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3 Download: 0

대학수학능력시험 독일어I 내용 영역 문항 분석 및 평가

Title
대학수학능력시험 독일어I 내용 영역 문항 분석 및 평가
Other Titles
Analyse und Bewertung des Prüfungsbereichs Deutsch I im koreanischen Abitur(2013 ~ 2015)
Authors
이수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독일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성만
Abstract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학업에 대한 성취도를 평가할 뿐 아니라 대학에서의 기본적인 수학 능력에 대한 공식적인 평가라는 데 그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실제로 제2외국어 영역이 대학 입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제2외국어 교육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대학 입시와 큰 관계가 없는 교과목이 소홀이 취급되고 있는데다 2005학년도부터 한문 과목까지 제2외국어와 같은 영역에 묶임으로써 대학수학능력시험 선택과목인 제2외국어에 응시하는 학생 수도 해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한국교육평가원에서 발표한 영역/과목별 응시자 현황에 따르면 제2외국어 영역의 응시자 비율이 2012학년도에 13.34%, 2013학년도에 10.91%, 2014학년도에 9.92%, 2015학년도에 13.12% 였다. 2015학년도에 한해서 일시적으로 제2외국어 영역의 응시자 비율이 높아졌으나, 매년 선택과목별 응시자 현황을 보면 다른 제2외국어 과목에 비해 독일어I을 선택한 응시자 수가 가장 적었다. 그러나 다양한 외국어를 구사하는 능력이 바로 국력이다. 기업이 미래를 예측해 적재적소에 투자 하듯이, 국제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재들을 키우기 위해 국가는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그러나 당장 새로운 교육적 활로를 찾지 못하는 현 교육체제 하에서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좋은 문항을 출제하여 수험생을 평가하는 방법밖에는 없을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 이후 외국어 교육은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뿐 아니라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자질을 함께 요구하며, 독일어권 국가의 일상생활과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2014학년도부터 제2외국어 영역 독일어I의 문화 영역의 문항 수를 늘린 만큼 문화 교육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2013~2015학년도까지 최근 3년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출제 문항 분석을 비롯하여 비중이 높아져가는 문화 영역에 관한 출제 기준 및 세부 분석 또한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외국어 영역 출제 지침개발 연구』,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외국어 해설서』를 참조하며 2005 ~ 2015학년도까지 11년간의 전반적인 대학수학능력시험 독일어 부문 출제 경향을 알아본 후, 2013 ~ 2015학년도에 출제된 문항을 집중 분석한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8종의 독일어 교과서의 문화 영역 소재들을 사용 빈도수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도별 수능 출제 문항들의 출제 경향을 고려하여 문화 영역의 하위 항목들을 제안한 후 이를 기준으로 세부 분석에 들어간다. 끝으로 수학능력시험 독일어I 과목의 각 영역별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이 수행할 분석과 제안이 향후 문제 출제에 보탬이 되기를 바라며 대학수학능력시험 독일어I과목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뤄지기를 기대한다.;Diese Arbeit analysiert die Prüfungsaufgaben, die im Abiturprüfungsbereich “Deutsch Ⅰ” von 2013 bis 2015 gestellt worden sind. Den Aufgaben liegen einige Vorbedingungen zugrunde: erstens die Abitur-Basisrichtlinie für den Prüfungsbereich "zweite Sprache", zweitens warden zwei Bereiche berücksichtigt: einmal Aussprache & Buchstabierung, Vokabular, Grammatik, Kommunikationsfähigkeit und Kulturbereich, zum anderen der Bereich Hörverstehen, Lesenverstehen, mündliche Prüfung und Textschreiben. Aber in dieser Arbeit wurde nur der erstere Bereich behandelt. Zu untersuchen war, ob die Aufgaben gemäß den Abitur-Basisrichtlinien angemessen aufgeteilt wurden sowie ob sie geeignet waren, eine adequate Einschätzung der Deutsch-Kompetenz des Prüflings zu erlabuen. Die Analyse der “DeutschⅠ” 90 Prüfungsaufgaben von 2013 bis 2015 erfolgte gemäß 『A Development of the Basic Guidelines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the Foreign Languages Education』, 『A Development of the Basic Guidelines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und 『the 7th high school’s educational curriculum handbook to the foreign language』. Der Resultat lautet wie folgt: Die aufgabe zur im Vokabularbereich wird mit dem Akzent in der Aussprache & Buchstabierung, der Länge von Vokalen, Konsonanten etc. angemessen gestellt. Das Thema im Bereich "Rechtschreibung" gab manchmal Rätsel auf. Das Prüfungsthema im Bereich "Vokabular" wird nur innerhalb bestimmter Wortarten gestellt. Die Aufgabe nennt außer Verben und Nomen keine anderen Wortarten. Weiterhin stand in der Fragestellung manchmal auch eine Frage in koreanisch. Deshalb hat die Aufgabe keine Richtigkeit und Angemessenheit. In Bezug im Bereich “Grammatik”, wurde die Aufgabe über Präposition jährlich gestellt. Die "Kommunikationsfähigkeit" erhielt 50% Raum im Abiturprüfungsbereich "zweite Sprache". Sie war der wichtigste Teil in dem zweiten Sprachprüfungsbereich. Die Aufgabe im Bereich "Kommunikationsfähigkeit" wurde im 7. Abitur 2013 ~ 2015 bestand sie insgesamt 48 Fragen, hinsichtlich Selbstausdruck und Kommunikation. Der Prüfungsbereich "Kultur" wurde noch nicht klar erwähnt und auch inhaltlich präzise nicht abgegrenzt. Daraus diese Papier bemüht sich um eine klare Prüfungsaufgabengrenze für das Thema "Kultur" und Prüfungsbereich "Kultur". Es ist eine noch ausstehende Aufgabe für die Entwickung der einer Sprachprüfung im Bereich "zweite Sprache: Deutsch", dass die Prüfungsaufgabeninhalte stabil, rechtlich korrekt und angemessen gestellt werden müss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독일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