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7 Download: 0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개인면담 현황과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개인면담 현황과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rents' Personal Interview Status and the Difficulties Felt by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uthors
송민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s' personal interview status and the difficulties teachers felt in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help relieve the difficulties. For this purpose, a series of procedures for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including scheduling of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preparation of materials for personal interviews, guidance on personal interviews, environment creation on the day of interviews, progression of personal interviews, activities following personal interviews, and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personal interviews, and the difficulties teachers felt in each procedure were reviewed. To do thi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parents' personal interview statu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2. What difficulties do the teachers feel in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 survey was conducted in 289 teachers working at diverse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yeonggi Province. A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parents' personal interview status and the difficulties teachers felt in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t was made by the researcher to meet the goal of the research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naire contained a total of 17 items concer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parents' personal interview status, and the difficulties teachers felt in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and sub-items. For each question,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to estimate frequency and percentage.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were mostly performed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arly in the first (March and April) and second terms (September and October). The majority of teachers had no difficulty with the time. Some teachers felt difficulties both because of the problems in identify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rough interviews early in a new term and because of the parent variables (e.g. no relationship established, poor determination of disposition, excessive demand). Second,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prepare for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through child observation records, interview journals, and children's works. They had the greatest difficulty in analyzing data about children for children's development, learning process, or performance during the process of collecting, arranging, and analyzing the data for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They indicated the need of a specialized evaluation program to check growth and development levels for children and reliable data to determine problem behaviors and maladaptive behaviors among them. Third, good guidance was not given so that any other main caregiver than parents could also participate in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Those teachers giving no guidance were most likely to answer necessary, followed by average, for the need to allow any other main caregiver than parents to participate in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They were very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 rate of participation by parents in personal interviews and those teachers dissatisfied with the rate indicated the need of parent education about the importance of personal interviews and education about how to enhance trust among parents before starting interviews. Fourth, as for environment creation on the day of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teachers were most likely to prepare a personal interview schedule, beverage, children's works, and a clock. For a desirable atmosphere for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they gave the greatest consideration to tidiness, cleanliness, and ventilation of the interview room. The majority of teachers had difficulties with environment creation on the day of interviews due to the lack of time to create a good environment in the interview room before starting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or an insufficient waiting room for parents within the institution. Fifth, a personal interview lasted 15 to 20 minutes per parent, which agreed to the proper length of time for teachers. It involved giving parents a greeting and warm reception, providing them chances to ask a favor of the teacher, talking fully about good points of the child before mentioning his/her problems, and discussing things both parents