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3 Download: 0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Title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Other Titles
The Study of Physics Exploratory Activities of Science Textbooks : Revised middle School 2009 Curriculum
Authors
경희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원
Abstract
중학교 과학과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중 물리단원에서 탐구활동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되고 교육부의 검정을 통과한 1학년 ~ 3학년 과학 교과서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9개 출판사에서 발행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어진 중학교 1학년 ~ 3학년 과학 교과서의 물리 영역은 총 5단원으로 각‘힘과 운동’, ‘열과 우리 생활’, ‘빛과 파동’, ‘일과 에너지’ 그리고 ‘전기와 자기’이다. 이 단원에 제시되어진 탐구활동을 탐구목적, 탐구수행과정, 탐구상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더불어 분석된 결과를 역학, 전자기학, 열역학, 광학의 물리영역과 학년과 출판사에 따라 각각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탐구목표 직접 서술한 교과서와 그렇지 않은 교과서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탐구목표 직접 서술한 탐구활동을 9종의 교과서를 모두 고려하였을 때, 총103개 이다. 직접 서술한 대부분의 교과서의 탐구활동의 탐구목표는 인지적 영역이 150개, 탐구 영역이 20개에 해당했으며, 인간의 내적 상호작용의 영역인 정의적 영역에 대해서는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또한 인지적 영역에서는 13개의 탐구활동 중 60개는 지식에, 65개는 이해에 해당하는 탐구목적이 주로 서술되어 있었다. 적용은 9개의 탐구활동에서만 나타났고, 분석이 14개, 종합에서 2개가 탐구활동에서 나타났다. 탐구목표에 해당하는 영역은 중복선택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탐구목적은 학생들이 탐구활동을 통하여 해당하는 단원의 지식과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탐구수행과정은 주로 탐구 설계를 통한 실험수업이 많이 나타나 있으며 기구조작, 관찰, 측정, 기록전달에 편중되어 있었고, 모든 교과서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더불어 모든 교과서에서 문제인식에 관한 탐구수행이 제시되지는 않았다. 셋째, 탐구활동의 탐구상황은 모든 교과서에서 과학적 상황이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었고, 일상적 상황과 기술사회적 상황은 과학적 상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었다. 마지막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되어 교육부의 검정을 통과한 과학교과서는 모두 9종이다. 하지만 모든 결과를 총합해 보니 선정한 교과서들이 탐구활동에 대하여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담은 다양한 교과서가 존재하지만 탐구활동만을 비교하였을 때 교육부 검정을 받은 2009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라면 어떤 출판사의 교과서를 선택하여도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탐구 활동은 비슷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과학교과서에서 물리영역의 탐구활동이 어떤 요소들로 구성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할 때 과학 교과서 탐구활동의 구성요소들을 고려하여, 어떤 부분을 수정, 보완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understands physics exploratory activities in a revised middle school textbooks. The new textbooks were applied to Korea’s new 2009 curriculum and were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study analyzes and categorizes exploratory activities which come from physics pasts of the new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for all grades. The new science textbooks include two chapters for freshman, two chapters for sophomore, and one chapter for junior, and those five chapters include 13 exploratory activities. Each exploratory activity is classified into objectives, performance processes, and inquiry contexts, and the exploratory activities are also separated by publishers and three physics categories: mechanics, electromagnetism, and thermodynamics. The science textbooks select the objectives of exploratory activities as two ways such as direct description and indirect description. The exploratory activities of direct description contain 103 activities, and those activities include 83 cognitive domains and 20 searchable domains. To be more specific, the cognitive domains are composed of 65 understanding activities, 60 learning activities, 9 applying activities, 14 analyzing activities, and 2 integrating activities, and some activities were overlapped more than one activity. The exploratory activities of performance process mostly cover inquiry experiments through using experimental tool, observing, measuring, recording, and delivering record, and all publishers contain similar activities. Also, all nine textbooks do not provide recognition of context. Especially, only one exploratory activity of the science textbooks proposes the modeling and drawing conclusions of performance process. In the inquiry contexts exploratory activities, the most part of activities are comprised of scientific contexts (156). The other parts, practical context (18), and social or technological context (16), are absolutely less than scientific contexts. The study concludes that all middle school textbooks offer similar the exploratory activities through the revised 2009 curriculum. Then, the study expects that students experience similar exploratory activities through different textboo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