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미혜-
dc.contributor.author강유선-
dc.creator강유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7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72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어 담화 능력을 고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그들의 이야기 담화 응집성 실현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담화 구조와 담화 표층에 나타나는 언어·문법적 요소인 응결 장치가 담화의 응집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 이야기 담화의 구조 전개 양상과‘지시’,‘접속’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으로서 담화 능력의 중요성을 밝히고, 여성결혼이민자의 담화 능력에 관한 연구가 부족함을 지적하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그리고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 담화와 담화의 응집성, 이야기 담화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선행 연구로 한국어교육에서의 이야기 담화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와 담화 응집성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기본 정보를 제시하고, 자료의 수집과 분석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였고, Ⅳ장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이야기 담화 구조 전개 양상 및 내용의 일관성을 저해하는 요인, 그리고 응결 장치 사용 양상의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고 교육적 제언과 함께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는 이야기를 생산할 때 [요약]을 선택적으로 포함시키고, [배경, 사건, 결과]는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평가]는 선택적이기는 하지만 비교적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이 선호하는 구조의 배열 순서는 [배경-사건-결과-평가]이며, 대체로 [배경-사건-결과 또는 평가]의 순서를 지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구조의 내용 단위를 살펴보면, [요약]에는 이야기의 중심 내용이 간략히 제시되고, [배경]에는 사건 발생의 계기 또는 등장인물 소개, 시공간적 상황 묘사, 개인적 견해, 일반적 사실이 포함되어 있었다. [사건]에는 등장인물의 주체적인 행위나 외부적 요인에 의한 문제 발생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열되고 있었고, [결과]에는 사건 이후의 성과나 현재까지 지속되는 상태가 나타나 있었다. 마지막으로 [평가]에는 교훈이나 느낌 등 화자의 정서적인 감정이 표현되었다. 내용의 일관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관련 없는 내용의 삽입, 정보의 과잉 및 부족, 도입 발화의 보류가 응집성을 해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는 이야기 담화에서 바로 직전에 언급되었던 대상을 가리키며 화제를 유지하기 위해‘그+명사’형태의 지시 표현을 가장 활발하게 사용하였고, 물리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화자에게 근접한 대상을 가리킬 때‘이렇다’유형을, 선행 발화에서 언급된 대상을 상기할 때에는‘그렇다’유형을 선호하였다. 또, 지시 대상이 불분명하고 지시 대상에 적절하지 않은 표현을 사용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접속 표현에 있어서는 인과, 전환, 첨가, 나열, 순서의 의미를 갖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 쓰임은‘그래서’에 집중되었고, 담화 유지를 위해 무의미하게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높았다.‘그런데’와‘그리고’는 비교적 오류 없이 잘 사용하고 있었으나 인과 관계를 표현할 때‘그리고’가 잘못 사용된 경우가 소수 발견되었다. 대한민국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야 할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궁극적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에 가까운 언어능력이 요구되는 한국어 학습자 집단으로 문장 단위를 넘어 담화 능력을 살펴본 본 연구의 결과는 구어에 노출 빈도가 높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실제 담화 능력을 진단하고, 나아가 이들을 위한 교수·학습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spect of coherence realization of narrative discours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s a part of investigating their capability of narrative discourse. Considering that discourse structure and cohesive devices as a linguistic and grammatical element represented in the discourse surface are engaged in the coherence of discours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aspect of structure development of narrative discourse and the utilization of reference and conjunction.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chapter 1, the importance of discourse competence as a communicative competence is examined. The insufficiency of the studies on discourse competenc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s pointed out, and the necessities, objectives, and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In the chapter 2, discourse, coherence, narratives are examin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previous studies on narrative discourse structure and coherenc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also examined. In the chapter 3,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presented, and the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re explained in details. In the chapter 4, the aspects of the structure development of narrative discourse, the analysis results on the elements disrupting the consistency of the contents, and the aspects of their utilization of cohesive devices are described. In the chapter 5,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briefly summarized,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ointed out with several educational suggestion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selectively contained [abstract] and [evaluation] while essentially contained [setting], [complicating action], [resolution] when comprising narratives. Although evaluation was selective, it was found to be relatively preferred. Also, the arrangement order that they preferred was [setting-complicating action-resolution-evaluation]. In terms of the content unit of each structure, the key contents of narratives were briefly suggested in [abstract]. In [setting], the cause of action occurrence or the introduction of appearing characters, the description of spatial or temporal circumstances, the personal opinions and common facts were included. In [complicating action], the occurrences of the events by autonomous behaviors of appearing characters or external factors were listed according to the temporal order. In [resolution], the outcomes after the events or the situations lasting till the present were reflected. Lastly, the emotional states of the speakers, such as lessons or feelings, were expressed in [evaluation]. In terms of the contents of narrative discourse, the coherence of discourse was found to be disrupted due to the insertion of extraneous contents, lack of information, excess of information, or delaying of the introduction utterances. Second,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utilized the reference expressions in the form of ‘그+noun’most actively in order to hold the topic by referencing the objects mentioned at the last minute of the narratives. They preferred the type of ‘이렇다’ in order to reference the objects which were close to the speakers in physical or emotional senses, while preferring the type of‘그렇다’ in order to recall the objects mentioned in the previous discourses. In addition, the problems of referencing objects vaguely and using inappropriate expressions for the referenced objects were found. In terms of conjunction, they usually used the expressions with the implications of cause and effect, transition, addition, list, enumeration, order. The utilization was concentrated in‘그래서’, which were used repeatedly and meaninglessly in order to maintain the discourse in general. Although they relatively use the words‘그런데’and‘그리고’ without mistake, few of them misused‘그리고’for the expression of cause and effect. As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the Korean language learners’group to require the linguistic capability ultimately closed to the native Korean language spea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investigated their discourse competence beyond sentence unit can examine the actual discourse competenc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has higher frequency of being exposed to spoken language and can suggest direc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m by exten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6 A. 이론적 배경 6 1.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담화 6 2. 담화의 응집성 8 3. 이야기 담화의 특성 16 B. 선행 연구 21 1.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담화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21 2. 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 응집성 관련 연구 24 Ⅲ. 연구 방법 29 A. 연구 참여자 29 B. 연구 절차 30 1. 예비 실험 30 2. 자료의 수집 및 전사 32 3. 자료의 분석 36 Ⅳ. 여성결혼이민자의 이야기 담화 분석 결과 및 논의 39 A. 이야기 담화 구조 전개 양상 39 1. 이야기 담화 구조 분석 39 2. 내용의 일관성을 저해하는 요인 50 B. 응결 장치 사용 양상 55 1. 지시 55 2. 접속 60 Ⅴ. 결론 및 제언 67 A. 요약 및 논의 67 B. 제언 68 참고문헌 70 부록 75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12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여성결혼이민자의 이야기 담화 응집성 실현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이야기 담화 구조 및 응결 장치 사용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n the Aspect of Coherence Realization of Narrative Discours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Focus on the Structure of Narrative Discourse and the Use of Cohesive Devices-
dc.creator.othernameKang, Yu Sun-
dc.format.pagevi, 79 p.-
dc.contributor.examiner조항록-
dc.contributor.examiner이영숙-
dc.contributor.examiner이미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