and the teacher needed to teach. The teachers felt difficulties in performing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when they had to let parents know the child's weak points or problem behaviors and when they had no idea of how to cope with diverse types of parents (e.g. parents just listening to the teacher or making unreasonable demands). Sixth, as for activities following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teachers documented the interviews and exchanged information informally through conversation with colleagues. The teachers felt difficulties with the follow-up activities when parents wanted their child's problem behaviors to be corrected fully by the institution, when they had difficulties in finding a good solution to the child's problem behaviors, and when they had no definite idea of any institution helpful for the child, which they could recommend to parents (e.g. treatment center). Seventh, as for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personal interviews with parents, neither intra-institution education nor external training was positively provided. In contrast, intra-institution education and external training led to sufficiency in teacher experiences; therefor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institutions giving teacher education and those giving no teacher education.;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개인면담 현황과 부모개인면담에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을 알아보고, 교사의 어려움을 경감시켜주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모개인면담의 일련의 절차인 부모개인면담의 시기, 개인면담을 위한 자료준비, 개인면담의 안내, 당일 환경구성, 개인면담의 진행, 개인면담 후의 추후활동, 개인면담과 관련한 교사교육에 따른 현황과 각각의 절차에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개인면담 현황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개인면담에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다양한 유형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289명이다. 연구도구는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개인면담 현황과 부모개인면담에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토대로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제작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응답자의 일반적 배경을 묻는 문항과 부모개인면담의 현황 및 부모개인면담에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 대해 묻는 문항으로 나누어, 총 17문항과 그 안의 세부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결과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개인면담은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 1학기 초(3·4월)와 2학기 초(9·10월)에 대부분 이루어졌다. 시행시기와 관련하여 대다수의 교사들은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어려움을 느끼는 교사의 경우에는 새 학기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시행하는 1학기 초 면담에서 영유아의 개인별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기 힘들고, 부모변인(관계 형성 전, 성향파악미비, 과도한 요구)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개인면담을 위해 준비하는 자료에 있어서 교사는 영유아의 관찰기록지와 면담일지, 영유아의 작품을 많이 준비하였다. 부모개인면담을 하기 위해 영유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정리하고, 정리한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정리한 자료에서 유아의 발달 및 학습 과정이나 성과를 분석하는 것에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더불어 영유아들의 성장·발달 수준을 체크할 수 있는 전문화된 평가 프로그램과 영유아의 문제행동 및 부적응 행동을 판단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자료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했다. 셋째, 부모개인면담의 안내 과정에 있어서 부모 외의 주 양육자가 있을 경우 함께 참여하도록 안내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이 나타났다. 또한 안내하지 않는 교사의 경우에도 부모개인면담 시 부모 외의 주 양육자가 면담에 함께 참여하는 필요성에 있어 ‘필요하다’는 응답 다음으로 ‘보통이다’라는 응답률이 높았다. 부모개인면담 시 부모의 참석율에 있어서는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참석율에 만족하지 못하는 교사의 경우에는 부모개인면담 전 개인면담의 중요성에 관한 부모교육과 부모에게 신뢰감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넷째, 부모개인면담 당일의 환경구성과 관련하여 교사는 개인면담 시간표와 음료수, 영유아의 작품, 시계를 가장 많이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개인면담의 바람직한 분위기를 위해서는 면담실의 정리상태와 청소상태, 환기 등을 가장 많이 신경 쓰고 있었다. 당일 환경구성과 관련한 어려움으로는 대다수의 교사들이 부모개인면담 전에 면담실 환경구성을 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었고, 원 내에 미리 온 부모가 대기할 공간을 마련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냈다. 다섯째, 부모개인면담은 한 부모 당 15분에서 20분 정도로 진행되었고, 교사가 생각하는 적정시간과도 일치함을 보였다. 진행방법으로는 부모에게 인사하고 따뜻하게 맞이하기, 교사에게 부탁하고 싶은 말을 할 기회를 제공하기, 영유아의 문제에 대해 말하기 전에 좋은 점에 대해 충분히 이야기하기, 부모와 교사가 함께 지도할 사항에 대해 논의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부모개인면담의 진행에 있어 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으로는 영유아의 부족한 점이나 문제행동을 부모에게 전달해야 할 때와 부모의 다양한 유형(교사의 말을 듣기만 하는 부모, 무리한 것을 요구하는 부모 등)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를 때의 상황이었다. 여섯째, 부모개인면담 후의 추후활동에 있어서 교사는 개인면담이 끝난 후 면담의 내용을 문서로 남기는 동시에 비공식적으로 교사들과 대화를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사실이 드러났다. 추후활동에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으로는 부모가 자녀의 문제행동을 전적으로 기관에서만 해결해 주기를 원하는 상황,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적절한 해결방안을 찾기 어려울 때, 부모에게 소개해 줄 수 있는 영유아에게 도움이 될 만한 기관(치료센터 등)을 잘 모를 때였다. 일곱째, 부모개인면담과 관련한 교사교육에서 원내교육과 외부연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원내교육과 외부연수가 이루어지는 곳의 교사경험 충분도는 높은 것으로 보아 교사교육이 이루어지는 기관과 그렇지 않은 기관의 차이가 큼이 드러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