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9 Download: 0

코퍼스와 시각자료 활용 활동이 초등학생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

Title
코퍼스와 시각자료 활용 활동이 초등학생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Learners Using Corpus and Visual aids.
Authors
양은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어휘학습에 효과적인 방법을 알아보고자 시각자료인 사진과 그림을 사용 하는 방법과 코퍼스를 사용하는 방법이 어떠한 효과를 가져 오는 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러 관련논문들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가설 형성의 근거를 구성했고 본 실험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 자료와 방법을 구상하였다. 실험 자료의 선정 어휘들은 중학교 1학년의 총 7개의 교과서를 “Lextutor”의 코퍼스 생성기를 이용하여 코퍼스에 알맞은 단어 목록을 추출하였고 초등학생 수준에 맞도록 약간의 예문을 수정하였다. 이를 분석하여 실제 교실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시각자료를 제작하였고 코퍼스를 뽑아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해 초등학교 6학년 3학급을 각각 통제집단, 실험집단1, 실험집단 2로 설정하였고, 총 세 집단은 같은 학습내용을 각각 다른 방식으로 학습하였다. 실험은 2014 12월8일부터 19일까지 총 2주간 진행하였고, 학습방법을 제외한 나머지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학습하였다. 학습효과의 측정도구는 사후평가로 총 학습단어의 평가로 구성했다. 측정결과는 SPSS를 통해 전산통계로 처리하였다. 측정도구의 결과에서 나온 자료는 일원분산 분석으로 검정하였다. 좀 더 구체적인 정의적 영역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코퍼스와 시각자료를 활용한 어휘학습은 학습자의 어휘 성취도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설문을 통한 정의적 영역에서도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참여도 및 반응과 태도에서 눈에 띄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시각자료와 코퍼스를 이용한 영어어휘 학습은 초등학생 학습자들의 영어 어휘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코퍼스와 시각자료를 활용하여 학습한 초등학생 학습자들의 어휘력 신장에 전통적 교수법에 의해 학습한 학습자들의 어휘력 신장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의 높은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능숙도에 따라 효과적인 학습법이 존재한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지만 눈에 띄는 평균차이와 태도와 반응의 설문 결과를 토대로 상위 학습자들에게는 시각자료의 활용보다 코퍼스의 활용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휘의 특성(영상성의 정도)에 따라 효과적인 학습법이 존재한다. 영상성이 높은 구체어의 경우 해당어휘의 시각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시각자료의 활용이 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추상어의 경우 시각정보를 제대로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주변적 상황과 화용론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코퍼스의 활용이 어휘학습에 훨씬 효과적이며 이것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시 코퍼스와 시각자료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사는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어휘 교수시, 학습자의 능숙도에 따라 어휘교수를 달리하여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어휘 교수 시, 학습어휘의 특성(영상성의 정도)에 따라 시각자료와 코퍼스의 활용을 적절히 선별하여 지도한다. 시각자료와 코퍼스의 활용 수업이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어휘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시각자료 뿐만 아니라 코퍼스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pus and visual aids teaching on Korean EFL leaners’s vocabulary learning in a classroom.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68 Korean elementary students in their 6th year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2-3 weeks.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rpus teaching group, visual aids teaching group and traditional teaching group. In the first group, corpus teaching group, teacher offers students corpus material where students can learn target vocabulary through context and authentic situation which is included in corpus. This teaching method give students authentic context and environment related to those words used in real life. The second one, visual aids teaching group students are given some visual aids such as image, picture, and drawings, which helps students to derive the meaning of the target vocabulary with interesting and vivid image. Through imagery aids, students easily inferred the meaning of the target word efficiently. In the third one, traditional teaching group, teacher teach students with only verbal teaching and memorization without any material such as corpus or visual aids. In this study, all experiments consisted of 7 sessions and 50 target vocabulary were taught and tested. the target words were selected through a vocabulary test before the first session commenced. In each session, 7-8 target words were given the each groups. After the 7 sessions, a final vocabulary test was carried out with 50 target words. Finally, data were colle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 outcome of the experiment shows that corpus teaching method and visual aids teaching method were far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Second, the outcome of these teaching method were totally different depending on students’proficiency. In a high proficient group, corpus teaching method is proper to teach. On the other hand, in a low- level group, visual aids teaching method is proper to teach. Third, according to word characteristic (level of visualization: concrete word(high level of visualization) or abstract word(low level of visualization), there is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a case of concrete word, visual-based teaching method is proper. However, in a case of abstract word, corpus teaching method is proper. The pedagog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corpus teaching method or visual aids teaching method should be properly provided according to learner’s proficiency level and the characteristic of target wor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