 심화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어휘 능력 향상 면에서는 자기성찰 학습일지 작성 후 학생 간 피드백만을 제공하는 것보다 별도의 피드백 없이 자기성찰 학습일지를 작성하거나 학생 간 피드백에 덧붙여 교사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휘학습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측면에서는 자기성찰 학습일지 작성 후 별도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와 학생 간 피드백 또는 학생과 교사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 모두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휘 학습 방법 면에서는 학습일지 작성 후 동료 간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동료 및 교사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것 보다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 방법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성찰 학습일지의 작성 및 피드백 유형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성찰 학습일지를 작성하는 경우가 학습일지 작성 후 제공되는 피드백의 유무나 피드백의 유형에 관계없이 학습자의 문법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면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가 사전·사후 설문에서 집단 내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문법 학습 방법 면에서는 자기성찰 학습일지의 작성이 피드백의 유무나 피드백의 유형과 관계없이 문법 학습 방법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성찰 학습일지 작성 및 피드백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영어 학습 전반에 대한 흥미와 태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자기성찰 학습일지의 작성이 학습자의 영어 학습전반에 대한 흥미와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주도적 학습 면에서 사전·사후 설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자기성찰 학습일지 작성 후 학생 상호 피드백에 더불어 교사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면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며, 일지 작성 후 학생 간 상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주는 교육적 시사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결과 자기성찰 학습일지의 작성은 학습자의 영어 어휘 및 문법 능력 신장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단기간에 실시되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기성찰 학습일지를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작성하도록 할 경우 더 큰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별도의 지필평가가 없는 자유학기제 하에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기성찰 학습일지를 작성하도록 하는 것은 학습자들이 영어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학습의 주인이 되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해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기성찰 학습일지를 작성하고, 상호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여 학습자 스스로의 능동적 학습을 도와줄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들의 학습을 촉진시키고, 학습자들 내에서 해결되지 않는 궁금증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성찰 학습일지 작성 후 학생 간 피드백에 덧붙여 교사의 피드백을 적절히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어휘 및 문법 학습에 한정된 것으로 자유학기제 하에서 자기성찰 평가 방법의 하나로 자기성찰 학습일지를 활용하는 것이 영어의 다른 영역을 학습할 때에도 효과가 있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With the educational goal of nourishing the dreams and talents of students, the Korea Free Semester System, which is to be implemented in 2016, emphasizes the utilization of a variety of assessment methods such as formative assessment and students' self-reflection away from the traditional paper-based examination. While the formative assessment has been used a lot in school and has a number of related research available, there are relatively insufficient number of studies on the students' self-reflection and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reflective learning journal, as a way of self-reflection and evaluation, on English vocabulary and grammar learning, students' interests and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under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one hundred and fifteen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attending a free semester pilot school in Seoul.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 traditional control group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1 wrote a self-reflective learning journal without any feedback, and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2 wrote a self-reflective learning journal and provided written feedback one another.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3 wrote a reflective learning journal and were provided with both written feedback from peers and oral feedback from the teacher.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learned the same vocabulary and grammar points as with the experimental groups and didn't keep a journal.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out eight periods, and a pretest on vocabulary and grammar and pre-survey were implemented in the first period prior to the experiment. From the second period, the same contents of vocabulary and grammar were taught to every group, providing different types of treatment to each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experiment, a post-test on vocabulary and grammar and post-survey were performed in every group with an intensive survey on a self-reflective learning journal which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s only.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improvement in learners' vocabulary skills, it turned out to be more effective to keep a journal without feedback or with both peer feedback and teacher feedback than to write a journal with peer feedback only. Second, keeping a journal was effective for changing learners' awareness and attitude on vocabulary learning regardless of the types of feedback. In terms of improvement in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methods, providing peer feedback or both peer and teacher feedback after writing a journal turned out to be more effective than giving no feedback. Third, grammar skills were improved when learners kept a journal; the presence and the types of feedback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improving learners' grammar skills. Fourth, both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 learner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grammar learning; however, keeping a journal itself brought a positive change in the learners' grammar learning methods regardless of the presence and the types of feedback. Fifth, writing a self-reflective learning journal brought a positive change in learners' interests and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Sixth, providing both the written feedback from peers and the oral feedback from a teacher did not bring any significant change in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while providing peer feedback after writing a journal brought a significant change.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keeping a self-reflective learning journal helps the improvement of learners' vocabulary and grammar skills.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quite short, much greater effects can be expected if the period is lengthened. Second, keeping a self-reflective learning journal under the Free Semester System can help learners have more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and will allow them to be the owner of their study by helping their self-directed learning. Third, to facilitate learning, providing teacher feedback in addition to the peer feedback is necessary. Lastly,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elf-reflective learning journal and feedback in terms of vocabulary and grammar learning;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to see if the journal has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other skills in English especially under the Korea Free Semester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